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중1 과학 '동물의 구조와 생활양식' 단원에서 수준별 수업모형이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1 과학 '동물의 구조와 생활양식' 단원에서 수준별 수업모형이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홍성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까지의 과학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능력이나 흥미와는 관계없이 학생들 모두가 같은 수준의 능력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여, 동일수준의 획일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었고, 학생들의 능력과 흥미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저하시켰고, 이것은 과학에 대한 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이 제 7차 교육과정에 도입된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학생 개개인에 대한 개별화 교육이 불가능한 현실에서 최대한 개인의 흥미, 특성,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 교과에 수준별 수업을 적용시켜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과학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면에서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1학년 「동물의 구조와 생활양식」단원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여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남자중학교 1학년 184명으로 4개의 학급을 무작위 선정하여, 2개 학급은 수준별 수업방식에 의해, 나머지 2개 학급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방식에 의해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5주 12차시이었으며, 수업처치 전과 수업처치 후에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수준별 수업방식에 의해 수업을 한 반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방식으로 수업을 한 반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그리고 학업 성취도에서 중위그룹, 하위그룹 모두 수준별 수업방식으로 수업했을 때 유의미하게 상승되었고(p <.05), 태도 면에서도 하위그룹에서 태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p <.05). ; By now just one methodology has been adopted at the educational field on the assumption that all the students have the same capacity. This educational approach has eventually deteriorated their interest and capability in science. Under intense concern about this situation, the grouped education based on students learning ability has increasingly been considered and reflected at the curriculum. "Level-classifying lesson," a middle stage of both the traditional group-education and the individual one for each student, means an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ology in which the students are group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rest and ability.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tudy if "level-classifying lesson" would be more effective in student s attitude to and achievement of science than the traditional system. Objects of the study were 184 first-year students from middle school at Incheon. They were grouped into two classes; one receiving the traditional group lesson and the other the level-classified lesson. Both classes were taught "2. Structure and Life of the Animal" of "Chapter II. Living Things around Us" in the science text with each methodology for twelve hours from August 28, 2000 to September 16. Both classes were grouped into the superior, the middle, and the inferior team based on the students record of the final term examination, but only one class was given a level-classified lesson. Their achievements and interest of scientific knowledge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then ANCOVA was made with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vel-classifying lesson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achievements of science than the traditional one.(p<.01) In particular it was much more successful for the middle and the inferior team.(p<.05)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accomplishments and treatment was not considered(p>.05). 2. The level-classifying lesson was more efficient in creating students positive activities toward science. Especially it was much more successful for the inferior team(p<.05), but not for the superior and the middle one.(p>.05)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accomplishments and treatment was not considered(p>.0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