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3 Download: 0

식물의 성장 이미지에 관한 도자표현 연구

Title
식물의 성장 이미지에 관한 도자표현 연구
Authors
석소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은 자연과 접하며 살고 있으며 자연의 일부인 식물은 쉽게 접할 수 있고 그 아름다움은 인간에게 항상 감동을 주어왔다. 식물은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섬세한 변화와 운동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식물의 성장 과정을 통하여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식물의 생동감 있는 이미지에 관심을 갖게 되어 조형적 관점에서 관찰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식물의 성장 과정 속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의 성장 과정을 통해 씨앗, 잎, 줄기 ,꽃의 여러 가지 형태를 조형적 관점에서 관찰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성하고 발아하고 성장하며 변화하는 동적인 식물의 성장 이미지를 도자 예술로 표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조형의 원천인 자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자연의 일부인 식물의 고찰을 통하여 성장과정 마다 변화하는 형태들의 조형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식물의 이미지를 표현한 선행 예술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참고로 연구자는 씨앗, 잎, 줄기, 꽃의 여러 가지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씨앗이 껍질을 깨고 발아하고 줄기와 잎이 무성하게 성장하는 식물의 동적 이미지를 조형화하였다. 제작방법은 형태의 자유로운 표현이 용이한 코일 성형 기법을 주로 사용하면서 각 형태에 따라 단순화된 선과 반복적 형태의 표현이 용이한 판 성형, 물레 성형, 가압 성형 기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표면은 도구를 사용하여 긁거나 음각하거나 흙을 덧붙여서 질감의 변화를 시도하여 식물의 생동하는 성장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태토는 성형과 소성 시 변형과 균열이 적은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유약은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색감과 표면 효과를 시도한 무광택유를 주로 사용하면서 광택유를 사용하였다. 시유방법은 주로 붓질한 후에 분무시유 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닦아내고 다시 분무하여 유약의 겹침에 따른 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900℃를 마침온도로 하여 9시간 동안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작품<1,3,4,5,6,7,10>은 0.5㎥ 가스가마에서 1255℃를 마침온도로 하여 8시간 동안 산화염으로 소성하였고 작품<2,8,9>는 1.5㎥ 가스가마에서 1250℃를 마침 온도로 하여 8시간 동안 환원염으로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식물의 성장과정 속에서 동적인 이미지를 이루는 근본적인 형태와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고 조형성을 발견하여 식물의 성장 이미지를 표현하면서 예술가는 자연의 지각을 출발점으로 하여 풍부한 표현 활동으로 발전시켜 심상을 반영시키고 보다 명확한 형태를 재창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흙을 매체로 표현될 수 있는 형태와 질감의 광범한 표현 영역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유약의 섬세한 발색 효과로 식물의 생동하는 이미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식물의 성장 과정 속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조형적 표현으로 발전시켜 독창적인 도자 예술의 표현 방향을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더욱 면밀한 조형적 시각과 다양한 표현 활동을 기대해 본다. ;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eed, germinating and growing leaves and stem, each moment in plant growth creates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new structures and forms. These changes emphasize full of life in plan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fundamental truth of the formation that causes dynamism in the steps of plant growth, I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growth in plants, soft yet strong in ceramic arts. Accordingly I studied nature, the origin of formation, and by observing changes of structures in each steps of plant growth helpe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formation. Also, previous works expressing the images of plants were studied. Placing seed, leaves, stem, and flowers as basement, the dynamic image of plant, that germinates via breaking the shell of seed and grows into plants with exuberant foliage, was formed.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coiling that is convenient for free expression of forms, slab building, throwing, and press-forming were used together according to different structures. I tried to give changes in texture of surface by carving, scratching and adding more clay to the surface by using tools. Stoneware clay that gives less transformation and crack during the process of building and firing was used as clay. Also, I used mainly non-glossy glaze and partially glossy glaz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s tested to supply various color and surface effect. The glazing method was performed as following. After brushing, glaze was sprayed to the surface and after it was partially wiped, glaze was sprayed again. In this manner I tried to expose the changes in color by overlapping glaze. The first firing was done in 0.5㎥ gas kiln with finishing temperature of 900℃ for 9 hours. The second firing was done differently; pieces < 1,3,4,5,6,7,10> were baked with oxidation in 0.5㎥gas kiln at 1255℃ for 8 hours and pieces < 2,8,9> were baked with reduction in 1.5㎥ gas kiln at 1250℃ for 8 hours. Numerous kinds of plants exist in nature and they change their structures and forms in every moments when they are being generated and grown. In these process strong energy of life can be seen, and this has been infinite material for creation. Through this study, the dynamic image consist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and forms that are shown in the process of plant growth was understood, and by finding and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 of formation, more enriched effect on visual transmission was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