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지현-
dc.creator윤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4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으젠느 이오네스코(Eugene Ionesco)의 작품「왕은 죽어가다 Le Roi se meurt」가 주인공 베랑제(Berenger)의 죽음을 주제로 하는 하나의 예식(Ceremonie)를 이루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것과는 달리 우리는 이 작품이 단순히 죽음을 맞이한 인간의 고뇌나 두려움을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죽음을 그리면서 죽음을 넘어서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론에서는 죽음에 유달리 민감한 감수성을 지니고 있던 이오네스코에게 있어 그의 죽음관이 작품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기 위해 이오네스코에게 있어서 죽음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출발점으로 하여 본문을 Ⅱ장과 Ⅲ장으로 나누었는데 Ⅱ장에서는 죽음이라는 추상적 개념이 어떻게 연극적 언어로 환원되는지 인물, 공간, 시간, 무대기호라는 대표적인 연극적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요소들은 다 베랑제의 죽음을 보여주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작품의 주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먼저 「왕은 죽어가다」의 인물들은 죽음이라는 인간의 원형적 공포를 구현하는 동시에 베랑제의 죽음에 있어 역할을 이행하는 예식의 참여자들이라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시간과 공간을 분석하였는데 우리는 이 두 요소가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베랑제의 죽음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왜냐하면 베랑제의 죽음은 그가 점유하고 활용하던 공간과 시간의 점차적인 박탈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이러한 분석을 통해 「왕은 죽어가다」라는 작품에서 시간 과 공간 자체가 연극의 테마가 되는 메타 연극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작품 속에 나타난 무대기호들을 고찰하였는데 이오네스코가 연극에서 분절언어가 아닌 이러한 무대기호들을 강조한 것은 인물의 심리 상태를 대화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 본성을 구체적 상징으로 구현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조명이나 오브제, 배우의 제스쳐 등도 의미 산출을 하는 연극 언어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특히 베랑제가 마지막으로 통과하는 문(la porte)이라는 오브제는 베랑제의 죽음이 단순한 삶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으로 넘어간다는 것을 상징하는 중요한 오브제라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고찰한 죽음의 연극적 형상화를 바탕으로 이 예식이 원시적 연극성을 회복하고자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우리는 베랑제의 죽음이 유한이라는 숙명적 굴레를 넘어 영원이라는 새로운 세상으로의 진입을 위한 과정이라는 것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베랑제의 죽음은 바로 새로운 정화(purification)를 위한 예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분석 과정에서 밝혀진 「왕은 죽어가다」에 나타나는 베랑제의 죽음이 작가의 세계관과 연극관을 설명해 주는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오네스코에게 죽음은 삶에 대한 적극적인 회의이며 결국 「왕은 죽어가다」는 죽음을 향하지만 동시에 그것이 반항하는 치열한 발버둥이자, 죽음을 가지고 혹은 시간을 가지고 하는 하나의 놀이 가 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예식에 참여하는 것은 결국 모두가 죽어 가는 와중에 함께 어우르는 일종의 공동체적 해방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부조리극은 냉소와 조롱의 연극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왕은 죽어가다」가 죽음의 공포에 대한 적나라하면서도 회화화된 증언이라는 것을 넘어서 오히려 적극적인 삶의 반동적 에너지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새롭게 읽어낼 수 있었다. ; Toutes les oeuvres d Euge`ne Ionesco re´pondent a` des questions que l auteur se pose en permanence, sur les pie`ges du langage, la contagion ide´ologique , la come´ie humaine et ses pauvres ruses, mais aucune n est autant l e´cho de sentiments personnels que Le roi se meurt. Cette pie`ce est ne´e de son obsession majeure: la mort, que l on peut retrouver tout au long d une production qui, en vingt ans, a domine´ l actualite´ litte´raire franc¸aise. Cette e´tude commence par s interroger si cette pie`ce s arre^te de re´ve´ler sur la simple peur de la mort. La