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영-
dc.creator조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85-
dc.description.abstract한국에서의 정보운동논의는 국가정보화를 위시하여 진행된 움직임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1990년대 중·후반 정보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인터넷이 급속히 확산되고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사회운동 진영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전환이 요구되었으며 이때부터 경험적으로 등장한 정보운동의 이론적 논의가 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기술적·사회적 추세를 바탕으로 한 정보화사회와 시민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정보운동의 발달이 시민사회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아래 사례운동의 분석을 통해서 정보운동의 사회적 함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1995년도 12월 15일부터 1996년도 1월 25일 이후에 걸쳐 진행된 사례운동을 사회운동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사회운동을 구분해줄 수 있는 몇 가지 기준 가운데 이슈, 동원, 행위양식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정보운동의 새로운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정보운동을 "정보사회의 구성원으로 생활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권익을 찾고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행위자들이 정보공간적 특성을 살려 자발적으로 이슈를 제기하고 잠재적인 참여자를 동원하며 합의에 의한 행위양식을 전개해나가는 움직임"라고 규정하고, 정보운동에서 다루어지는 쟁점은 무엇이며, 구성원을 운동참여자로서 어떻게 동원하고 있는지, 공간적 특성을 살린 행위양식은 어떤 것이었는지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운동의 이슈는 구성원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특수한 문제였다. 전개과정에서 단순한 문제제기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원인을 진단하여 운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적 행위를 통하여 핵심쟁점이 해결되면 이슈가 전환되면서 운동이 약화되고 있었다. 운동참여자의 동원은 통신인으로서의 집합적 정체성을 형성한 행위자들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 생성된 공론장에서의 의견개진과 의견읽기를 통한 과정과 결과에서 이루어진다. 특징적인 것은 쟁점에 대한 의식적 동의를 바탕으로 인지적 동원이 이루어졌으며, 개인에 따라 적극성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는 것이다. 행위양식의 측면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방법이 진행되어 왔다. 기본적으로 온라인을 바탕으로 구성원의 폭넓은 참여와 지지를 확보한 후 오프라인에서 강화된 접근을 시도한다. 즉 실천적 편의와 신속함을 장점으로 하는 온라인에서는 이슈의 확산과 참여자의 동원, 제안 및 홍보, 온라인집합행동이 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실질적 효과와 구성원의 결속강화를 위해 오프모임과 각종언론인터뷰, 정책수립의 변화를 위한 공청회 및 간담회참석과 같은 오프라인의 활동도 함께 진행되었다. 더불어 정보운동의 발전단계에 따라서 전술한 요소들이 두드러지는 시기가 존재했다. 토대형성기에는 운동주체의 동원과 이슈의 토대를 형성하는 것이 강화되었으며, 이슈확산기는 거의 모든 쟁점이 완성되면서 운동의 방향과 구체적인 행위양식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절정기에는 개별적 행위주체가 비로소 조직화되고 실질적인 저항을 주도하여 실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환기에 동원주체와 이슈가 점차로 약화되면서 동력을 소진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전개과정을 통해 정보운동은 구성원의 이해와 밀접하게 관련된 생활정치적 이슈가 신속하고 자발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집합적 정체성을 형성한 행위주체들이 평등한 구조에서 합의를 도출하는 인지적 동원을 보여준다. 또한 체제내적 지향성을 견지하면서도 하위문화적 성격의 온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오프라인의 장점을 살린 행위양식의 교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보운동은 기존의 운동조직에서 미약하게 다뤄지던 정보공간의 문제를 생활정치적 차원에서 풀어냄으로써 새로운 사회운동적 스펙트럼으로 포함될만한 의미있는 사회운동의 주제를 탄생시켰다. 또한 문제제기, 운동목표의 구성, 실천적 행위 모두 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사회운동에 비하여 개별구성원의 자발성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열린 시민사회 형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동사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공간이 주는 이점을 활용하고 이슈를 정당화하기 위한 인식을 확산하는 것, 오피니언리더의 의견제시가 단계전환에 있어 영향을 발휘한다는 점은 효과적인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서 기존운동들이 펼쳐왔던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정보공간의 신속함과 편리함을 기반으로 운동의 행위자들이 합의를 형성하고 이슈를 확산시키는데 유리하다고 해서, 오프라인이 갖고 있는 실천적 운동의 효과와 가시성 그리고 운동주체의 결속과 참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서적 만족은 여전히 의미있게 작용한다. 따라서 정보운동역시 행위자를 동원할 때 오프라인과 정보공간의 교차참여를 고려할 필요가 존재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는 정보운동의 전체적인 지형가운데 특정사례에 초점을 두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심층적인 정보운동의 이해를 위해서 연구에서 드러나는 여러 가지 한계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기며 정보운동의 발전적인 논의를 기대한다. ; Discussions on information movements in Korea share their flow with the movement for national information advancement. Based up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de in the middle of and late 1990s, the Internet expanded rapidly and many changes occurred in all areas of society. In the sector of social movement new conversion was required. From then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information movement appeared empirically began. This study starts with interest in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ociety and civic society based on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tre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ocial agreement of information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case movements in the expect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movement will have close effect on civic society. So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new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movements in Korea by approaching the case movements conducted from December 15, 1995 to January 25, 1996 in the view point of social movement theory in order to analyzing issue, mobilization and behaviour types of a few standards which can distinguish social movements. By defining information movements as "movements that actors develop the agreed behaviour types by taking advantage of information s spacial characteristics, voluntarily presenting issues and mobilizing potential participants so as to pursue interests basically necessary for living as a member of information society and to seek their progressive alternatives," this study focused to find out what the issues discussed in information movements are, how members are mobilized as participants and what the behaviour types taking advantage of spacial characteristic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conducted through literature-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bove-mentioned objective is as follows: First, the issue of the movement was a peculiar one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members. As the fundamental cause for issue was