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적응 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애착 간의 관계 : 적응유연 청소년, 위험 청소년, 유능 청소년의 비교

Title
적응 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애착 간의 관계 : 적응유연 청소년, 위험 청소년, 유능 청소년의 비교
Authors
박지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 문제가 점점 부정적이고, 심각화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상황에서, 똑같이 위험하고 열악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부적응을 보이지 않고 잘 적응하고 있는 적응유연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위험요소에 노출되었을 때 부적응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소로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과 부모애착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험요소 수준과 적응 수준에 따라 적응유연 청소년, 고위험 청소년, 유능 청소년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세 집단 간에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과 부모 애착이라는 보호요소의 차이를 분석하고, 각 보호요소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a) 적응유연 청소년은 고위험 청소년에 비해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 점수가 더 높고, 유능 청소년에 비해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b) 적응유연 청소년은 고위험 청소년에 비해 부모애착 점수가 더 높고, 유능 청소년에 비해 부모애착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c)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과 부모 애착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낼 것이다.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위험요소 수준과 적응 수준에 따라 분류한 적응유연 청소년 30명, 고위험 청소년 39명, 유능 청소년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적 안녕 측정을 위하여 Paloutzion 과 Ellison(1982)이 개발한 영적 안녕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모애착 측정을 위하여 Armsden 과 Greenberg(1987)가 개발한 부모애착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적응유연 청소년, 고위험 청소년, 유능 청소년 세 집단 간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 및 부모 애착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Tukey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적 안녕(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과 부모애착간의 관계 정도를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 안녕에서 유능 청소년, 적응유연 청소년, 고위험 청소년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존적 안녕에서 유의수준 .05에서 적응유연 청소년은 고위험 청소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유능 청소년보다는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났다. 둘째, 부모 애착에서 유의수준 .05에서 적응유연 청소년은 고위험 청소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적응유연 청소년과 유능 청소년간에는 유의한 점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종교적 안녕, 실존적 안녕, 부모애착 간에는 각각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연구자의 가설과 비교해 볼 때, 첫 번째 가설인 세 집단 간 종교적 안녕 점수 차이가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의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만 제외하고 연구결과는 연구자의 가설을 모두 지지하였다. 고위험 청소년 및 유능 청소년과 비교해볼 때 적응유연 청소년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고, 삶에 대해 행복을 느끼고, 장래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는 등 실존적 안녕이 높아 동일한 위험상황을 다르게 지각·해석하며, 또한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가 위험요인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시키는 보호요소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높은 적응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mong three adolescent groups(i. e., resilient adolescents, at-risk adolescents and competent adolescents) in their spiritual well-being and parent attach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44 adolescent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s to the level of risk factors and adaptation: 30 resilient adolescents, 39 at-risk adolescents and 40 competent adolescen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mographic questions, Spiritual Well-Being Scale,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and Adaptation Scale and they were administrated in group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ults indicated, as expected, resilient adolescents were shown to be higher existential well-being and higher parent attachment compared to at-risk adolescents.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igious well-being s difference in three group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arent attachment.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counseling for at-risk adolescents were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