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경력몰입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연구전문직을 중심으로

Title
경력몰입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연구전문직을 중심으로
Authors
서지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에서 기업이 살아남는 길은 지속적인 혁신이며 이 혁신의 한 방법은 바로 경쟁력을 지닌 기술의 끊임없는 개발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 조직 내에서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업무를 하는 R&D인력에 대한 중요성이 최근 높아지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도 연구전문 인력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전문직 인력들의 중요성에 비해 우리의 기업 입장에서는 이들의 특성에 적합한 체계적인 관리나 지원을 아직은 정착시키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연구직들은 일반 관리직과는 달리 전공분야를 지닌 자신의 경력인 전문분야에 몰입하는 특성을 지니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기존에 진행된 경력몰입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업 내에 재직하는 이공계 출신의 연구전문직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라는 특수한 조직 상황에 재직하고 있는 연구전문직들이 자신의 경력인 연구직에 몰입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개인, 직무, 조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또한 이러한 연구전문직의 경력몰입이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았다. 여기에 더하여 개인, 직무, 조직의 제 변수가 경력몰입이라는 매개 요인을 통하여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개인차원에서는 경력계획의 수립 정도와 통제의 위치를, 직무차원에서는 직무자율성, 직무도전성, 직무정체성을 조직차원에서는 성장기회의 제공이라는 변수를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경력몰입이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변수로는 직무만족, 기술개발노력, 이직의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설을 수립한 후,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지닌 연구전문직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을 통하여 총 150부의 설문을 수거한 후, 이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차원의 변수인 경력계획의 수립과 통제의 위치라는 세부변수는 경력계획의 수립 변수만이 경력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신의 경력목표와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연구전문직일수록 자신의 경력에 더욱 애착과 몰입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차원의 변수인 직무자율성, 직무도전성, 직무정체성의 변수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는 이 중 작업수행방법, 일정계획수립, 그리고 작업기준을 결정하는 데에 개인에게 주어진 재량권의 정도를 나타내는 직무자율성 변수만이 경력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차원의 변수인 성장기회의 제공은 경력몰입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이 연구전문직에서 그들의 전문분야의 신기술과 지식을 계속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은 연구전문직들이 그들의 경력에 몰입하는 데에 영향을 준다. 넷째, 경력몰입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경력몰입은 직무만족, 기술개발노력, 이직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직의도의 경우 경력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는 낮아 경력몰입이 부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변수인 직무만족과 기술개발노력도 경력몰입과 유의한 관계의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력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에서 매개로써 경력몰입의 역할을 살펴보면 경력계획만이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모든 결과변수인 직무만족, 기술개발노력,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나머지 변수인 직무자율성과 성장기회의 제공에서의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는 직무만족을 제외하고는 기술개발노력과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증적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변수들을 우리 나라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연구전문직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변수의 타당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살펴보았다. 둘째, 미흡한 경력몰입의 연구에 있어 경력몰입이 조직과 조직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검증해보았다. 셋째, 경력몰입이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기업이 연구전문직의 경력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위한 지원 및 개발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경력몰입에 경력계획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기업은 연구전문직들의 경력계획 수립과 실행에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우선 연구전문직의 경력지향성을 모두 연구자 지향으로 간주하여 연구를 진행한 바, 차후 연구에는 연구자들의 경력지향성의 분류가 실행된 좀 더 세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둘째, 경력몰입의 선행 요인에 대해 특정 대상과 상황에 제한받지 않는 메타 분석 등의 좀 더 심화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제한된 표본 수로 인한 일반화의 한계와 산업별 인력간의 차이를 살펴보지 못했으므로 충분한 표본수와 적절한 산업별 분포를 확보하여 산업별 차이를 보는 것이 필요하다. ; In Rapid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 the way of being competitive is a innovation such as successive developments of technologies. For this reason, research professionals dealing wi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have been considered as a core competency of many organizations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little system which is designed for their unique career characteristics and plans. To make them keep their career as research professional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research professionals career characteristics and support them a proper career development system reflected their properties.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have a light on the determinants of research professionals career commitment and the influences of them on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as a role of career commitment which is located between determinants of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examine closely the determinants of research professionals career commitment,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career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3 dimension(individual, job and organization). Also dependent variables which represent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clude job satisfaction, skill development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s research model is shown in following diagram.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o examine this model and hypothesis,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by research professionals with master or doctorial degree who are working in each 11 companies. Each questions is based on a 5-point Likert type sca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career plan in individual dimension has an influence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It means that the research professionals who have a concrete career plans and goals will be succeed in their career pat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career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Second, only job autonomy variables in job dimen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searcher s career commi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research professionals would not change their career if they feel they have much authorities on their tasks. But other variables have no significant results. Third, the level of organization s offering development opportunity is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of research professionals. Fourth, a result of career commit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skill development in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 So the corporations need to have a concern about this point that a results of career commitment can lead to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Fifth, the examination of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mitmen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is partially supported. Especially, career plan has a noticeable effect on dependent variables through career commitment.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would affect career commitment were re-examined focused on research professionals. Second, this research performed whether career commitment is a valid mediator between the determinants of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from a practical aspects, corporations need to have a strategical career development systems or processes for a R&D researcher in their organiz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are as followed: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hat all of researchers have same career orientation. Namely, it was considered that all research professional hope to keep their career path as a researcher. Therefore, future study need to classify researcher s career orientation more specifically. Second, becaus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performed on specific samples and condition, future study should be based on more general situation and cond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