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옥-
dc.creator이영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41-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학교는 학교를 둘러싼 내·외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학교 교육 관련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더 이상 기존의 관료적이며 권위적인 조직으로는 변화를 수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학교의 총체적 경영자인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그 추진력에 해당하는 새로운 지도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학교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장의 지도력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이러한 변혁지향적 지도력이 구성원들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교사들의 지각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으로는 학교장이 변혁지향적 지도력을 갖추고 있는지 교사들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서울 시내 중등학교 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총 30개교 571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이석경이 제작한 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 측정지를 본 연구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의 행동요인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면 비전제시 및 변화지향, 구성원의 성장촉진, 성과의 고양, 평생학습자로서의 자기발전 등에서는 비교적 잘 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학교운영의 효율성, 협동적 문화조성, 인간중심 경영, 학교장의 카리스마 요인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특히 교장이 권한과 책임을 교사들에게 위임하거나 교사들의 참여와 논의과정을 거친 민주적 의견수렴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교장이 자신들의 고충이나 문제를 알아주지 않고 자신들을 동등한 입장에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교사들은 교장을 성공적인 교육자라고 수용하지 못하는 편이었다. 둘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을 학교별 변인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교사들의 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지각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비전제시 및 변화지향, 학교운영의 효율성, 협동적 문화조성, 학교장의 카리스마 영역에서는 공립학교 교사들이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학교보다는 고등학교의 교사들이, 인문계 고등학교보다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들이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해 더 높게 지각하였다. 특히 그 동안 지나친 학벌주의와 인문계 선호 분위기에 밀려 낙후되고 사회적으로 외면 받아오던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들이 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결과로 여겨진다. 최근 급격한 지원자수 감소로 존폐의 위기에 처한 실업계 고등학교가 새로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보다 발전적인 길을 모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을 교사 변인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여교사보다는 남교사가, 평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경력이 짧은 교사보다는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에 대해 더 높게 지각하였다. 특히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변혁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지각 수준이 낮은 것은 여교사들이 교육활동과 가사 문제, 육아 문제 등으로 고충을 겪고 있으면서, 이것이 교장에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에서 오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부장교사나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평교사나 젊은 교사보다 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에 대해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은 부장교사나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평소 교장과 교육활동 전반에 걸친 계획 수립과 그 실천 과정에 동참할 기회가 많고, 평교사에 비해 의사소통이나 친소 관계로 교장과의 인간 관계가 보다 폭넓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 결과 교사들은 특히 교장의 인간중심적인 지도력의 부족함을 지적하고, 교사들을 학교운영의 동반자로 여기며 교사들에게 책임과 권한을 나누어주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을 통한 학교운영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학교현장의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하고 내·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학교 공동체를 통한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장은 변화된 지도력을 발휘하여야 한다. 학교장은 변화의 촉진자가 되고 비전을 제시하며, 교사들이 이를 공유하도록 고무시키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교장이 혼자 누려오던 권한을 이제는 교사들과 나누고, 교사들을 존중하고 그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인간 존중의 경영철학을 실천해야 한다. 관리자로서의 교장이 아닌 변혁지향적 지도자로서의 교장상을 적극 추진해 나갈 때, 학교는 전문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좋은 학교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Up until these days, schools could sustain themselves as a protected organization without reflecting the needs from parents and students who are stake-holders to education. But rapid change happening in and outside of schools and diversified needs from the concerned parties to education make it impossible the old and bureaucratic organizations of schools to concur the change school face. These are the backdrop that makes school superintendent s managerial role make more important. New leadership is also needed as momentum for change. This study was done to delve into what kind of leadership is asked for to meet the need of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To study this theme, education environmental changes in and outside schools were screened. Preceding studies and study on the literature on changing leadership were also performed. To have knowledge on teachers cognition of the changed oriented leadership, 600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through written survey sheets. And 571 teachers from 29 schools sampled finally. For this study, Change Oriented Leadership Testing Sheet for School Superintendent developed by Lee Suk-kyung was employed and partially adjusted to the need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actual superintendent s action patterns of change oriented leadership could be classified into as follows. Teacher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such actions like setting visions, devotion to change, developing concerned school members, elevated performance while a little bit negative responses were expressed to efficiency of school management, cultivation cooperation, human oriented management, charisma, self development as a life long learner. Especially, teachers perceived negatively to the superintendent s low level of designation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well as drawing out democratic consensus through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Second, when categorized by the type of school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school teachers and private school s. But public school-high school-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re more keen on the change oriented leadership of superintendent s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from, private school-middle school-general high schools. The positive response from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s especially meaningful considering socially neglected vocational highschool situation under the over preference to general school and notorious school cronyism. Third, when teach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gender, post, experience, it was learned that male teachers, teachers of managerial post, teachers of comparatively much experience think high of superintendent s change oriented leadership. The female teachers lower perception of the change oriented leadership seems to stem from their dissatisfaction to the alleged superintendent s low degree of understanding of female teachers difficulties such as educational activities, households works, child care. High level of perception from the teachers of managerial posts or teachers of much experience could be ascribed to their participation into the decision making and operational process with superintendent. Broader channels for communication, deeper understanding and closer human relationship could be regarded as contributing factors for their higher understanding of the change oriented leadership. Considering the all the outcomes from this survey, we could get to the conclusions that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at school and to adapt to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n enhance the level of education through school community accordingly, superintendent should exercise his or her own new changed leadership. Superintendent also should be a facilitator for change. And he or she should supply a vision and boost the teachers to share it and create an environment for the teachers to put it into practice. At the same time, superintendent should allocate the authority he or she has enjoyed to the teachers. It is also needed from him or her to pay much more attention to the teachers opinions and exercise human oriented management philosophy. From now on, by fulfilling superintendent s task as a positive change oriented leader at the same time discarding mere role as a simple manager, superintendent could develope school to a more specialized organization and make it better than ev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5 II. 이론적 배경 A. 학교 교육환경의 변화 = 6 1. 학교 교육환경의 변화 = 6 2. 학교 환경 변화와 학교장 지도력의 변화 = 12 B. 지도력 이론 = 15 1. 지도력의 개념 = 15 2. 전통적 지도력 이론 = 17 3. 변혁지향적 지도력 이론 = 24 III. 연구 방법 A. 조사대상 및 절차 = 40 B. 조사도구 = 41 C. 자료의 처리 = 42 D. 연구가설 = 43 IV. 연구 결과 A. 비전제시 및 변화지향 = 44 B. 학교운영의 효율성 추구 = 55 C. 협동적 문화조성 = 65 D. 인간중심 경영 = 76 E. 구성원의 성장촉진 = 88 F. 성과의 고양 = 97 G. 학교장의 카리스마 = 106 H. 평생학습자로서의 자기발전 = 116 V. 결론 및 제언 A. 요약 및 결론 = 125 B. 논의 및 제언 = 131 C. 연구의 제한점 = 134 참고문헌 = 135 부록 = 140 ABSTRACT =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71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