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우재희-
dc.creator우재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효과적인 직업재활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으로 사회관계망을 탐색해 보고자 함에 있다. 사회관계망을 통한 개입은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개입에 있어서 자연적 환경인 비공식적 자원체계를 활성화하고, 공식적 서비스 체계와 연계함으로써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환경체계 안에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표출시키는 것이다.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역사회 내에서의 관계체계의 특성을 관과한 채,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의 효과성을 더욱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관계망의 구조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해 봄으로써 사회관계망 체계를 활용하여 그들의 부족한 자원을 파악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환경적 지지를 통해 자기관리기능 및 사회적응 능력을 최대한 회복시켜 지역사회에서 취업이 어려운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들이 취업을 달성하고 직업을 유지하며 성공적으로 직업재활을 하도록 사회사업적 직업재활 개입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취업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사회관계망의 특성을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갖는다. 첫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일반적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관련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특성을 파악한다. 넷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일반적특성 및 직업관련특성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어떠한지 살펴본다. 다섯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일반적특성 및 직업관련특성은 취업 유무와 상호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여섯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본다. 일곱째,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을 살펴본다. 여덟째,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의 근거를 마련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에서 직업재활 과정중에 있는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퇴원후기간이 길수록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 것이다 라는 [가설1-1]은 ANOVA 검증결과 F=5.043,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003 이였고,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과거 직업유지기간이 길수록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 것이다 라는 [가설 1-4]는 ANOVA 검증결과 F=2.951 유의확률이 α= .1 수준에서 .061 이였다. 그리고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것이다라는 [가설 1-5]는 ANOVA 검증결과 F=3.434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021 이였다. 따라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일반적특성 및 직업관련특성에 따라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입원기간이 길수록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 것이다 라는 [가설1-2]와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현재 직업유지기간이 길수록 사회관계망의 크기가 클 것이다 라는 [가설1-3]은 ANOVA 검증결과 입원기간과 현재 직업유지기간에 따라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2], [가설1-3]은 기각되었다. 2.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취업유무간에는 상호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 2-1]은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혼상태에 따라 취업유무의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X²= .042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정신질환특성과 취업유무간에는 상호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 2-2]는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퇴원후기간에 따라 취업유무의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X²= .037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특성과 취업유무간에는 상호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 2-3]은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거직업유지기간에 따라 취업상태의 분포가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X²= .003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크기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과 비교하여 클 것이다 라는 [가설3-1]과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가족, 친족 이외의 사회관계망의 범위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과 비교하여 클 것이다 라는 [가설3-2]는 T-test 검증결과, 각각 t= 8.779, t=3.036 이였고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각각 .000, .003으로 나타나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은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과 비교하여 사회관계망의 구조적특성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3]은 채택되었다. 4.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정신적지지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4-1-2]와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정보적지지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4-1-3]은 T-test 검증결과, 각각 t=2.719, t=3.466 이였고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008, .001로 나타나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은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과 비교하여 사회관계망의 기능적특성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4-1]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물질적지지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가설4-1-1],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평가적적지지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가설4-1-4],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비판적태도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4-1-5]는 T-test결과 취업유무에 따라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4-1-1], [가설4-1-4], [가설4-1-5]는 기각되었다. 5.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교제기간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4-2-2]와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교환방향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4-2-4]는 T-test 검증결과, 각각 t=1.791, t=-1.793 이였고 유의확률이 α= .05 수준에서 .039, .038로 나타나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은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과 비교하여 사회관계망의 상호작용지지기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4-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친숙도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4-2-1]과 취업한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접촉빈도점수는 미취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보다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4-2-3]은 T-test결과 취업유무에 따라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4-2-1], [가설4-2-3]은 기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보다 임상적인 차원에서 구체적인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1.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인 크기, 범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감안하여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 크기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2.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감안하여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사회적지지기능과 상호작용기능에 개입하도록 하는 전문적인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3.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은 개인마다 일에 대한 정체성과 취업 경험이 독특하고 일에 대한 의미가 개별적이므로, 직업적인 관심, 선호도, 성공적인 과거의 직업 경험 등을 고려하여 미래의 직업 목표를 세우도록 원조해야 한다. 4.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특성을 활용하고 확대하여 직업재활에 유용한 자원을 연결, 활용하는 등의 지역사회 자원들간의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적인 사회사업적 개입이 이루어 져야 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network as an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Intervention through the social network aims at the full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energy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in environment system by means of the activation of inofficial resource system and linkage with official service system. In this work,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ere studi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social networks for present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is, a literature survey on the relationship of the vocational statu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social networks was performed.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trait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2. Vocation-related trait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3.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4. Size of the social network with general and vocation-related trait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5. Correlation between general and vocation-related trait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and the vocational status. 