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Title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Authors
박지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is beginned with a point of view that an old man was regard as the voluntary subject who always pursue quality of life in a stage of life cycle, however established studies dealt an old man with estrange being from family and society. The average of lifetime is prolonging by degrees. Moreover retirement in an early stage and compulsive retirement is increasing nowadays. Therefore new thesis and adaptation of relation of an old couple are demanded under life surroundings which each other undergoes different experience faced because of continuous time in limited space. Under the family system of the past a husband alone decided a every matter of a family as a leader of a family and a wife kept up the relation by obeying husband’s deliberation absolutely. Still relation of an old couple requires not a one-sided relation but a both-sided relation under a family system of nowaday. Expressly, fundamental factor is communication in order to form this interrelation. This thesis includes the contents about communication in conjugal relations of an old couple,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action of them. Study, executed with this purpose, is progressed on the subject of the old using welfare hall within the Seoul City limits and the old of the streets in "debriefing". Case used in the process of terminal analysis totaled up to 208 volumes. Gathered data are analyzied for SPSS Window Package Program through encoding course, and are use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and the level of fluent. Results obtained through above-mentioned processe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is study, communication of an old couple is closely related with co-ownership degrees for time and space. Especially, intimate degrees of an old couple`s married life depend on how many times hold in common and how to utilize carring on married life with a spouse. If judging from details of the conversation between an old couple, It is mostly about offsprings matters of concern to the family, recollection of the past, coming matters. But matters in connection with mutual affection are solved rather non-verbal communication than verbal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Moreover both-sided communication s degrees tends to decrease for a young couple. Seeing communication in proportion to sex distinction, a man generally tends toward open-heartedness for a woman. As a scholarship elevate and a religion coincide between them, it is achieved both-sided and open-hearted communication. Besides as a married couple is an good terms with their offsprings, they are conscious of satisfaction degree for their own life and talk about matlers of offspring than if not. Finally as a economic level elevate, an old couple talk about hobby, culture life, leisure and social activity than former days in talking with a spouse. In addition to, it hits at possibility that guide more communication about conjugal relations(affection, assignment of part) by forming sympathy. Meanwhile the level of health ha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between old couple reasonably. Not only health of a respondent but health of a spouse ha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too. In connection with psychical attribute of the old, whole satisfaction degrees of an old couple for a spouse is higher than it of a young couple. Inclination that elevated depend on their own spouses acts on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In the end, leisure activity with a spouse is connected with satisfaction degrees of communication of the old as well as satisfaction degrees for a spouse, especially. The significance of leisure between an old couple above-mentioned have to be emphasized in succession. This thesis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point of supplementing the side of conjugal relations dealt with carelessly in established studies for the old and concrete analyzing characteristic indicat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by analyzing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Moreover this thesis contribute to the study of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old in respect to analyzing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by putting in various personal character under special situation. Eventually this thesis commits fault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commits a fault import of appling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whole old man. Second, this thesis commit a fault in port of setting the subject of study for an individual, not a couple. Third, this thesis commit a fault in part of appling to established theory related to communication between an old couple, in spite of absence of theorical establishment. ; 본 논문은 노인을 무기력하고 가족과 사회에서 소외된 존재로 다루어 온 기존의 연구들의 시각과는 달리 노인을 생애주기의 한 단계에서 삶의 질을 항상 추구하고 있는 능동적인 주체 로서 보고자 하는 시각에서 출발되었다. 노인의 평균수명이 점차 연장되고 있으며 조기은퇴 및 강제은퇴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낮시간 동안 서로 다른 경험을 해 온 부부가 제한된 공간 속에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연속됨으로써 부딪히게 되는 생활환경안에서 새로운 부부관계의 재정립과 적응이 요청되고 있다. 오늘날의 가족제도에서 부부관계는 일방적인 관계보다는 쌍방적인 상호관계를 필요로 한다. 특히 이러한 상호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바로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인의 부부관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개인적 변인들에 의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성격과 내용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노인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실시된 조사연구는 서울 시내 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 노인들 및 서울시내 공원과 거리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진행되었다. 최종분석에는 총 208부의 사례가 투입되었다. 표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SPSS window package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고, 분석목적 및 변수의 수준에 따라 빈도분석, 카이자승, t검증, 변량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와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와의 시간 및 공간의 공유 정도는 부부 커뮤니케이션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부부에게 있어서 그러한 공유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도 부부관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하고 있었는데, 하루의 상당 부분을 배우자와 함께 보내는 노인부부에게 있어 공유시간의 활용은 가족보다는 부부간에 그 중심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 노인 부부들은 부부가 함께 있는 시간에 공동취미를 즐기거나 집안일 분담 정도는 극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군다나 배우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쌍방적이고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노년기 이전의 부부보다는 다소 낮아졌으며 상당 부분을 언어적으로보다는 비언어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어 폐쇄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나갈 소지를 다분히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은 노인들의 배우자와의 대화 만족도 및 배우자 만족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변인들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을 보면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좀더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 형 을 띠고 있었으며, 특히 학력이 높아질수록, 배우자와 종교가 일치할수록 부부간 쌍방적이고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녀와의 사이가 좋을수록 노인들은 자신의 인생 만족도를 높게 느끼고 있었으며 부부간 대화에 있어서도 자녀문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여가에 대한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배우자와의 함께 하는 취미 및 문화생활, 여가 및 사회활동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령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인 노인의 건강문제는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작용함을 볼 수 있었으며, 노년기에 배우자와 함께 하는 여가활동은 배우자와의 대화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우자와 함께 소일의 여가, 사회단체활동의 여가 활동을 할수록 배우자와의 대화 만족도 뿐만이 아니라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년기에는 다소 폐쇄적인 커뮤니케이션 형 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되어 노년기 이전의 부부보다 노인 부부에서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노인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배우자와의 대화시 의견의 일치도 와 존중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게 있어서 배우자와 대화시 서로에 대해 얼마나 존중해주며 솔직하고 개방적인 대화를 나누느냐는 배우자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에게 있어서 배우자와의 동반자적인 삶을 열어가기 위해서는 배우자의 의견을 항상 존중해주며, 나아가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될 때 비로소 노년기에 원만한 부부관계를 성립, 지속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부부관계가 중요시되는 노년기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노인에 대한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어 왔던 부부관계 측면을 보완하고, 한국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특수성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노인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여러 가지 개인적 특성들을 투입하여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한 점은 노인 연구 뿐만이 아니라 가족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논문은 첫째, 서울시의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노인에게 적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둘째, 남편과 부인 한 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 셋째,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이론을 적용하였다는 점 등을 한계로 지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