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주영-
dc.creator박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35-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기업은 새로운 경쟁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제품시장은 범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공급자 중심의 시장에서 소비자 중심의 시장으로 바뀜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수명주기는 점차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생산 및 경영합리화와 같은 새로운 경쟁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제조 및 경쟁환경의 변화로 기존의 계획 및 통제에 초점을 맞춘 재료비, 노무비, 제조간접비의 관점에서 품질, 기술, 혁신, 유연성 등으로 관리회계의 관점이 전환되고 있다. 또한 자동화의 가속화로 직접노무비와 직접재료비 등 직접원가의 비중은 줄어들고 생산공정의 지원을 위한 제조간접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제조간접비는 현대 기업의 원가구조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크고 조업도뿐만 아니라 다른 생산 및 지원활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생산전략 및 관리회계 연구에서 밝혀져 왔다. 따라서 조업도 변수 하나만을 이용하여 제조간접비를 배분하는 전통적 관리회계 시스템은 그 적합성을 상실해 가고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활동기준원가회계(activity-based costing: ABC)가 등장하게 되었고, 학자들은 활동기준원가회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원가동인에 대한 연구들을 진행하게 되었다. 원가동인은 크게 구조적 원가동인과 실행적 원가동인으로 나누어진다. 구조적 원가동인은 공장규모, 자동화의 정도, 제품결합 복잡성 등 기업의 경제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기업의 원가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다른 기업에 의한 모방이 가능하다. 반면에 실행적 원가동인은 기업의 운영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기업이 모방하기 힘든 실질적인 원가경쟁력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략적 의사결정의 관점에서 실행적 원가동인의 고려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원가동인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는 기업의 생산 및 원가관련 정보 획득의 어려움으로 아직까지 원가동인에 관한 실증연구는 저조한 편이며 원가동인에 대한 연구도 구조적 원가동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원가관련 자료 획득이 어렵더라도 현재와 같은 생산환경 하에서 기업의 원가구조 개선 및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실제로 제조간접비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동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들이 원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질적인 원가 경쟁력의 원천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구조적 원가동인뿐만 아니라 실행적 원가동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JIT 생산방식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실행적 원가동인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공장의 물적 자원과 관련된 FMS가 JIT 생산방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조간접비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JIT 생산방식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이 FMS의 실행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가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셋째, 실행적 원가동인의 활용을 통해 구조적 원가동인으로 인한 제조간접비의 증가가 상쇄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제품다양성과 제조간접비 개선의 관계가 JIT 생산방식의 활용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IT 생산방식이 제조간접비의 개선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 결과 JIT 생산방식은 제조간접비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제조간접비를 구체적으로 물류비, 작업준비원가, 품질원가로 나누어 JIT 생산방식이 이들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는데 역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실행적 원가동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JIT 생산방식과 제조간접비 개선간의 관계에서 FMS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FMS의 실행정도가 높은 공장이 낮은 공장에 비해 JIT 생산방식과 제조간접비의 개선의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간접비를 구체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물류비와 작업준비원가의 개선정도에는 FMS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만, 품질원가의 개선에는 FMS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적 원가동인과 실행적 원가동인의 상호작용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JIT 생산방식의 실행도가 높은 공장이 낮은 공장에 비해 제품다양성과 제조간접비 개선의 부적인 관계가 더 약하게 나타나 JIT 생산방식이 조절변수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추가분석에서 제조간접비의 개선정도를 구체적으로 나누어 본 결과 물류비의 개선에서는 JIT 생산방식의 조절적인 역할이 나타났으나 작업준비원가와 품질원가의 개선에서는 JIT 생산방식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적 원가동인의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다는 것이다. 실행적 원가동인의 유용성은 인정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JIT 생산방식을 실행적 원가동인으로 삼아 제조간접비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실행적 원가동인간의 상호작용 및 실행적 원가동인과 구조적 원가동인간의 상호작용이 제조간접비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원가동인간의 영향이 있음을 밝혀내어 원가동인에 대한 연구 범위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 기존 관리회계 시스템에 대한 적합성 상실이라는 비난을 극복하고 전략적 원가관리의 측면에서 기업이 원가동인에 대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제조간접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동인으로 JIT 생산방식, FMS, 제품다양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연구결과의 설명력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제조간접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실행적, 구조적 원가동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JIT 생산방식의 유용성은 밝혔지만, JIT 생산방식이 제조간접비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연구를 한다면 실행적 원가동인의 활용에 대한 유용성을 더 분명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모든 변수를 측정함에 있어서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응답에만 의존하여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사업보고서 상의 공시된 자료를 이용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advent of changes in the production industry and the overall competitive environment has resulted in a shift in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accounting from the present plan and control strategy which focuses on material, labor,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o a quality, technology, innovation, and flexibility based philosophy. Moreover, the acceleration of automation has caused a decrease in direct cost (direct labor and material cost) while presenting an increasing interest i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at supports the production process. Manufacturing overhead cost not only presently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cost structure of organizations but has also been found to be induced by production and support activities.