diagnosed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the goal of the movement was set, and the core issue was resolved through practical behaviour, the movement was becoming weakened with the issue changed. The mobilization of movement participants is achieved in the process and result of opinion presentation and reading at public sphere for public opinions formed for actors who formed collective identity as netizens to draw social agreement. What features was that cognitive mobilization was made on the basis of consciousness consensus of issue and there was difference in positiveness depending on individuals. In the behaviour type sector, the method considering the spacial characteristics of the off-line and the on-line was used. Basically strengthened approach is made in the off-line after securing broad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members on the basis of the on-line. Namely, In the on-line which has advantages of practical convenience and rapidness, mainly the expansion of issue and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suggestion and promotion, and on-line collective action were made centrally. Also off-line meetings and various press interviews for actual effect and solidarity of members, and off-line activities such as public hearings and social gatherings for the change of policy-making, were arranged together. In addition, there were periods when the above-mentioned factors appear outstand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s of information movements. In the period of foundation formation, the mobilization of movement subjects and the formation of the foundation of issue were strengthened. In the period of issue expansion,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specific behaviour types are formed as almost all issues are completed. Also in the period of climax, the individual behaviour subject is organized and took the lead in actual resistance. Finally, in the period of conversion, the movement came to exhaust its power as movement subject and issue became gradually weakened. In the information movement, the life political issue closely related to the interests of members is rapidly and voluntarily presented through this process of development, behaviour subjects who formed collective identity showed cognitive mobilization which draws agreement in equal structure. Also it is known that there occurs the intersection of behaviour types taking advantage of the off-line while positively using the on-line with low-level cultural characteristic as holding fast to the intrinsic orientation. Accordingly, information movement gave birth to the meaningful social movement subject which was worthy of being included in the spectrum of new social movement by solving in the dimension of life politics the issue of information space which was handled insignificantly in the existing movement organization. Also because issue-raising, the composition of movement goal and practical behaviour all are based upon the volunteering of individual member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ocial movements focused on organiza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y will have close relations with the formation of open civic society. But despite this movement s historical significance, points that the advantage of physical space is used, the recognition for justifying issue is expanded and the presentation of opinion leader comes to excercise influence at the stage of conversion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method that the existing movements used to promote effective movement. Also because movement actors have advantages in forming agreement and expanding issue based upon the speediness and convenience of the information space which jump over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e effect and visibility of practical movement of the off-line and the emotional satisfaction which can be acquired through the solidarity and participation of movement subject still significantly work. Therefore, information movements also, when actors are mobilized,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tersection participation of the off-line and the information space.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analyzed with focus on specific cases of the whole topography of information movement. For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movements, various limits encountered in this study remain to be studied further in future in the expectation of the progressive discussion of information move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6 1. 연구문제 = 6 2. 연구대상 및 방법 = 6 가. 연구대상 = 6 나. 연구방법 = 7 II. 전제적 논의 = 9 A. 정보운동의 정의 = 9 B. 정보운동의 특성 = 12 1. 정보운동의 이슈 : 자발적으로 제기되는 생활정치적 이슈 = 13 2. 정보운동의 동원과 행위주체 : 합의적 동원과 집합적 정체성을 지닌 주체 = 14 3. 정보운동의 행위양식 : 문자언어에 기반한 하위문화적인 행위양식 = 19 III. 01410 부당요금 부과 무효화 추진 운동 사례분석 = 24 A. 운동의 배경 = 24 1. 패킷접속료 부과발표 = 24 2. 이용자 집합행동의 전통 = 27 B. 운동의 전개과정 = 30 1. 토대형성기 : 요금부과발표(95. 12. 15)-촛불시위(95. 12. 31) = 30 가. 이슈 : 문제화되는 01410 패킷망 요금부과 = 31 나. 동원과 주체 : 공론장과 운동주체의 형성 = 33 다. 행위양식 : 오프라인과 연결된 최초의 집합행동 = 38 2. 이슈확산기 : 촛불시위 이후(96. 1. 1)-대책회의구성이전(96. 1. 12) = 40 가. 이슈 : 확대되는 이슈 = 40 나. 동원 및 행위주체 : 발전적 동원과 역할의 분화 = 45 다. 행위양식 : 개별적인 활동의 다양화 = 48 3. 절정기 : 대책회의구성(96. 1. 13)-요금부과연기발표이전(96. 1. 22) = 52 가. 이슈 : 설정된 이슈의 선택적 조합 = 52 나. 동원 및 행위주체 : 조직화된 창구의 개설 = 54 다. 행위양식 : 세분화된 운동목표와 전략의 설정 = 56 4. 전환기 : 요금부과연기발표(1996. 1. 23)이후 대책회의 추후활동 = 62 가. 이슈 : 중심적 이슈의 퇴진 = 62 나. 동원 및 행위주체 : 의견수렴을 위한 공간마련과 운동참여자의 축소 = 64 다. 행위양식 : 공공정책수립을 위한 시도 = 66 C. 소결 = 69 1. 01410 부당요금 부과무효화 추진운동의 전개 = 69 2. 이슈전환의 내적동력 : 오피니언 리더의 다양한 의견제시 = 72 3. 운동참여의 내적동력 : 통신이용자로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 = 73 4.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행위양식 = 75 5. 사례운동의 함의 = 76 IV. 요약 및 한계 = 78 참고문헌 = 83 운동일지 = 8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32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의 정보운동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하이텔 01410 부당요금부과무효화추진운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