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현경자-
dc.contributor.author이경은-
dc.creator이경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98-
dc.description.abstract가족은 개인의 가장 중요한 환경으로서 특히 정신질환자에게 있어서 일차적인 보호제공자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가족들이 환자보호 및 관리에 필요한 실제적인 정보와 정신질환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지는 것은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에 필수적이며, 동시에 가족의 스트레스 및 불안감소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특성불안과 상황불안을 구분하지 않은 일반적인 불안에 관한 연구이며, 정신질환자를 둔 가족의 상황불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정신질환의 범위가 넓고 그 증상이나 이에 대한 치료가 상이하며 또한 정신질환자 가족들의 불안수준도 차이가 있음을 간과한 채 정신질환자 가족의 불안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들이 정신분열병환자로 인해 느끼는 상황불안정도를 파악하고, 가족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와 가족들의 상황적 특성이 상황불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가족들의 상황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6개의 정신보건센터 주간보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한 7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10월 20일부터 11월 17일까지로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협조에 응한 가족을 대상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Speilberger(1970)의 자기 보고형 불안측정 도구인 상황-특성 불안 척도(STAI; State Anxiety Inventory)중 상황불안(Anxiety state)도구와 장미희(1997)의 연구에서 사용된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신분열병환자와 가족이 생활하면서 경험한 내용에 대해서도 질문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상황불안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이해의 하위측면 중 약물관리는 상황불안과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251, P<.05). 2. 정신분열병환자 특성인 환자의 성별, 연령, 유병기간, 입원횟수와 상황불안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정신분열병환자 특성과 가족의 상황불안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성별(t=.450, P>.10), 환자의 연령(F=.396, P>.10), 유병기간(F=.348, P>.10), 입원횟수(F=1.845, P>.10)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으로 환자와의 가족 관계와 상황불안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01, P<.05). 5.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으로 가족의 성별(t=-.279, P>.10) 교육수준(F=.070, P>.10), 경제수준(F=.361, P>.10)과 상황불안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환자와의 가족 관계와 상황불안과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645, P<.05). 즉, 부모의 경우에는 가족 내에서 환자와의 유대관계가 강하며 환자보호에 있어 큰 책임감이나 의무감을 느끼고 있어 상황불안이 컸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가족의 연령과 상황불안과의 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80, P<.10 ). 즉, 연령이 높을수록 상황불안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상황불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가 상황불안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예측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러나,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연령, 환자와의 가족관계, 유병기간, 입원횟수는 상황불안에 대해서 14%의 설명력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상황불안에 대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은 환자와의 가족관계였다. 또한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의 하위측면인 정신분열병에 대한 지식과 약물관리, 증상관리를 추가하였을 때 상황불안에 대한 설명력은 12.3%가 증가하여 총 26.3%의 설명력을 갖게 되었으며, 특히 약물관리에 대한 이해가 상황불안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 중 약물관리에 대한 이해가 낮으면 상황불안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 중 환자와의 가족 관계가 상황불안에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발견할 수 있었고, 환자의 부모인 경우 상황불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물관리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 가족의 상황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한 효율적인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마련하여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for the individual.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family is much emphasized as the primary caregiver for the mentally-ill patients. Moreover understanding of the family toward mental illn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the patients. At the same time, such knowledge relieves the stress of the family members, and reduces their anxiety. But, most of studies didn t distinguish the anxiety-trait from anxiety-state and there were seldom studies on the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Above all, the studies have overlooked there are many kinds of mental illness and there are differences about symptom, treatment and the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Hence, in this research, I identified the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And I fou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anxiety-stat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eventy-two family members who have supported the schizophrenia patients participating in the day-care program of six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except one. Beginning from October 20, 2001 to November 17 in the same year, it took about one month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s,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and the anxiety-trait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The questionnaires are State Anxiety Inventory by Speilberger(1970), understanding of the schizophrenia instrument by chang Mi Hui(1997) and open-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ver.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 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and the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rug-management, sub-type of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was related to the anxiety-state(r=-.251, P<.05). 2. The relation between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and the characters of schizophrenia patient; sex, age, duration of suffering from disease, hospitalization times were not related. 3. The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characters of schizophrenia patient : sex(t=.450, P>.10), age(F=.396, P>.10), duration of suffering from disease(F=.348, P>.10), hospitalization times(F=1.845, P>.10). 4. The relationship of both patient and family member, the characters of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was correlated with the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r=.-301, P<.05). 5. The relation between anxiety-state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and the characters of schizophrenia patients family; sex(t=-.279, P>.10), education(F=.070, P>.10), economic level(F=.361, P>.10) were not related. But, the relationship of both a patient and a family memb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anxiety-state(t=2.645, P<.05). I supposed that if a family member was a patient s parent, he should retain a strong tie and he should be responsible for caring. So, his anxiety-state would be higher. Also,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anxiety-state(F=.2680, P<.10). That is, I identified that the more age was, the more anxiety-state was. 6. On the Stepwis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not suppor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would be related with the anxiety-state. But, family member s age, the relationship of both a patient and a family member, duration of suffering from disease, hospitalization times explained about the anxiety-state as much as 14%. Especially, the relationship of both patient and family member was very an important fact. Also, when I input the factors, knowledge about the schizophrenia, drug-management, symptom-management, explanation about the anxiety-state was increased as much as 12.3%. Also drug-management was very an important fact. In conclusion, the less understanding of the drug-management was, the more anxiety-state was. Also, relationship both a patient and a family member was an important factor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s. Especially when a member was a patient s parent, the anxiety-state was higher. A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at understanding of the drug-management would contribute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and would reduce anxiety-state. So, I suggests that we should develop effective social service programs and give direct helps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II. 이론적 배경 = 4 A.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 = 4 1. 정신분열병의 개념 = 4 2.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의 세 가지 측면 = 5 3.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 = 5 4.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 = 7 B.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불안 = 9 1. 불안의 개념 = 9 2. 가족의 불안 = 10 3. 가족의 상황불안 = 12 C.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와 불안 = 13 D. 연구 분석틀 = 14 1. 연구질문 = 14 2. 연구모형 = 14 III. 연구 방법 = 15 A. 연구 대상 = 15 B. 자료 수집 = 15 C. 측정 도구 = 16 1. 가족의 상황불안 = 16 2.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 = 17 3. 가족의 상황적 특성에 관한 질문 = 17 D. 자료 분석 = 17 IV. 결과 분석 및 논의 = 19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9 1.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 = 19 2.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 = 20 B.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와 상황불안 = 23 1.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 = 23 2.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의 하위측면들간의 상관관계 = 24 3.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상황불안 = 25 C.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과 가족의 상황불안과의 관계 = 26 D.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과 상황불안과의 관계 = 28 1.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과 상황불안과의 상관관계 = 28 2.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의 상황불안의 차이 = 29 E.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과 상황불안과의 관계 = 31 1.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과 상황불안과의 상관관계 = 31 2.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상황불안의 차이 = 32 F. 상황불안에 대한 설명력을 갖는 예측변인 분석 = 35 V. 결론 및 제언 = 38 A. 결론 = 38 B. 제언 = 43 1. 가족의 상황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임상적 개입방안에 대한 제언 = 43 2.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 44 참고문헌 = 45 부록 = 50 영문초록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37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질환에 대한 이해와 상황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