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분순-
dc.creator조분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8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2001학년부터 적용되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1의 지구의 구조 단원과 빛 단원에 관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이 기준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개발하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근거한 다양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해당 단원의 성취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국가 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 제7차 교육과정 개정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필수학습요소를 선정한 후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기준은 학생의 학습목표이며 평가기준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으며 동시에 교사들의 교수 활동의 지침이 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성취기준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개발하였다. 성취기준은 크게 탐구 영역, 지식·이해 영역,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평가기준은 앞에서 설정된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평가기준 역시 탐구 영역, 지식·이해 영역,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평가기준은 "상, 중, 하" 세 단계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성취기준을 토대로 하여 나타난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다양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 개발 시에 객관식 선다형 평가를 배제한 수행평가를 사용하였다. 수행평가를 전통적 선택형에 대한 대안적인 평가라는 의미로 해석해 볼 때, 이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유형은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실험 보고서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구두 평가 등이다. 해당 학습 내용의 성취기준을 보다 합당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을 사용하였다. 평가기준에 의하여 개발한 평가도구를 구체적으로 채점할 수 있는 구체적 채점기준을 모든 문항에 대하여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기준, 평가기준, 그리고 평가도구에 대해서는 모두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성취기준, 평가기준, 평가도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구의 구조 단원의 성취기준은 대영역 수준에서 3개이나 하위범주인 중영역 수준에서는 11개(탐구 영역 6개, 지식·이해 영역 5개)이다. 평가기준은 13개로 개발하였으며, 이에 근거한 평가도구는 12개(서술형 6개, 논술형 2개, 토의보고서 1개, 실험보고서 1개, 포트폴리오 2개)이다. 빛 단원의 성취기준은 대영역 수준에서 3개이나 하위범주인 중영역 수준에서는 14개(탐구 영역 9개, 지식·이해 영역 5개)로 나타났다. 평가기준은 14개로 개발하였으며, 이에 근거한 평가도구는 11개(서술형 5개, 논술형 1개, 실험 보고서 4개, 포트폴리오 1개)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 토대로 한 평가도구 개발 절차를 따르면 교사의 평가도구 제작이 용이해진다. 필수학습요소를 추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정하고 나면 교사는 무엇을 평가해야 할 지가 명확해지고, 그에 따라서 평가기준을 설정하면 어떻게 평가할 지에 대해서도 방향을 잡을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평가도구는 교사의 임의적 평가가 아니라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가 되므로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교사가 학생을 지도할 때 학습 결손 부분에 대해서 적절한 처방이 가능하다. 구체적 채점기준을 근거로 채점한 뒤 평가기준에 의해 채점결과를 상/중/하 수준으로 구분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중/하 구분에 따라 교사는 학생이 무엇을 할 수 있고, 없는지를 알 수 있게 되므로 학생의 성취기준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총괄평가뿐만 아니라 형성평가에도 사용되어 질 수가 있다. 셋째, 교사가 교수방법 개선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개발한 평가도구를 형성평가도구로 사용하였을 때 교사는 평가 후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즉각적인 피드백을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교수방법을 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맞추어 적용해야 하므로 끊임없이 교수방법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in the 7th national science 1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e structure of earth section and the light sec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1 by the new version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 1. The first of all,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 for the structure of earth section and the light section have been determined. Based upo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 in the two sections, the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made each 11 items and 14 items in the structure of earth section and the light sec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detail in terms of the process skill (P), knowledge (K), and attitude (A) that student should develop. It can be an actual guidelin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2. Based upo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have been made each 13 items and 14 items in the structure of earth section and the light section. The statement of assessment standards are differentiating students levels which are high, mid, low. 3. Based upo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 ,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n the structure of earth section are 6 descriptive types, 1 essay type, 1 short discussion report, 1 lab report, 2 portfolios. Those of the light section are 5 descriptive types, 1 essay type, 4 lab report, 1 portfol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pilot tested and modifidied more. The further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1 based upo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can be developed by an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II. 이론적 배경 A.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 5 B. 준거지향평가와 제7차 교육과정 = 7 C. 성취기준, 평가기준,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 9 III. 연구 절차 및 방법 A. 필수학습요소 추출 = 17 B. 성취기준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17 C. 평가기준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20 D.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23 IV. 연구 결과 및 고찰 A. 필수학습요소 = 28 B 성취기준 = 31 C. 평가기준 = 34 D. 평가도구 = 41 V.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0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1의 성취기준, 평가기준 및 평가도구의 개발 : 지구의 구조와 빛 단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