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연석정-
dc.creator연석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5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는 다양한 목적을 갖고 상대방에게 우리의 생각이나 의미를 전달한다. 우리가 긴 문장으로 생각이나 의미를 표현하기까지 많은 발달단계를 겪게 된다. 처음에 신생아는 울음이나 웃음으로 자신의 불편함이나 기분 좋음을 표현한다. 이러한 행위는 의도적이지 않고 반사적인 행동이다. 우리는 아동의 의도적이지 않은 행동에 반응하며, 차츰 아동은 자신의 행동이 주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의도적인 행동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이것이 의사소통의 첫 시작이다. 아동은 자신의 의도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언어체계가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갖고 상대방과 의사소통하기 시작한다. 어린 아동의 초기 의사소통행위는 의사소통하기 위한 말의 의도적 사용의 선수 역할을 하며(Bates, 1976), 표현어휘 습득을 위한 기초가 된다(Bates, Camaioni & Volterra, 1975). 청각장애아동은 태어나면서부터 듣기능력의 결함으로 주변 사람들이 자신에게 전달하는 의도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의사소통하기 위한 표현수단을 공유할 수가 없어 언어발달의 지체를 나타낸다. 말발달을 위해서는 조기에 의사소통의도를 다양하게 발달시키는 치료계획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청각장애아동의 초기 의사소통의도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의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의 의사소통의도의 총 출현빈도, 의사소통의도 표현수단의 유형별 출현율, 의사소통의도의 범주별 출현율을 구하여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아동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청각장애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긴 정상아동 12명이었다. 연구자가 고안한 의사소통의도 유도절차에 따라 아동과 상호작용하면서 아동의 의사소통의도를 녹음 및 비디오 녹화를 하였다.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의사소통의도 범주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차이가 유의한 경우 Tukey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의사소통의도의 총 출현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2)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아동 보다 몸짓, 발성, 몸짓+발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고, 말과 몸짓+말에서 유의하게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3)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객관적 언급하기, 구성요소, 모호한 의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고, 반응하기, 주관적 진술하기, 메시지 수신표현에서 유의하게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4)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행위 요구하기, 사물 요구하기, 반복, 의례적 반응, 사물에 주의끌기, 이름대기, 의례적 인사, 감탄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고, 예/아니오 질문하기, 의문사 질문하기, 예/아니오 대답하기, 의문사질문에 대답하기, 명료화하기, 고유특성, 규칙, 주장, 설명, 수용에서 유의하게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cative intentions of hearing-impaired and normally hearing children at 3 years of age. Twelve hearing-impaired and twelve normally hearing children, age-matched, par- ticipated in this study. Communicative intentions were elicited and video- taped from semistructured play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 and the researcher. The mean number of occurrences of communicative intentions, the percentage of occurrences of communicative means, and the percent- age of occurrences of the functional categories of communicative inten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number of communicative intention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was sig- 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ly hearing children, (2) the per- centage of occurrence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s gesture, vocaliza- tion and gesture+vocaliz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ly hearing children. But the percentage of occurrence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s speech and gesture+spee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ly hearing children. Whereas the normally hearing children used speech exclusively,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exhibited about equal use of gesture and gesture+vocalization, (3) the percentage of occurrence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s Comment, Organization De- vice, and No Clear In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ly hearing children. But the percentage of occurrence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s Statement, Response, and Acknowledgement was sig- nificantly lower tha n that of the normally hearing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3 C.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정상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관한 연구 = 5 B.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관한 연구 = 11 III.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절차 = 20 C. 신뢰도 = 27 D. 통계분석 = 30 IV. 연구결과 = 31 A. 의사소통의도의 총 출현빈도 = 31 B. 의사소통의도의 표현수단 비교 = 31 C. 의사소통의도의 범주별 출현율 비교 = 34 V. 결론 및 논의 = 46 A. 결론 및 논의 = 46 B. 연구의 제한점 = 51 C. 제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6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의도 표현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