6.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the vocational statu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7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the vocational statu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8. Based upon above results, the base of social work approach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is suggested. A sample of 80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mental health centers are interviewed in this study.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 T-test, Chi-Square test, ANOVA using SPSS/WIN PC.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ANOVA analyses were performed on [hypothesis 1-1]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discharge period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 [hypothesis 1-4]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past vocation period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 and [hypothesis 1-5]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academic carrier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 Results of ANOVA analyses are as follows. F Significant likelihood Hypothesis 1-1 5.043 0.003 (α= 0.05) Hypothesis 1-4 2.951 0.061 (α= 0.1) Hypothesis 1-5 3.434 0.021 (α= 0.05) Thus, hypothesis 1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and vocation-related trait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as partially accepted. However, from ANOVA analyses on [hypothesis 1-2]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hospitalization period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and [hypothesis 1-3]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present vocation period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ere rejected. 2. Cross-tabu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hypothesis 2-1]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opulational social traits and the vocational statu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 [hypothesis 2-2]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ental disorder traits and the vocational statu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 and [hypothesis 2-3]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vocation traits and the vocational statu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 Results of cross-tabulation analyses are as follows. X² Hypothesis 2-1 0.042 (α= 0.05) Hypothesis 2-2 0.037 (α= 0.05) Hypothesis 2-3 0.003 (α= 0.05) Thus, hypotheses 2-1, 2-2, and 2-3 were accepted. 3. From T-tests on [hypothesis 3-1] The size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s is larg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s and [hypothesis 3-2] The range of the social network except for families and relative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 t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8.779 and 3.036 with significant likelihoods of .000 and .003,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hypothesis 3]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ocial network between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and without vocations was accepted. 4. From T-tests on [hypothesis 4-1-2] The mental suppor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and [hypothesis 4-1-3] The information suppor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t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8.779 and 3.036 with significant likelihoods of 0.008 and 0.001,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hypothesis 4-1]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social network between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and without vocations was partially accepted. However, [hypothesis 4-1-1] The material suppor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 [hypothesis 4-1-4] The evaluative suppor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 and [hypothesis 4-1-5] The critical attitude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were rejected, based upon the results of T-tests. 5. From T-tests on [hypothesis 4-2-2] The social intercourse period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s is low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s and [hypothesis 4-2-4] The direction of help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 t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1.791 and -1.793 with significant likelihoods (α= 0.05) of .039 and .038,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hypothesis 4-2]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 support of the social network between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and without vocations was partially accepted. However, [hypothesis 4-2-1] The closenes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s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s and [hypothesis 4-2-3] The contact frequency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 vo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without vocation were reject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he following : 1.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should be arranged in order to increase sizes and range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taking into accou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vocation statuse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uch as size and range of the social network. 2. The professional social work intervention should be arranged for social and interactional supports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taking into accou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vocation statuses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3.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should be aided to have their goals of future vocations, according to vocational interests, preferences, and successful vocation experiences in the past, because they have different identifications, experiences and meanings about their vocations. 4. A professional social work intervention through community resources network should be arranged, in order to enlarg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and to utilize useful resources for the vocation rehabilitation of the mental health disorders with schizophren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내용 = 6 II. 이론적 배경 = 8 A.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 8 1.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개념정의 = 8 2.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개념정의 및 의의 = 10 3.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에게 있어서 직업재활의 중요성과 영향요인 = 12 B.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 = 16 1. 사회관계망의 개념과 특성 = 16 2.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에게 있어서 사회관계망의 중요성 = 25 C. 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사회관계망의 관계 = 27 D. 연구분석틀 = 29 1. 연구질문 = 29 2. 연구모형 = 30 3. 연구가설 = 31 III.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34 B. 측정도구 = 35 1. 사회관계망 = 35 2. 직업재활 = 26 C. 분석방법 = 37 IV. 연구결과 및 분석 = 3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8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38 2. 정신질환관련 특성 = 41 B. 연구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 = 43 C. 연구대상자의 사회관계망의 특성 = 46 1.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특성 = 46 2.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 = 52 D. 가설검증 = 57 1. 일반적특성 및 직업관련특성과 사회관계망의 크기 = 57 2. 일반적특성 및 직업관련특성과 취업유무 = 59 3. 취업유무에 다른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의 차이 = 64 4.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의 차이 = 65 V. 결론 = 69 A. 주요 연구결과 요약 = 69 B. 제언 = 77 1. 사회복지적 개입을 위한 제언 = 77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0 참고문헌 = 81 부록 = 89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84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분열병 정신장애인의 취업유무에 따른 사회관계망의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