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육심원-
dc.creator육심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31-
dc.description.abstract고도로 발전된 물질문명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은 풍요로운 물질적 혜택을 누리고 있는 반면 고독과 소외는 더욱 심화되어 웃음을 잃어가고 있으며 평범한 일상에서의 작은 행복들조차 간과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본인이 경험하는 생활주변 더 나아가 본인이 속해있는 사회의 평범한 여인의 꾸밈없는 내면세계와 일상생활의 모습을 통해 감상자로 하여금 일상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자한 본인의 작업에 대한 연구이다. 예술이 화가가 놓여있는 지형적, 문화적, 역사적인 총체적 환경을 기반으로 한다고 할 때 작가 정신의 뿌리인 전통과의 연계성도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먼저 본인 작업의 주를 이루는 인물의 내면표현 즉, 신(神)을 중시하는 전신론(傳神論)의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화가의 인성과 인격까지 포함하고 있는 동양의 회화관을 알아보고 한국의 회화에 나타난 여인상을 역사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본인 작업의 현시점을 재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고찰에 기반을 두고 공간구성과 여백 그리고 색이 갖는 상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여인의 내면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인이 그리는 여인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현대를 반영하는 여인으로 그녀들의 정서와 감수성을 꾸밈없이 표현하는 가운데 해학적 요소를 끌어내어 동시대의 감상자들에게 즐거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본인의 창작 동기와 과정이 심각한 정신세계나 심오한 의미를 담은 것이 아니라 밝고 즐거운 생각들을 창출하여 작품이 대중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임을 규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 While the modern society has been highly developed and materially civilized, the moderns have lost the ordinary happiness of their daily routine as the loneliness and alienation growing. In this study, I intended to remind the value of an everyday life through representing without disguise the inner world and the everyday experience of the ordinary women around us. Art, as I perceive it, is the expression of the painter s true inner-self and the painter is shaped all the geological, cultur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t and the root of painter s spirit cannot be missed. In this thesis, first I have attempted to discover the view of traditional oriental drawing that encompasses both the individual s nature and character through historical study the central idea of the most highly consideration of spirit. Further, as the women figured in Korean drawing looked over, the human-inner description, my main motif with combining techniques belonging to a more modern style of oriental art has been reviewed Based on this historical inquiry, the women in my drawings are expressed using the symbolic images of the picture composition, space, and colors moreover, candidly reflected of the emotion and sensibility of the present society. Particularly the key is that the humorous components on my women are leading the our pleasure slipped out of min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efine that my motive and purpose of the artistic activities are the intimate approach to the public with the creation of rather the new and bright ideas than the pedantic and profound mean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 1 II. 본론 = 3 1. 이론적 연구 = 3 1) 동양의 인물화와 전신사상 = 3 2) 한국 회화에 나타난 여인상 = 5 2. 방법적 연구 = 9 1) 회화 속 여인의 내면표현 = 9 2) 공간구성과 여백 = 9 3) 색채를 통한 감정 표현 = 12 4) 해학적 표현 = 14 III. 작품분석 = 17 IV. 결론 = 35 참고도판 = 36 참고문헌 = 42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27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女人의 諧謔的 內面 表現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