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이나영-
dc.creator이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97-
dc.description.abstract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부각되고 점차 사회적인 이슈로 자리잡으면서 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본격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아동학대 신고 및 상담을 위해 보건복지부는 2000년 7월 13일 아동복지법 개정안을 발표하고 아동복지 체계를 통해 같은 해 10월 기존 민간단체가 운영해 오던 신고센터를 공식 지정하여 아동학대예방센터를 각 시도별 1개소씩(서울 2개소) 전국에 총 17개소로 설치하여 운영되고 있다. 또한 2000년 10월부터는 아동학대예방, 긴급신고 및 상담전화 1391번을 설치하면서 아동학대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보호에 대한 아동 및 그 가족의 욕구도 증가되고 사업도 점차 체계화되고 양적으로도 확장되어가나 아동학대 업무 자체가 보건복지부를 통해서 공식화된지 이제 일 년이 지난만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아동학대에 관련된 소수의 연구도 대부분 학대아동에 초점을 둔 실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을뿐 질높은 서비스에 직결되는 서비스를 전달하는 아동학대 상담원이나 아동학대예방센터 업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원들은 24시간 신고전화로 인한 학대 업무 자체의 스트레스와 부담감, 여러 업무 환경으로 인해 부담감을 호소하고 있다. 무엇보다 복지 서비스 현장에서 상담원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복지 현장에서 상담원들이 겪고있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에 대한 대책없이 상담원은 소진(burnout)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복지 영역에 있어서 종사자의 소진은 단순히 특정 사회복지사 개인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감정을 갖게 만들어 서비스의 질과 효과성을 저하, 사회복지 종사자의 잦은 결근과 이직을 만들고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가져와 아동복지사업 분야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어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야할 문제이다. .아동학대예방센터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되고 피학대 아동과 그 가족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현재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여러 업무환경을 살펴보는 선행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의 소진 경험 정도를 파악하였고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이 경험하는 소진과 개인 특성 변수, 클라이언트 특성변수, 업무환경 변수,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1년 10월에서 11월까지 실시되었고 조사 대상은 전국에 위치한 17군데의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상담원으로 선정하였다. 각 센터당 6명(총 102명)의 상담원이 실제적으로 학대 업무를 수행함을 확인하여 102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수집된 자료중 92부를 회수하였고 내용이 불성실한 2부를 제외하고 총 9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0.0 for Windows을 실행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검사, T-test, 상관 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 평균 점수는 중간값을 넘는 59점으로 소진이 되었다고 응답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소진 하위 영역에서 감정 고갈을 가장 크게 경험하고 있으며 개인성취 결여 정도가 제일 낮고 비인간화는 그 중간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사회사업기관 근무자, 의료사회사업가, 노인복지종사자, 복지관 사회복지사, 아내학대관련 상담원과 비교시 소진의 각 하위 영역 모두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이 경험하는 비인간화, 감정고갈, 결여되는 개인성취 정도가 큼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이 다른 사회복지 실무자보다 경험하는 느끼는 소진 정도가 훨씬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에 있어 응답자의 경우에도 여성이 남성보다 2배로 많고 26-30세가 응답자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혼이 기혼보다 많다. 일반 사회복지사가 약 78%이며 대졸 학력이 전체의 60%를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의 사회복지계 총근무기간은 평균이 약 37개월로 평균 3년이상 사회복지계에서 근무하였으며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는 평균 약 14개월로 1년 2개월 근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담원들의 하루 평균 근무 시간은 약 11시간이며 상담원 1인당 평균 5개의 사례에 개입하고 있으며 약 9개의 사례를 사후관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다른 사회복지 실무자에 비해 소진 정도가 큰 것은 상담원들의 사례 관리수, 사후관리수, 평균 근무 시간, 미혼 , 2년 미만의 센터 근무 기간과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셋째, 클라이언트 특성을 살펴보면 응답한 상담원들과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는 그다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클라이언트 문제가 약간 심각하고 복잡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에서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문제가 심각할수록,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가 좋지 않을때 역시 사회복지사는 쉽게 소진된다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해준다. 