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is that it only implements one volume-related variable to allocat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BC (activity-based costing) was introduced. Academicians have been and are currently researching cost drivers to scrutinize the validity of ABC. Regardless of the growing concern of cost drivers, the present empirical studies on cost drivers are sparse due to the difficulty in acquiring corporation cost and production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So most cost driver researches are centered on structural cost drivers rather than on executional cost drivers. However, in order for to ensure the gain of a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improvement of cost structure, studies on how cost drivers influenc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have become a growing necessity, despite difficulty in acquiring corporation cost related data. Also in order to reveal the source of realistic cost competitiveness, not only is there a need for the advancement of studies on structural cost drivers, but comprehension of the influences of executional cost drivers is also imperativ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an inquiry on how JIT as an executional cost driver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Second, to examine interaction of executional cost drivers, an investigation on how the interaction between FMS and JIT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ird, to investigate how the implementation of executional cost drivers can alleviate,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caused by structural cost drivers. The hypothese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Hypothesis 1. JIT will positively effect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Hypothesis 2. The relationship between JIT and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will be moderated by the executional level of FMS. Hypothesis 3.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variety and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will be moderated by the executional level of J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IT positively effects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Second, if the executional level of FMS was high, then the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IT and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appeared to be greater than when the executional level of FMS was low. However, whe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were divided and analyzed, FMS played a role in moderating the improvement of logistics and set-up costs, but did not play a role in moderat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cost. Third, if the executional level of JIT was high, then the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variety and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appeared to be lesser, thus exemplifying the moderation variable effect of JIT. However, whe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were divided and analyzed, JIT played a role in moderating the improvement of logistics costs, but did not moderate the improvement of set-up and quality cos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ity of executional cost driver could b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empirically examining how the interaction of executional cost driver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xecutional and structural cost drivers effect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overhead cost requires the unprecedented expansion of the investigation going beyond any existing research or study. Third, this study should that the criticism that existing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has lost relevance could be overcome. Furthermore,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cost management, will provide a new direction for future cost driv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only incorporated factors that influence manufacturing overhead cost improvement such as JIT, FMS, and product variety, the overall the R2’s of this study are relatively low. Thus, in order to increase R2 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diverse executional and structural cost drivers that affect manufacturing overhead cost.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racticability and usefulness of JIT, an executional cost driver by only using cross-sectional data. However, in order to further confirm the benefits and advantages of implementing executional cost drivers. future studies should be do not only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just also time-series data analysis that can reveal the change in the effects of executional cost drivers on manufacturing overhead cost. Third, the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low due to subjectivity of answers exploited i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C. 논문의 구성 = 6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7 A. 경영환경의 변화와 관리회계 시스템 = 7 B. JIT 생산방식 = 8 1. JIT 생산방식의 개념 = 8 2. JIT 생산방식의 기본요소 = 10 3. JIT 생산방식의 효익 = 11 4. JIT 생산방식 하에서 전통적 회계시스템의 문제점 = 13 C. 공장자동화와 FMS = 16 1. 공장자동화의 개념 및 도입 동기 = 16 2. 공장자동화의 분류 = 17 3. 공장자동화와 FMS = 19 D. 구조적 원가동인과 실행적 원가동인 = 20 1. 구조적 원가동인과 실행적 원가동인 = 20 2.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JIT 생산방식 = 22 3. 실행적 원가동인으로서 FMS = 23 4. 구조적 원가동인으로서 제품다양성 = 24 E. 원가동인에 관한 선행연구 = 26 1. 국외연구 = 26 2. 국내연구 = 30 III. 연구가설 및 모형 = 33 A. 연구가설 = 33 1. JIT 생산방식에 대한 가설 = 34 2. JIT 생산방식과 FMS에 관한 가설 = 34 3. 제품다양성과 JIT 생산방식에 관한 가설 = 36 B. 연구모형 = 38 1. JIT 생산방식과 제조간접비 개선의 관계 = 38 2. JIT 생산방식과 FMS와의 관계 = 38 3. 제품다양성과 JIT 생산방식의 관계 = 39 IV. 연구조사방법 = 41 A. 변수의 정의 및 측정 방법 = 41 1. 종속변수(제조간접비에 대한 대용치) = 41 2. 독립변수 = 43 B. 설문지의 구성 = 45 C. 표본의 선정 = 46 D. 자료분석 방법 = 46 V. 연구결과 = 47 A. 자료의 특성 = 47 B. 기초통계분석 = 49 1. 신뢰도 분석 = 49 2. 타당도 분석 = 50 3. 상관관계 분석 = 52 C. 가설검증 = 53 1. 가설 1의 검증 = 53 2. 가설 2의 검증 = 54 3. 가설 3의 검증 = 55 D. 추가분석 = 58 1. 추가분석을 위한 기초통계분석 = 58 2. 가설 1의 추가분석 = 60 3. 가설 2의 추가분석 = 62 4. 가설 3의 추가분석 = 65 VI. 결론 = 70 A. 연구결과 및 의의 = 70 B.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 74 참고문헌 = 75 부록: 설문지 = 79 영문초록(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44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JIT 생산방식이 제조간접비 개선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