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정신지체아동의 구조화된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지체아동의 구조화된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이금숙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강철희
Abstract
Retarded children have to learn appropriate sociality skills for each subject and situation in order to form and keep harmonize relationship with others. Especially since social union had been practiced, we expected that they would see and imitate non-retarded children behaviors. But in real, instead of harmonizing with non-retarded children in the class and imitating their behaviors, they were excluded from non-retarded children and the teachers, and isolated in a special class. Many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lack of sociality skills that retarded kids need to adopt their new environment and peers caused these failures of social union. In the other words, education for sociality skills should be practiced with academic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Retarded children can learn the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and the related acts, appropriate behaviors for relationship with others, self-related acts, assignment related acts through these socialization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structured sociality skill training program that is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social learning approaches, generalization program to retarded children. After proving its effectiveness, I d like to propose the basic materials for field social work to develop the program. I went over theologically on this study, and based on this theology, I studied experiments that can be used for sociality skill training programs. The study is combination of quantity research and quality research. As the way of quantity research I draw and compare before and after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details, it is to prove any good changes or improvement on sociality skills of retarded children. Also as the way of quality research, I looked through useful welfare-related elements for changes in sociality skill behavior through analyzing group process and case process.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I choose 6 retarded children from S Welfare Center For Disables which is located at Seodaemoon, Seoul. The research term was from September 19th to November 21st. The program was practiced once a week for 10 weeks and 120 minutes for each visit. I practiced structured sociality skill training group program, which is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social learning approaches, and generalization programs. The tool of this study is developed and used by I and the other worker based on Sargent(1991) s "Social Skills for School and Community" program Lee, Kyungsun translated, national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and sociality skill program as indicators to measure sociality skill. For material analysis, effectiveness of paired t-test was proved by using SPSS statistic package through before and after exam and percentile rate was used. Summary of study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After group program, the group participators overall sociality skill behavior showed improvement statistically. Second, After the participator attended sociality skill training program, we classified the members into 3 fields and analyzed. As result, the improvement was shown in all three classified fields. It was statistically effective. Third, After the participator attended the program, we classified the group participators into 8 lower fields and analyzed. As result, it was statistically effective for sociality skill behavior of all group participators. Fourth, We surveyed on the group participators for subjective estimation. The participators positively estimated this program. Presently since there is lack of development in sociality skill training programs and studies in Korea, developing this study about the structured sociality skill training program that is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social learning approaches, generalization programs is meaningful in terms of boosting up retarded children sociality behaviors. But this study has a few cases, and it was practiced on part of the retarded children in S Welfare Center. So there was a limit to adopt and generalize this program to all retarded children. As conclusion, I made a few suggestions as follow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program.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tarded children in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of study, which need to be extended its range form kindergartners to post-elementary school kids, and the study will have to steadily go on, because sociality skill is changing diversely throughout children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al stages. Second, Social skill behavior that we had practiced was classified into 8, which is limited. Therefore more studies that can prove the effectiveness of sociality skill training through diverse sociality skill behaviors. The studies that can be generalized at more diverse places, environments and homes are needed. Third, As this study presents, effectiveness on each individual s changes were shown differently depended on the parents participation, so the studies that can draw out the families participation are needed. Fourth, Effectiveness of sociality skill training program and development of estimation tool that measures generalization for retarded children are required. Fifth, For more precise measurement of group program, we have to observe the changes and how well is sociality skill used and adopted in diverse environment about 6 month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accurate intervention. ; 정신지체 아동들이 또래친구나 성인과 원만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황이나 대상에 적합한 사회성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특히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 장애아동의 행동을 보고 모방하리라는 기대감에 사회통합이 실시되었었다. 그러나 비 장애아동들을 보고 모방은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비 장애아동과 교사로부터 배척 당하고 있으며, 특수학급으로 고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실패에 대해 최근 많은 연구가들이 정신지체아동들의 새로운 환경과 또래 친구들과의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의 결여를 그 원인의 하나로 보고 있다. 즉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교과학습 교육과 병행하여 사회성 기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지체아동은 이러한 사회성 교육을 통하여 환경에 대한 대처 및 그와 관련된 행동, 대인관계에 필요한 행동, 자신과 관련된 행동, 과제와 관련된 행동을 배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정신지체아동들에게 인지행동 수정 방법과 사회학습 방법, 일반화 프로그램을 조합한 패케지 형식의 구조화된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한 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임상 사회 사업 실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그에 기초하여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험 연구를 하였다. 연구 설계는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병행하였는데, 양적인 조사방법으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설계를 통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사항으로는 정신지체아동들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질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집단 과정분석과 사례과정분석을 통하여 사회성 기술 행동 변화를 위한 유의미한 사회사업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S장애인종합복지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정신지체아동 6명을 설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0년 9월 19일부터 11월 21일까지 주 1회로 120분씩 총 10회에 걸쳐 인지행동 수정 방법과 사회학습 방법, 일반화 프로그램을 조합한 구조화된 사회성 기술훈련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사회성 기술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Sargent(1991)의 『Social Skills for School and Community』 프로그램을 이경선이 번안한 것과 국립특수교육원,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 외 실무자 1인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SPSS 통계 패케지를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고,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에 참석한 후에 집단 참석자들의 전반적인 사회성 기술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프로그램에 참석한 후에 집단 참석자들의 3개 영역별1) 자신의 의사 제대로 표현하기, 2) 다른 사람의 의견 존중하기, 3) 다른 사람과 사이좋게 지내기로 나뉘어 분석해 본 결과 3개의 영역에서 모두다 집단구성원들의 사회성 기술훈련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프로그램에 참석한 후에 집단 참석자들의 8가지 하위 항목별로 나뉘어 분석해 본 결과 집단 구성원들 모두 사회성 기술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 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만족도 검사에 본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신지체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상당히 제한적인 상태에서 본 연구는 그들에게 인지행동 수정방법과 사회학습 접근, 여러 가지 조합한 구조화된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함으로서 사회성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수가 적고 S장애인종합복지관 이용자 일부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모든 정신지체아동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정신지체아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나, 연구대상 아동의 범위를 확대하여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이후의 아동에 대한 일관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성 기술 행동의 항목이 8가지로 제한적이었으므로 보다 다양한 사회성 기술 행동을 통하여 사회성 기술훈련의 효과를 입증하고 좀 더 다양한 장소 및 환경과 가정에서 일반화시키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도 시사하는 바와 같이 부모의 참여에 따라 각 아동의 변화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가족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넷째, 정신지체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및 일반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집단 프로그램의 보다 정확한 효과성 측정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사회성 기술을 얼마나 잘 적용하고 있는지를 6개월 정도의 사후 변화를 살펴야 정확한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