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희-
dc.creator조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84-
dc.description.abstract북한은 1990년대 중반이후 김일성의 죽음, 심화된 식량난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1999년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으로 추대되고 사회주의체제 고수를 재확인하면서 어떤 전환의 징후도 보이지 않고 사회가 안정화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이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온 원동력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지난 50년간 김일성 부자의 지도하에 북한사회를 지탱해 온 힘의 사회문화적 기반은 무엇인지 추적하려는 것이다. 일정기간동안 어떤 사회체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그것은 이데올로기적 동의 기제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사회적 통합과 안정화에서 "혁명전통 이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혁명전통 이란 김일성의 혁명업적 즉, 일제시대 김일성에 의해 주도된 항일무장투쟁의 전통을 말하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정권초기 김일성정권의 정당성 창출과 인민들의 합의를 끌어내기 위한 방법으로 항일혁명전통 선택하였다. 그 당시 북한의 모든 사람들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경험을 공유하고 있었다. 또한 김일성의 이미지는 지도자의 이미지보다 항일무장투쟁당시 보천보 전투를 성공적으로 이끈 장군의 이미지가 더 컸다. 북한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항일혁명전통을 "혁명전통 으로 상징화하게 된다. 혁명전통의 상징화는 확립기(1953~1966), 이념정립·제도화기(1967~1979), 계승기(1980~1994)를 거쳐 발전·풍부화 되어 간다. 이러한 혁명전통의 역사적 배경은 정치적인 상황 변화와 함께 변화되어 왔다. 제1기 혁명전통의 확립기는 김일성으로의 권력집중이 주된 정치적 과제 였다. 그래서 이시기 항일혁명전통에 대한 역사적 발굴작업이 대대적으로 전개되었다. 제2기 혁명전통의 이념정립·제도화기에는 김일성으로의 권력집중이 확고하게 되면서 확립기에 대대적으로 발굴된 항일혁명전통이 모든 분야(공간상징, 조형물상징, 언어상징, 예술상징, 신격화상징)에서 상징물로 구현되었다. 제3기 혁명전통의 계승기에는 김정일이 공식적인 후계자로 등장하면서 권력의 전이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혁명전통의 전통성 또한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전이되어 진다. 이 시기 혁명전통의 상징화 내용도 변화하게 된다. 혁명전통의 내용이 김일성 혁명업적중심의 상징에서 김정일의 혁명업적이 첨가되었으며, 그들 가족의 혁명업적까지 확대되었다. 이것은 후계자 김정일에 대한 정당성 강화를 위하여 필요한 작업이었다. 혁명전통의 상징화 방식은 5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간상징은 혁명전적지, 혁명사적지와 같이 항일혁명투쟁당시 김일성과 빨치산파들의 활동무대 또는 김일성 일가들의 항일혁명투쟁장소를 말한다. 조형물상징은 혁명전통을 상징하는 동상, 대기념비, 탑, 건축물들을 말하는 것이다. 언어상징은 언어자체의 상징보다는 슬로건, 구호, 성명을 통해 혁명전통을 상징화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구호로는 "고난의 행군정신", "항일유격대식 사업방법" 대표적이다. 예술상징은 혁명전통을 소재로 만들어진 영화와 소설을 말한다. 대표적인 혁명전통 영화로는 "피바다", "꽃파는 처녀" 등이 있다. 신격화 상징은 김일성과 김정일에 관한 혁명업적을 신격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체연호의 사용과 김일성·김정일의 생일을 국경일로 제정, 김일성과 김정일의 "탁월한 능력 을 공식화하는 것 등이 있다. ; North Korea had been faced with Kim Il-sung s demise, degenerated food-shortage, and economic difficulties since the mid-1990s. In 1998, however, Kim Jong-il was installed as a Chairman of the Defense Committee, as the society has gradually stabilized, it convinced the socialist system of North Korea retain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s that North Korea has sustained the stable system, in spite of political and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grounds which has backed up North Korean society under the leadership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for fifty years. I assumed that a society needs an ideological agreement factor in order to sustain the social system stably during the considerable period.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revolutionary tradition has functioned as an important factor in integrating and stabilizing North Korean society. Revolutionary tradition is defined as Kim Il-sung s revolutionary achievements, that is, the tradition of struggle against Japan led by Kim Il-sung in Japan-ruled era. North Korea chose revolutionary tradition for drawing the legitimacy of Kim Il-sung s regime and people s agreement. At that time, because all people in North Korea shared Kim Il-sung s struggling experience against Japan, they considered him as a general leading successfully Bochun-bo combat rather than their leader. This is why North Korean leadership symbolized anti-Japanese struggling tradition as revolutionary tradition . Symbolization of revolutionary tradition developed into three steps: establishment(1953~1966), institutionalization(1967~1979), succession(1980~1994). Historical backgrounds of revolutionary tradition have been changed along with political changes. First, in the establishment period, power-concentration into Kim Il-sung was a main political assignment, therefore, many historical works to dig out revolutionary tradition developed all around. Next,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eriod, as power-concentration into Kim Il-sung was settling, revolutionary tradition was embodied as symbols in all parts such as space, language, arts, buildings, and so on. In the succession period, after Kim Jong-il emerged as formal successor, power-shift appeare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in symbolizing revolutionary tradition were changed.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revolutionary tradition included Kim Jong-il s revolutionary achievements in addition to Kim Il-sung s and extended to their family s. This work was requirement to strengthen legitimacy of succession to Kim Jong-il. Symbolization of revolutionary tradi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methods. First, space symbols mean the places in which Kim Il-sung, his guerrilla colleagues, and his family had struggled such as revolutionary battlefields and historical spots. Second, molding symbols are such as statues, great monuments, towers, and buildings to symbolize revolutionary tradition. Third, language symbols was embodied in slogans, mottos, and declarations rather than in language itself. Fourth, arts symbols mean movies and novels made of the materials on revolutionary tradition. Finally, deification symbols are to deify the Kim Il-sung s and Kim Jong-il s revolutionary achievements. For example, there are using Juche era name, constituting two Kim s birthdays into national holidays, and formulating two Kim s excellent capa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1. 연구 목적 및 범위 = 1 2. 분석자료 및 이론적 자원 = 8 1) 자료 및 연구 방법 = 8 2) 이론적 자원 = 8 ① 전통의 창안 = 9 ② 상징·상징화 = 15 II. 북한 혁명전통 의 내용과 구성역사 = 24 1. 혁명전통의 내용과 정치적 위상 = 24 2. 혁명전통 의 구성 역사 = 29 1) 제1기 혁명전통의 확립기 : 1953년~1966년 = 31 ① 권력분립에서 권력집중으로 = 31 ② 상징화의 확립-출범과 내용 = 35 2) 제2기 혁명전통의 이념정립·제도화기 : 1967년~1979년 = 38 ① 후계자의 등장과 유일지도체계 성립 = 38 ② 상징화의 과잉 = 43 3) 제3기 혁명전통의 계승기 : 1980년~1994년 = 46 ① 후계체제의 완성과 사회정치적 생명 = 46 ② 상징화의 계승 및 변용 = 49 4) 제4기 혁명전통의 관례화기 : 1994년~현재 = 53 5) 소결 = 54 III. 혁명전통의 상징화 = 58 1. 상징화된 혁명전통의 분석 = 58 1) 공간 상징 = 60 2) 조형물 상징 = 70 3) 언어 상징 = 76 4) 예술 상징 = 82 5) 신격화 상징 = 92 2. 혁명전통의 상징화의 특징 = 95 IV. 결론 = 101 【참고문헌】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02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방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