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자활사업의 방향에 관한 연구 : 자활후견기관 자활근로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Title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자활사업의 방향에 관한 연구 : 자활후견기관 자활근로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Authors
채혜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저소득층을 위한 실업빈곤정책인 자활사업이 현재와 같이 여성과 남성을 동일한 대상으로 전제하고, 노동시장 재진입이라는 동일한 사업목표로 수행되어서는 저소득층 여성들의 특성과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자활사업은 인적자본이 취약하여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저소득층이 자활근로를 통해 다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여, 궁극적으로 국가의 공공부조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성별화된 노동시장에서 비슷한 노동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남성보다 여성의 고용지위가 더 불안정하고, 저임금으로 여성들의 빈곤 정도와 빈곤 위험율도 더 높다. 이처럼 여성과 남성이 처한 조건이 다르며 또한 양성의 삶의 경험이 다른 현실에서 여성을 남성과 동일한 대상으로 보는 성 중립적인 관점으로는 저소득층 여성들의 노동권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자활사업은 여성과 남성이 다른 조건에 있다는 성별 인식에서 시작하여 여성 참여자들이 처한 조건에 맞게 운영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의 특성이 무엇인지가 먼저 파악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연구방법으로 여성노동단체에서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부천 A 자활후견기관에서 실무자로 일하면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참여 여성들의 구체적 자활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이 자활사업에 대한 기대가 무엇이며, 이러한 기대와의 관계 속에서 자활근로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여성자활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특성을 보면, 여성들은 연령과 노동능력으로 인해 고용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자활사업에 대해 서로 다른 기대와 경험을 하고 있었다. 50대 장년층 여성들과 건강이 나쁘거나 노동능력이 낮은 젊은층 여성들은 노동시장에서 취업이 거의 불가능하여 실업과 실업에 가까운 불안정고용을 이미 경험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자활근로를 노동시장에 재진입하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나라에서 자신들의 실업과 빈곤을 위해 만들어준 일자리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 여성들은 자활근로에 참여하면서 정규적으로 일할 수 있고, 매달 정해진 생계비로 비록 적지만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였다. 그리고 연령으로 인한 체력의 한계와 규칙적인 근무조건으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시장진입형 사업보다 지역사회의 복지에 기여하는 사회적 일자리인 공익형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건강한 3, 40대 여성들은 자활근로를 확실한 생계수단을 얻는 기회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자활사업이 시장을 확보하고, 시장 경쟁력을 갖추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술과 경영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이러한 기대는 실망감으로 바뀌고 있었다. 게다가 노동시장에서의 취업을 방해했던 육아문제는 자활근로 참여에도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참여 여성들은 저소득층 여성으로서 공통된 경험을 하고 있다. 연령을 불문하고 여전히 미래의 불확실한 고용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양육과 가사노동을 병행할 수 있는 근무조건과 자활 대상자가 되면서 받게된 각종 복지지원에 만족하고 있었다. 이는 노동시장에서 열악한 고용경험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참여 여성들의 특성을 근거로 여성자활사업은 지금처럼 노동시장 재진입만을 목표로 해서는 안되며, 공공부조인 자활근로 참여만으로도 노동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먼저, 50대 장년층 여성들과 건강이나 노동능력이 낮은 여성들은 시장재진입이 아니라 자활근로 참여로 노동권을 보장해야 한다. 이들은 연령으로 인한 건강문제와 삶의 경험에서 오는 상대적으로 낮은 사업의식과 감각으로 시장형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힘들어하기도 하고, 적합하지도 않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공익을 높이는 영역에서, 지역 여성들과 자활근로 참여 여성들의 욕구를 고려한 일자리를 창출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자활근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3, 40대 여성들은 실제 노동시장에서의 취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년층 여성들과는 달리 국가의 공공부조에서 벗어나 노동시장에서의 소득으로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그러므로 지금처럼 자활공동체를 거쳐 단계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보다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무엇보다 성별화된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인적, 물적 자원의 보유력과 접근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여성 참여자들의 특성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 This study originated in a critical mind that it is impossible to satisfy the special qualities and desires of women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if the self-support enterprise project, a unemployment-poverty policy, continues to assume men and women as the same entities and is carried out with the commercial aim of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The self-support project is supposed to help people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who are excluded from the labor market because of the weak human capital, re-enter the labor market with the aid of self-support programs. The ultimate aim of the project is to help such people become independent of the public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However, in the gendered labor market, the employment status of women is more insecure than that of men even if they both have similar levels of working abilities. Besides, women s present and potential levels of poverty are higher than those of men. Thus, it is impossible to protect the labor rights of women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when they are treated from a gender-neutral perspective which considers them same as men, whereas the reality is that women and men live in different conditions and undergo different life experiences. Therefore, the self-support enterprise project should begin with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which acknowledges that men and women are situated in different conditions. The enterprises should then be run taking into account the conditions in which its female participants are situated. In order to do this, it is firstly necessary to get a grip on their characteristics. Therefore, I chose to carry out observation while working as an activist at an A self-support organization in Bucheon that is entrusted by the non-government organization for women s labor rights. Moreo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crete experiences of the female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In this manner, I analyzed the expectations of female participants about the self-support project and how they interpret their experiences of self-help programs. Based on this, future directions for women s self-support enterprise project were presented.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participants of the self-support project, it was found that their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 idiosyncratic status due to each person s age and working ability. Women in their fifties and young women in poor health or with little working abilities had already experienced a unemployment or a unstable employment that is almost close to unemployment, as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them to get a job in the labor market. Consequently, they considered the self-support program as a position that was made for their poverty and unemployment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as a passage way to the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They contended with the fact that they could work regularly and earn a stable salary even though it is only a small amount. Besides, because of the physical weakness due to aging and the regular working condition,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as found in regard to the public service business that contributes to the community welfare, rather than in regard to the business of re-entry into labor market which is aimed at profit-making. On the contrary, healthy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expected the self-help program to give them an opportunity to obtain a secure means of living. However, this type of expectation was turning into a disappointment as the self-support enterprise project failed to secure a labor market and to provid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kills and management support which are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the competitive power in the labor market. Moreover, the matter of child rearing that prevented the women from getting a job in the labor market was also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self-help programs. However,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all the female participants had a same experience as women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Regardless of their age, they all had a feeling of uneasiness about the uncertain nature of the future employment. Besides, all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working condition that enables them to rear their children and do the housework, and with the various kinds of welfare support that they receive as participants of the self-help programs. This feeling of satisfaction arose from the deteriorated experience of employment in the labor marke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participa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im of the women s self-support enterprise project should not be focussed only on the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as it is now, and that the labor rights should be protected sufficiently by the participation in the self-support enterprise project which is a public assistance. Above all, the labor rights of women in their fifties or those in poor health or with little working abilities should be protected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self-help programs and not by the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Because of their poor health condition due to aging and the relatively low level of business consciousness and senses that stem from their life experiences, neither do these women find it easy to participate in the profit-making oriented business, nor is it adequate for them to do it.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of community, more jobs should be created that allow for the desires of women in the community and those in the self-support programs. This will enable these women to participate in the self-support programs consistently. However, it is possible for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to get employed in the actual labor market. Thus, unlike women in the noon of life, they have a strong desire to free themselves from the public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and to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by earning an income from the labor market. Therefore, these women should be guided to gradually re-enter the labor market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liant communities, as they are now. To achieve this, these women should be supported in a more professional and longer-term manner than the present. In particular, support that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participants should be provid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re is a discrepancy in the possessing and approaching power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etween men and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