넷째, 직무만족 특성을 살펴보면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이 업무에 관한 전체 만족도를 볼 때 약간 만족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다섯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의 개인 특성과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볼 때 성별에 있어 여자가 남자보다 감정 고갈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많은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감정 고갈을 크게 느낀다고 조사되었으나 그렇지 않은 결과를 보이는 연구 결과도 있어 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연령이 작을수록 소진을 크게 느끼는 부분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것으로 본 논문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연령이 적을수록 소진을 크게 느끼고 개인 성취를 적게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클라이언트 특성과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면 클라이언트와 관계가 좋을수록 개인적 성취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원만하고 친밀한 관계 형성시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이 느끼는 개인적 성취감이 커지는 것으로 고찰해 볼 수 있다. 일곱째, 업무환경 특성과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전이 낮고 보상이 낮고, 편안함이 낮고 업무량이 많고 역할이 모호하고 슈퍼비젼이 낮을수록 소진의 경험을 크게 느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덟째, 직무만족 변수와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소진을 느끼는 경험 정도가 크고 직무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개인적 성취를 적게 느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아홉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에 영향력 있는 변수를 알기 위해 개인 특성 변수, 클라이언트 특성 변수, 업무환경 변수의 각 변수군에서 특성군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특성변수중 소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성별, 연령, 근무시간이며 이중 근무시간은 전체 소진, 비인간화, 감정적 고갈 모두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 현상은 어떤 한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여러 변수가 복합적으로 상호연관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고 상담원의 업무 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들은 각 상담원이 감당하기에 많은 사례수의 개입 및 사후 관리가 이루어져 상담원의 업무량을 늘리고 심리적 부담감을 주리라 보여진다. 각 센터당 인력을 보충하여 상담원 수를 늘려 각 사례수를 줄이도록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업무 환경을 볼 때 평균 근무시간이 11시간으로 12-15시간 근무하는 경우도 있어 이런 긴 근무시간은 상담원들의 소진을 가속화된다고 여겨지는 바이다. 이에 충분히 쉬면서 효율적으로 근무 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는 역할 모호를 벗어나기 위한 분명하고 구체적인 역할 수립이 필요하며 전체 상담원이 이해할 수 있도록 공식화시키는 것이 보완되어야 한다. 넷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슈퍼비젼 개발이 요구된다. 자체 센터내에서 뿐만 아니라 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를 통한 효율적인 슈퍼비젼 및 재교육을 계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에 대한 법조항 및 제도적 보완과 함께 각 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도 실제적인 업무 개선이 같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여섯째,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상담원의 소진 정도가 높음을 볼 때 상담원의 전문성을 높이도록 기존의 상담원 교육 시간과 내용을 보강하고 상담원들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학대업무에서 상담원들이 겪는 고유한 이차적 외상 및 소진에 대한 대처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 목적 = 4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5 II. 이론적 배경 = 6 1. 소진의 이해 = 6 1) 소진의 개념 및 정의 = 6 2) 소진의 반응 및 영향 = 8 3) 소진의 원인 = 10 2.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과 소진 = 18 III. 연구 방법 = 20 1. 연구 질문 및 연구 모형 = 20 1) 연구 질문 = 21 2) 연구 모형 = 22 2. 조사대상 및 조사 방법 = 24 3. 조사도구 = 25 1) 측정도구 신뢰도 = 25 2) 종속변수와 독립 변수 = 28 4. 설문지 내용 변수 = 30 5. 분석 방법 = 31 IV. 연구 결과 = 32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2 2. 종속변수의 기술적 분석 : 응답자의 소진 정도 = 35 3. 독립변수의 기술적 특성 = 37 1) 클라이언트 특성 변수 = 37 2) 업무환경 특성 변수 = 37 3) 직무만족 특성 변수 = 38 4. 주요변수들과 소진과의 관계 분석 = 40 5.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특성군별 분석 = 43 1) 개인 특성 변수들과 소진의 특성군별 분석 = 43 2) 클라이언트 특성 변수들과 소진의 특성군별 분석 = 45 3) 업무환경 특성 변수들과 소진의 특성군별 분석 = 45 4) 직무만족 특성 변수들과 소진의 특성군별 분석 = 48 6.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종합분석 = 49 1) 전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49 2)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50 3) 감정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50 4) 개별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51 V. 결론 및 제언 = 52 1. 결론 = 52 2. 제언 = 57 참고문헌 < 부록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3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