ce´re´monie de la mort de Be´renger est celle d une exe´cution capitale dont le condamne´ doit obligatoiement reconna1^tre la le´gitimite´ et l ine´luctabilite´. La suite de la pie`ce est constitue´e par une succussion de refus, de ruses, de re´signations provisoires, jusqu a` l abdication consentie. Mais nous allons commencer ce travail par l expose´ se l hypothe`se que cette ce´re´monie n est pas seulement une forme de ce´re´monie, mais a` travers celle-ci comment retrouver la primitivisme. Par cette analyse, nous cherchons a` trouver la possibilite´ que nous avons laisse´ jusqu a` pre´sent, une possibilite´ optimiste de de´passer la mort en de´crivant la mort. Tout d abord nous allons e´tudier le sens de la mort chez Ionesco. Dans la deuxie`me partie nous montreron comment le the`me abstrait de la mort par l utilisation des outils de the´a^tre; les personnages, l espace, le temps et les objets sce´niques devient un langage sce´nique et compose une ce´re´monie. Les personnages de cette pie`ce concre´tise la peur primitive de la mort de l homme. En faisant sentir le de´sir instintive inte´rieur, les personnages sont comme des doubles des spectateurs. Nous avons remarquer que la mort de Be´renger est lie´e a` l espace et au temps. La mort de Be´renger est repre´sente´ par la privation progressive du temps et de l espace qu il utilisait. Dans la troisie`me partie nous allons chercher comment cette pie`ce retrouve le primitivisme. L e´tude de l instinct et de l inconscience de l homme, la conscience de la fausse accusation, la crainte de la mort sont les principaux caracte´ristiques de´crit par une me´thode particulie`re de l absurdite´ the´a^trale. On peut dire que Le roi se meurt est une pie`ce du type me´tadrame. En effet tout en ayant une structure de pie`ce de the´a^tre, elle nous montre le sens de la pie`ce, c est-a`-dire la restauration du the´a^tre primitif. Nous avons de´montre´ dans cette e´tude que la mort de Be´renger est une nouvelle forme de purification pour la conscience. Chez Ionesco la mort est une lutte constructive sur la vie. Le roi se meurt se dirige vers la mort mais en me^me temps c est aussi un re´bellion fe´roce contre la mort; la pie`ce devient comme un jeu avec la mort et le temps. En ge´ne´ral, le the´a^tre absurde est conside´re´ comme le the´a^tre de la de´rision. Mais nous avons de´couvert que Le roi se meurt n est pas seulement un te´moignage ironique mais re´elle de la crainte de la mort mais au contraire un encouragement, en tant que e´nergie oppose´e, a` une vie a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이오네스코에게 있어서의 죽음의 의미 = 1 II. 죽음의 연극적 형상화 = 11 1. 인물을 통한 형상화 = 11 A. 예식의 제물 = 13 B. 예식의 보조자 = 19 C. 예식의 집행자 = 23 2. 시간을 통한 형상화 = 27 A. 시간의 발견 = 28 :내적시간 (le temps inte´rieur)/외적시간 (le temps exte´rieur) B. 예식의 시간 = 31 :재현행위의 시간(le temps de la repre´sentation)/재현된 시간(le temps repre´sente´) 3. 공간을 통한 형상화 = 34 A. 소멸하는 공간 = 34 B. 예식의 공간 = 38 4. 무대기호를 통한 형상화 = 42 A. 제스추어, 오브제, 조명 = 42 B. 문:영원으로 들어가는 입구(la porte acce`s a` l‘e´ternite´) = 47 III. 원시성의 회복을 위한 연극 = 52 1. 분열에서 합일로 = 54 2. 축제의 부활 = 57 IV. 결론 = 63 참고문헌 = 68 Resume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6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Ionesco의 '왕은 죽어가다 Le roi se meurt'에 나타나는 죽음의 예식 : 원시성 회복을 위한 축제의 연극-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