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귀주-
dc.creator김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85-
dc.description.abstract자연관의 차이는 예술작품의 성향을 결정하는 한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동양은 자연을 존숭(尊崇)하고, 깊은 애경(愛敬)의 관념을 갖고 자연과 동화 순응하려는 관념이 있는데 비해 서양은 일반적으로 자연을 관찰, 분석하려는 관념을 가지고 있다. 미술은 아무리 관념적 양식이라 할 지라도 일단 본다 라고 하는 시각작용을 원리로 하고 있으며 동, 서양은 우주를 바라보는 두 문화권의 사상적 시각의 차이를 갖고 있다. 동양은 대상을 물질 이면서 동시에 정신 이 함유되어 있다고 여긴 점에서 서양 회화에서 보이는 물질 그 자체와는 대상을 보는 관점이 다르다. 동양은 그 사유형태의 근원인 불교사상과 노. 장 사상 및 유가사상에서 볼 수 있듯이 신비적 직관에 의거한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전체상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작업을 함에 있어 작가의 의도와 감상자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먼저 정서적 보편성 이라는 기본적 전제가 있어야 하는데 전통회화에서는 이것을 구체적 형상인 자연 에서 취하였고 논자도 또한 같은 맥락에서 취하고 있다. 논자는 실제 작업에 임하면서 광대한 자연의 경물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공간운용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여졌고 시대와 작가의 감흥에 따라 옛것과 지금의 공간운용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알게되었다. 그리하여 전통회화에서 다루어진 공간표현법과 정신적 기조를 이루는 사상적 배경을 연구해 보았다. 본 논고에서 논자가 구태여 전통회화의 공간표현을 다룬 것은 현대의 화가들이 전통필묵의 기초 위에 수묵형식을 찾아내야만 비로소 바람직한 자기 시대정신을 담은 현대적 회화양식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동양은 예로부터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대상으로 자연을 택하여 물질적인 대상을 뛰어넘는 정신의 세계를 나타내 보이고자 하였으며 線, 즉 劃으로써 峻法을 발전시켰으며 이로 인해 자연경물에 내재된 線을 추구하려 하였다. 논자는 방법론에서 첫째, 중복된 波狀形의 線律과 色을 통하여 논자가 지향하고자 하는 자연에 내재된 線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이것은 전통의 준법이 아닌 논자의 자율성에 의한 線律과 色이 주는 감성을 통한 것이다. 둘째, 여백의 자율성에 관점을 가지고 다양한 공간운용을 통하여 공간의 새로운 모색을 하고자 하였다. 1999-2001년까지의 논자의 작품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線을 사용함에 있어 새로운 느낌의 선질(線質)을 알게 되었으며 동양화의 線은 생장형의 의미를 내포한, 적극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작가의 감정뿐만이 아니라 그 시대의 정서와 풍토까지도 전달하는 조형수단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논자가 線律에 왜 그렇게 연연해하는지 그 역사성을 거슬러 올라가 논자에게 잠재적으로 내재된 감성의 근원을 깨우치게 되었다. 또한 線은 작가의 정신적인 깊이를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므로 깊이 있는 線을 통한 작업은 끊임없는 내면의 성찰과 연구를 더욱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공간의 운용에 관해 線律과 色을 통한 이 논고를 계기로 삼아 자연의 경물을 표현함에 있어 여백의 관점에서 지향하는 작업의 태도가 더욱 절실하여졌고 이를 통하여 논자의 작품세계를 더욱 심화 발전시켜나가고자 하는데 본 논고의 의의가 있다. ; The differences of views of the nature may determine the tendency of artworks. While the Oriental people tend to pay respect to and show affection for the nature, trying to assimilate themselves into it or obeying it, the Occidental people has a tendency to observe and analyze the nature. However conceptual the art is, it follows the principle of the visual action or seeing . Nevertheless, the views of the universe differ between Oriental and Occidental cultures. In other words, the Oriental painters see to it that the object is a substance and at the same time it contains spirit , while the Western painters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object itself. In all, as shown in its origins of the ideology such as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the Oriental people tend to pursue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image. In order to form a sympathy between author and audience, some emotional universality is required. In the traditional paintings, it was borrowed from the specific forms or nature . The researcher follows this tradition. However, the researcher needed to study the spatial expressions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vast landscape of the nature, so the researcher s approach to the space must be different from the past ones because the time and authors emotions are different. Thu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review the ideological background or the mental foundation for the spatial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painting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eal with the spatial expression, because of the belief that our modern painters need to find their ink painting format based on the traditional paintings if they want to re-create a modern painting form reflecting the Zeitgeist. Since long ago, the Oriental painters wanted to express some spiritual world beyond the material one by selecting the nature as object to convey their emotions. The strokes developed into the Oriental chiaroscuro, while pursuing the lines inherent in the natural objects. As methodology, the researcher tried first to reveal the lines inherent in the nature by using the wave-form line touches and colors in order to highlight the autonomous line rhythms and color emotions. Second, the researcher applied a variety of spatial operations with a focus on the autonomy of the margins to explore a new possibility of space. Researcher works produced from 1999 to 2001 used a variety of materials, and in this course, came to be aware of the line quality; The lines of an Oriental painting harbor some positive meaning connoting the growth, and therefore, they may be the formative means of conveying the Zeitgeist and atmosphere of the time.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could be awakened of the origin of emotion potential in the lines or brush touches. Since the lines reveal author s mental depth intact, any work using the lines requires incessant introspection and efforts. After all, through this study regarding spatial operation and lines and colors thereof, researcher s attitude towards the expression of the natural objects and use of the margins has become more positive and researcher s world of art has become deeper and expans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II. 공간 표현의 이론적 연구 = 3 A. 공간의 개념 = 3 1) 서양의 공간개념 = 3 2) 동양의 공간 개념 = 5 B. 전통 회화의 공간표현 = 8 1. 사상적 배경 = 13 1) 道家 思想 = 13 2) 儒家 思想 = 15 3) 禪家 思想 = 17 C. 자연의 內在律과 동양회화상의 線律 = 19 1) 線律과 동양미학상의 感性 = 20 2) 色彩와 인간감성과의 상관관계 = 24 III. 공간표현의 방법적 연구 = 27 A. 중복된 波狀線과 色으로 표현된 자연 = 27 B. 內在律에 의한 공간의 새로운 모색 = 29 IV. 작품 분석 = 32 V. 결론 = 63 참고문헌 = 65 참고도판 = 67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709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自然景物에 관한 空間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