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은정-
dc.creator안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53-
dc.description.abstract뇌성마비아동은 말을 할 때 필요한 조음기관의 운동과 협응이 원활하지 못하여 말소리 산출에 많은 오류를 보인다. 뇌성마비아동의 조음운동 특징은 이들의 말을 지각적 혹은 음향학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말소리의 시간적 특성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은 조음운동에 대한 간접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모음과 파열음은 이러한 음향학적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소리이며, 뇌성마비아동은 정상아동보다 모음과 파열음의 길이를 길게 산출하거나 다른 소리와의 대조를 명확하게 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음-무기경음-모음/ 환경에서 뇌성마비아동과 정상아동간에 나타나는 말소리의 시간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의거하여 뇌성마비아동이 보이는 조음운동의 시간적 조절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경직형 뇌성마비아동 14명과 정상아동 14명이다. 이들은 모음 /이, 우, 아/를 자음 /ㅃ, ㄸ, ㄲ/의 앞·뒤에 놓은 VCV형태의 낱말(예: 이삐)을 세 번씩 반복하여 읽었다. 녹음자료는 Dr. Speech 3.0을 이용하여, 앞·뒤 모음의 길이, 파열음의 폐쇄구간, VOT 및 전체음절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비교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아동은 앞·뒤 모음의 길이, 파열음의 폐쇄구간 및 전체음절의 길이가 정상아동에 비해 길었다. 이는 뇌성마비아동의 느린 조음운동속도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뇌성마비아동의 경우에는 조음위치가 각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정상아동에 비해 크지 않았으며, 모음의 종류에 따른 모음길이의 차이 또한 정상아동에 비해 작았다. 이를 통해, 뇌성마비아동은 소리의 변별적 산출에 필요한 조음기관의 세부적 움직임이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파열음의 VOT는 뇌성마비아동이 후두와 후두상부의 조음기관과의 시간적 협응이 원활하지 못함을 보여주는 측정치였다. 그러나 정상아동들처럼 연구개음의 VOT를 가장 길게 산출하고, 폐쇄구간이 긴 자음일 때는 VOT를 짧게 산출하여 뇌성마비아동들도 조음기관의 정상적인 시간조절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아동의 조음기관에 대한 시간적 조절이 정상아동에 비해 원활하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성마비아동의 말을 진단·평가할 때 조음정확도와 더불어 모음 및 모음과 파열음간의 시간적 조절 양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치료의 진행정도를 평가할 때에도 말소리의 시간조절이 변별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진단과 치료에서 음향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한다면 언어진단 및 치료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Fourteen normal and 14 CP subjects age and gender matched par- 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Each subject made a recording of 9 VCplosiveV(hereafter, VCV) disyllables of /ip i/, /it i/, /ik i/, /up u/, /ut u/, /uk u/, /ap a/, /at a/, and /ak a/, three times each. The five measurements were made for the recorded samples. They were (1) the duration of the first vowel, (2) the closure duration, (3) VOT, (4) the duration of the second vowel, and (5) the total duration of the disyllabl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 both groups, no sig- 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uration of the first vowel be- tween /i/, /u/ and /a/. But the durational difference of the three vowels in the normal group was greater compared to that of the CP children, (2) each measure of VCV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CP children, except VOT in /it i/, /uk u/ and /ap a/ and the duration of the second vowel, (3) in the context of /i/ and /u/, the place of articul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osure duration and the VOT for both groups and the effec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4) in the context of /a/,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effect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on the VOT and the total duration of the disyllables, (5) for VOT, the effect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was clear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CP group, (6) for all acoustic measures,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CP children are greater than those of the normal ones, ( 7) in general, the place of articulation had little effect on the acoustic measurements of VCV. These conclusions indicate that the articulatory movements of the CP children are temporally s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ones and their temporal aspect of articulatory control is deviant from the normal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l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모음과 자음의 시간적 특성 = 4 1. 모음의 길이 = 4 2. 파열음의 폐쇄구간과 VOT = 6 B. 뇌성마비의 조음 특성 = 10 1. 뇌성마비의 모음 특성 = 10 2. 뇌성마비의 자음 특성 = 12 3. 뇌성마비의 조음기관 운동 특성 = 14 III.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목표음소의 선정 = 16 C. 자료 수집 = 18 D. 음향음성분석 = 18 E. 자료의 처리 = 20 F. 신뢰도 = 20 IV. 연구결과 = 21 A. 집단간 소리의 길이 측정 결과 = 21 B. 뇌성마비집단과 정상집단의 조음위치에 따른 소리길이의 측정 결과 = 29 1. 모음 /이/에서 집단간 조음위치에 따른 소리의 길이 = 29 2. 모음 /우/에서 집단간 조음위치에 따른 소리의 길이 = 35 3. 모음 /아/에서 집단간 조음위치에 따른 소리의 길이 측정 결과 = 42 V. 결론 및 논의 = 49 A. 결론 및 논의 = 49 B. 연구의 제한점 = 53 C.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8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상아동과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조음시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모음-무기경음-모음환경에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