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지현-
dc.creator서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31-
dc.description.abstract배경: 과거에 호르몬 대체요법이 심혈관계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HERS와 WHI의 대규모 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된 후 오히려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된다는 반론이 제기되어 왔다. 최근 에스트로젠 사용으로 폐경 여성에서 염증 지표인 CRP가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관상동맥질환 발생에 염증 반응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이후 호르몬 대체요법이 관상동맥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이 경구와 경피 투여와 에스트로젠 단독과 프로제스토젠 복합 투여에 따라 혈중 CRP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폐경 클리닉에서 폐경 후 호르몬 대체제를 투여 받은 150명의 여성들(평균 나이 53±5.0세)을 대상으로 high-sensitivity CRP를 포함한 기본 혈액검사를 하여 치료 3개월 후 혈중 CRP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호르몬 대체요법은 150명의 여성 중 69명이 경구, 81명에서 경피 요법으로 호르몬 투여를 받았다. 69명의 경구 투여군에서 32%(22/69)는 에스트로젠 단독으로, 68%(47/69)는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토젠 복합으로 투여받았으며 81명의 경피군에서 52%(42/81)는 에스트로젠 단독으로, 48%(39/81)는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토젠 복합으로 투여했다. 치료 전 기초 혈중 CRP 평균치는 경구 및 경피 투여군 사이에 유사했지만 치료 3 개월 후 경구 투여군은 경피 투여군에 비해 CRP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0.196±0.31 vs 0.105±0.12 mg/㎗, p<0.05). 경피 투여군에서 CRP는 치료 3개월 후 기초치에 비해 14%(-0.018±0.18)의 미미한 감소를 보였던 반면 경구 투여군에서는 기초치에 비해 64% (0.075±0.37) 증가되었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을 보였다. 경구 투여군내 에스트로젠 단독군은 치료전과 비교한 3개월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토젠 복합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0.232±0.49, -0.003±0.28, respectively). 경피 투여군에서는 에스트로젠 단독과 프로제스토젠 복합 투여에 따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기초 CRP의 분포에 따른 변화에서 경피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CRP quartile군은 다른 quartile군이 치료 3개월 후 CRP가 증가하는 데 반해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경구 투여군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단기간 경구 및 경피 호르몬 대체요법은 혈중 CRP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에스트로젠 투여방법과 경구 투여군내 프로제스토젠 복합 투여 여부에 따른 CRP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 Background: Recently published reports of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HERS) and Women’s Health Initiatives (WHI) suggest that HRT may not be associated with beneficial effects on cardiovascular disease, but in fact, appears to increase the risk in the first year of use. Mechanisms behind estrogen’s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are unknown, but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increased risk is HRT-induced inflammatory activity, reflected by rise in C-reactive protein (CRP), a known predi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CRP levels by route (oral vs transdermal) and type (estrogen alone vs estrogen and progestogen combined) of HRT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Results: High-sensitivity CRP (hs-CRP) marker was measured at baseline and 3 months in total 150 study subjects (mean age 53±5). 81 subjects had taken transdermal HRT (estrogen alone 42/81, estrogen and progestogen combined 39/81) while 69 had taken oral HRT (estrogen alone 22/69, estrogen and progestogen combined 47/69). CRP levels at baseline were similar in both group but was markedly higher in oral group at 3 months compared to transdermal group (0.196± 0.31 vs 0.105±0.12 mg/㎗, p<0.05). Baseline difference within-group analysis showed 64% (0.075±0.37 mg/㎗) increase in oral group and 14% (-0.018±0.18 mg/㎗) decrease in transdermal group, difference of borderline significance, p=0.06. In oral group, estrogen-alone sub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from baseline while no significant change was noted in progestogen combined subgroup (0.232±0.49 vs 0.003±0.28, p<0.05). Those with baseline CRP in the highest quartile ha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 of CRP after 3 months compared to those of lower quartiles in transdermal group, and similar tendency was shown in oral group. Conclusion: Short-term HRT use in postmenopausal women does not seem to have harmful effects on CRP levels, although change of CRP is modulated by the routes of administration and the presence of progestogen in oral regime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 1 A. Background of study = 1 B. Purpose of study = 2 II. Materials and Methods = 4 A. Subjects = 4 B. Laboratory Assays = 4 C. Statistics = 5 III. Results = 7 A. Baseline Characteristics = 7 B. Changes of CRP at 3 months of HRT = 8 C. Analysis on the quartiles of CRP = 9 IV. Discussion = 10 V.Conclusions = 14 References =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998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Effect of oral and transdermal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on inflammatory marker c-reactive protein in postmenopausal women-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