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이유리-
dc.creator이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9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9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복귀시설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객관적인 사회관여와 주관적인 삶의 만족으로 측정하고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의 정립을 위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사회통합 수준은 객관적 측면에서 지역사회 안에서의 서비스 이용,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형성, 사회적 활동에의 적극적 참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사회관여로 측정하고, 주관적 측면에서 자신의 전반적인 삶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삶의 만족도로 측정하였다. 사회통합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파악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정신장애 관련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을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연령, 소득, 교육수준, 종교유무, 결혼상태를, 정신장애 관련요인으로는 진단명, 유병기간, 병식, 입원횟수를,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을, 사회·환경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사회·재활 서비스 유용성, 사회적 낙인을 각각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대전, 충남, 경남, 경북, 전북 지역에서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전수대상이며 그 중에서 법적인가를 받은 지 6개월 이상 된 기관에 다닌 지 3개월 이상 된 정신장애인 25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 10월 12일부터 2000년 11월 11일까지 약 4주 동안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80부 중 총 26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그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5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5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복귀시설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수준은 객관적인 사회관여가 평균 2.80, 주관적인 삶의 만족이 2.53점으로 모두 중간 이하의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이 높아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그 외의 연령, 교육수준, 종교유무, 결혼상태의 영향력을 미미했다. 3. 정신장애 관련 특성은 사회관여를 9.1%, 삶의 만족을 11.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 높은 변수는 입원횟수였고, 병식과 진단명은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 사회관여 모두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사회관여(r=.572)보다 삶의 만족(r=.733)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관여와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5. 사회·환경적 특성은 사회관여를 35.0%, 삶의 만족을 63.7% 설명하여 다른 요인들과 비교하여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낙인은 사회관여와 삶의 만족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사회적 낙인 정도가 낮을수록 사회관여, 삶의 만족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관여에 있어서는 친구지지가 설명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삶의 만족에 있어서는 가족, 특별한 사람, 치료진 지지가 설명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관여,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재활 서비스 유용성도 사회관여, 삶의 만족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재활 서비스 유용성이 높을수록 사회관여,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인구사회적 요인, 정신장애 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사회관여에는 42.3%를, 삶의 만족에는 70.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를 다시 후향제거 방식을 통해 사회통합을 가장 잘 설명하는 독립변수 모델로 구성하였는데, 사회관여에서는 유병기간, 자아존중감, 사회·재활 서비스 유용성, 사회적 낙인의 4개 변수가, 삶의 만족에서는 소득, 교육수준,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사회·재활 서비스 유용성, 사회적 낙인의 6개 변수가 가장 설명력 있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관여와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병기간이 길지 않은 정신장애인들은 물론 유병기간이 긴 만성정신장애인들에게도 사회의 편견적인 태도와 인식에 의해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받아 삶의 만족이나 사회관여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게 하지 않도록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내 서비스를 스스로의 힘으로 이용하고 가족을 비롯한 지역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개방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적 낙인 감소를 위한 정신건강 공공교육이 요구되어진다. 분석결과 사회적으로 부당한 대우와 차별을 받고 낙인의식을 많이 느낄수록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지역사회내에서 소극적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낙인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신장애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정신장애인이 정신장애에 관계없이 지역사회에 평등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정신건강 공공교육을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개별 구성원의 행동변화는 물론 지역사회 전체의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사회사업기관을 물론, 학교체계, 공공기관, 법률체계 그리고, 지역사회정신보건 인력 등 정신장애인의 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에게까지 정신건강 공공교육을 확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지지적인 환경조성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어진다.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망을 확보하여 적절한 자원과 연결시켜주고, 가족 이외의 특별한 사람 친구, 치료진 등 사회적 지지망을 확대하며, 자조집단 혹은 원조집단 활성화를 통해 편견과 낙인을 타파하고 인권옹호 활동을 펼치며 빈곤한 자원체계에 보완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적인 지지와 물질적지지, 기능적지지 등 사회적 지지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병원, 복지관, 사회·재활 기관 등으로 outreach 서비스를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정신장애인의 사회·재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어진다. 분석결과 사회·재활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고, 지역사회내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개인중심, 기능향상 중심, 시설중심적인 현재 사회복귀시설의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활동 중심, 참여 중심, 대인관계 중심으로 전환하여 정신장애인으로 하여금 진정한 사회통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is an requiring research on the factors predicting on social integration of individual with mental disorders in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social integration is measured by objective social involvement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The predi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are classified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s connected with mental disorders, psychological factor, socio-environmental fac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age, income, education level etc. Factors connected with mental disorders are composed of diagnosis, duration of mental disorders, insight, frequency of the admission. Psychological factor is composed of self-esteem. Socio-environmental factors are composed of social support, utility of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social stigma. The main result of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ed. 1. The incom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s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social integration, that is,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2. The frequency of the admission of factors connected with mental disorders has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decreas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3. Psychological factor, that is, self-esteem has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improvement of social involv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4. Social support & utility of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of socio- environmental factors have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improvement of social involv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Especially social stigma of socio-environmental factors has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decrease of social involv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 disorders. 5. With regard to the overall influence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s connected with mental disorders, psychological factor, socio-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ocial integration, duration of mental disorders, self-esteem, utility of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social stigma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objective social integration, that is, social involvement. And income, educational level, self-esteem, social support, utility of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social stigma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subjective social integration, that is, life satisfac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of the mental disorders. 1. Following things need to activate, maintain and manage program to improving self-esteem of individual with mental disorders ; using the service in the community of their own initiative and having ope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the other member of the community. 2. It is required to activate mental health public-education to social welfare agency, educational facilities, legal system for decreasing social stigma and accepting equally in the community regardless of mental disorders. 3. It is required to plan the program for making supportive environment ; insuring and expanding social support network, connecting the appropriate resource, activating self-help group, advocating individuals with the mental disorders, expanding out-reach service to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 4.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 program should focus on community- centered factors than all the others for promoting utility of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 program. Until now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 program has focused on internal factors for example improvement in the function, organization-based activity. But from now on it need to focus external environment, community-centered factors for example community activity, participation, personal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내용 = 4 II. 이론적 배경 = 7 A. 정신장애인과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개념 = 7 1.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의 개념 = 7 2. 정신장애인의 개념 = 8 3.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개념 = 9 B.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 11 1. 사회통합의 개념 = 11 2.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선행연구 = 14 C.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 1. 사회적 지지 = 18 2. 정신장애인 사회재활서비스 = 20 3. 사회적 낙인 의식 = 20 4. 심리적 요인 = 22 5. 개인적 요인 = 22 III.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 25 A. 주요변수의 조작화 = 25 1. 종속변수 = 25 2. 독립변수 = 26 B.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27 1. 연구모형 = 27 2. 연구가설 = 27 C.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29 1. 연구대상 = 29 2.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9 D. 조사도구 = 30 E. 조사분석방법 = 33 IV. 연구결과 분석 = 35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5 B. 연구대상자의 정신장애 관련 특성 = 37 C.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특성 = 38 D. 연구대상자의 사회·환경적 특성 = 39 E. 연구대상자의 사회통합 정도 및 특성 = 43 V. 가설검증 = 55 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통합 = 55 2. 정신장애관련 특성과 사회통합 = 59 3. 심리적 특성과 사회통합 = 63 4. 사회·환경적 특성과 사회통합 = 66 5.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합적 검증 = 73 VI. 요약 및 제언 = 91 A. 요약 = 91 B. 제언 = 96 참고문헌 = 99 부록-설문지 = 105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2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복귀시설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