View : 9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박소영-
dc.creator박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94-
dc.description.abstractThe adolescents are so much interested in sexuality but may not yet have sexual attitudes or values. Also they are difficult in controlling their own sexual behaviors. The pornography through the various media sources cause them to stimulate sexual arousal, to make mental health problems, and to commit imitative crimes. Especially, it is very easy for adolescents to contact pornography through the internet without any restrictions. Therefore the harmfulness of cyber pornography is very serious. It is necessary to let them know about negative effects of cyber pornography and to help them choose the good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dolescents judgement ability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and to suggest the intervention methods for protecting adolescents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cyber pornography. The target groups for this study aimed at early adolescents(14-15 years old), who applied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s voluntary work programs during their summer vacation.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in a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N=10) was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N=12) who participated in another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several variables like cyber pornography perception, premarital sex, gender roles and sexual knowledge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procedures in SPSS 10.0.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the program process and individuals changes over time, were also used for cla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nd applying to social work practice.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ir pretest of all the variables. Second, the average scor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o p< .05 for cyber pornography perception and positive scale (subscale of cyber pornography perception). And sexual knowledge score o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o p< .001. However, for negative scale(subscale of cyber pornography perception), premarital sex and gender role, the average score on the experimental group didn 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neither scales for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ir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core differences (posttest minus pre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core difference of experimental group for positive scale (subscale of cyber pornography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The score difference of sexual knowledge als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 .001). The score differences of experimental group for the other sca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nd neith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Finally, through out the program outcome, most of the subjects responded to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n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very actively. Accordingly, such suggestions were made to effective clinical practice. First, to strengthen the cohesion among participants, the beginning part of this program needs to be structured more intensively and applied the interesting methods. Second, At the first session of this program,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voluntary work education for the adolescent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the program actively. Third, in relation to school social work, if this program is structured at least 3-month term and carried out in club activities of school,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more effective results. Finally, more social work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follow-up studies conducted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 성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뚜렷한 성적 태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성적 행동에 대한 조절능력이 약한 청소년들에게 각종 대중매체의 음란물은 성충동을 자극하고 잘못된 지식을 전달하여 성고민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정신건강상의 문제나 모방범죄의 가능성까지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컴퓨터 매체를 통한 사이버 음란물은 개인적인 공간에서 누구의 제약도 받지 않고 손쉽게 불건전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해성이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사이버 음란물의 폐해를 정확히 인식하면서 사이버 매체의 정보를 취사선택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음란물에 대한 올바른 판단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사이버 음란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여름방학중에 복지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신청했던 중학생들 중에서 본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학생들을 실험집단(N=10)으로, 다른 자원봉사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통제집단(N=12)으로 설정하였고 실험집단에 대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총 10회에 걸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이버음란물 관련의식, 순결관, 성역할 고정관념, 성지식합 점수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independent samples t-test와 paired samples t-test로 통계분석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밝히고 사회사업 실제에 적용하기 위해 프로그램 과정과 개별성원의 변화과정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 순결관, 성역할 고정관념, 성지식합의 사전점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의 척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이 프로그램 실시 전과 비교해서 사후평균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p<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의 하위척도에서는 긍정적 의식의 경우 사후평균점수가 높았고 이 결과는 p<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부정적 의식의 경우는 사후평균점수가 높아졌지만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성지식합은 사전 3.4점에서 사후 9.5점으로 눈에 띄는 향상을 보였고 p< .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순결관과 성역할 고정관념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제집단의 경우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의 하위척도, 순결관, 성역할 고정관념, 성지식합 각 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평균점수 차이 비교에서,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 중 긍정적 의식 영역은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 차이가 0.5000,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 차이가 -0.2222로 실험집단의 점수차이가 통제집단보다 높았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P ≤ .05). 성지식합의 경우도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 차이가 6.1,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 차이가 0.1667로 실험집단의 점수차이가 훨씬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였다(P < .001). 그러나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 사이버 음란물 관련의식의 두 하위영역, 순결관과 성역할 고정관념 영역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점수차이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4. 프로그램 실시 후에 측정하는 집단경험의 효과영역의 경우, 개인별 편차가 있었지만 대체로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프로그램 내용에 만족했다는 반응을 보였고 보통이상의 참여율을 보였다고 스스로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초기단계에서 집단성원간의 응집력있는 결속은 이후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진행되는데 매우 중요하므로, 프로그램 전반부가 좀더 집약된 형태로 구조화되거나 청소년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2.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이나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체계적인 자원봉사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고 특히 후반부 활동에 사명감을 가지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지와 격려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3. 학교사회사업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중학교의 CA시간을 위탁받아서 적어도 3개월 이상의 시간을 두고 진행하는 형태로 구조화한다면 방학을 이용한 단기 프로그램보다 훨씬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4. 마지막으로, 본 연구주제와 관련한 사회사업적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2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한계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청소년기 성관련 발달과업 = 5 B. 음란물의 영향 = 6 1. 음란물의 개념 = 6 2. 음란물의 효과 = 7 3. 음란물의 유해성 = 9 C. 사이버 음란물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10 D. 사이버 음란물 규제와 청소년 보호 = 12 III. 연구방법 = 16 A. 연구의 틀 = 16 B. 연구대상 = 16 C. 측정도구 = 17 D. 분석방법 = 20 IV. 프로그램의 실제 = 22 A. 프로그램 설계 = 22 1.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 22 2. 프로그램 개요 = 23 B. 프로그램 진행과정 및 평가 = 26 V.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55 A. 통계적 결과 분석 = 55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 비교 = 55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점수 비교 = 55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점수 비교 = 58 4. 실험집단의 집단경험의 효과 분석 = 60 5.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값의 평균차이 비교 = 61 B. 질적 분석 = 65 1. 프로그램 목적에 따른 평가 = 65 2. 집단 평가 = 67 3. 실험집단성원의 변화과정 = 68 VI. 결론 및 제언 = 77 A. 결론 = 77 B.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 = 85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78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사이버 음란물 유해성 인식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