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인숙-
dc.creator임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근로정신대 여성들이 식민지 조선과 해방된 민족에서 어떤 위치를 점했으며 여성들 스스로는 근로정신대라는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화해 왔는지 그 정체화 과정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제시기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이 근로정신대로 지원하였던 사회적인 맥락과 여성들의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여성들의 경험과 행위성을 드러내고 재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해방 이후 여성들이 정신대 경험을 은폐하는 맥락과 위안부 여성들과의 구별지음을 통해 가족이라는 사적 가부장제 안에 어머니, 아내로 자신들을 위치지우는 맥락, 정신대 경험에 대한 보상금이 근대화 비용으로 흡수되었다는 담론을 접한 뒤 스스로를 국가적 존재, 국민 으로 의미화 하는 전략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40년대 근로정신대로 동원되었던 당시 초등학생인 여성들의 구술을 통해 이 여성들이 정신대 경험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있는지, 황국신민 과 근대 한국의 국가유공자 라는 정체성으로 자신을 설명하는 방식은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면서 생애사(life history)를 포함한 심층면접(interview)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조선에서 여성들이 근로정신대로 지원하게 된 배경에는 식민지의 여성들이 가졌던 일본에 대한 선망, 호기심과 여학교 라는 근대적 배움에 대한 열망이 근로정신대로의 지원 동기로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집안의 형편이 어렵거나 상급학교로의 진학이 좌절된 경우 "일본에 가면 돈도 벌고 공부도 할 수 있다"는 학교 선생의 말을 믿고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근로정신대로 지원하였다. 이에 동원의 구조 이면에서 여성들의 욕망을 구성해 낸 식민지적 권력의 작동 방식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둘째, 여성들의 정신대 경험은 생각했던 것과 달리 배고픔과 군대식의 규율로 이어지는 고된 노동이 전부였고, 이에 속았다 는 느낌과 함께 주입받은 내선일체 와 황국신민 논리가 허구였음을 깨닫게 된다. 일제의 신민 , 국민 이라는 정체성과 조선 민족 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은 갈등하기 시작하고, 이는 해방의 시점에 이르러 더더욱 극에 달한다. 여성들에게 있어 태극기는 처음 보는 낯선 것일 뿐만 아니라 여성들을 일제의 황국신민에서 해방된 조선민족의 일원으로 급속히 포섭해내는 장치가 된다. 그러나 민족의 해방과 귀환으로 여성들은 일제라는 국가 가부장의 권력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라 남편, 아들이라는 사적 가부장의 권력 아래 놓이게 된다. 셋째, 여성들은 가족이라는 사적 가부장제에 안착해 자신들의 경험을 은폐한다. 어머니, 아내라는 위치는 정신대 경험을 기억에서 지워버리도록 만들고, 이러한 망각은 역사라는 공식적인 기억방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동안 은폐되었던 정신대 경험은 그러나 위안부 여성들의 가시화와 함께 공론의 장으로 떠오른다. 해방 이후 정신대 로 통칭되기 시작한 식민지 여성들에 대한 담론 속에서 근로정신대 여성들은 자신들을 설명하기 위한 언어와 담론들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데, 식민지라는 민족의 고난을 표상하는 일제 시기 동원된 노무자의 정체성과 근대화에 일조한 국민 이라는 정체성이 그것이다. 위안부 여성들과의 구별지음도 이러한 맥락 안에서 작동하기 시작한다. 기존의 역사는 정치사, 경제사 중심의 역사 서술로 그 시기를 살아낸 이들의 목소리와 경험보다는 거대 역사의 이데올로기와 구조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두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젠더사 연구의 일환으로 근로정신대 여성들의 사례를 통해 민족사를 역사화 하는 과정에 젠더를 분석 범주로 사용하였고, 또 다시 민족 범주를 분석함으로써 민족담론과 민족주의 이면에서 배제되어 온 여성들의 목소리와 행위성을 드러내 여성을 역사의 주체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역사적 행위자로서의 여성들이 지배 담론과 타협 혹은 경합하면서 스스로의 경험을 설명하고 의미화 하기 위해 택하는 전략들을 드러냄으로써 여성들의 자기-구성 과정을 새로운 역사서술의 틀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던 것도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When Korea was annexed by Japan, there were called Joshikintoteishintai. It was a special Japanese organization to make up the lacking labor power due to the WWII by using Korean women. Those labor power consisted of the mobilization and the volunteers. Now this study will show how the girls who were once one of Joshikinroteishintai members built their own ident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These women are defining themselves as important beings that did main rolls in developing this country as nations by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comfort women. Right after liberation, they were trying to cover the facts that they were in Joshikinorteishintai. However, now they tried re-interpret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time of Joshikinroteishintai and what they have been through by providing the social backgrounds of the time beyond describing their choice as only compulsory mobilization after noticing that the expectation fee of their working was contributing to the modernization of this country. In order to support the facts and opinions, the oral interview with the women who were in Joshikinrotieshintai were performed. They were asked how they perceived their own experience and their identity in terms of being a Japanese empirical subject or a man of merit of Korea. The interview was focusing on their own experiences have affected on their life because they were on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they volunteered for Joshikinorteishintai in the 1940s. In the light of the motivation for girls to join Joshikinroteishintai, there was something more than just compulsory mobilization. At that time, Joshikinroteishintai was a kind of magic wand to solve every problem for poor girls. According to what school teachers said, joining Joshikinroteishintai has guaranteed the better life where the girls could earn money and study as well. There were many girls who were frustrated in their Korean life. Some failed to go to an advanced school, and others were too poor to pay for an advanced school tuition fee. For them, working at Joshikinrotieshintai was a dream. In a nutshell, the desire for learning and longing for the illusion about a life in Japan coaxed the girls to volunteer for Joshikinroteishintai despite of their parents disapproval. The power of Japan made the girls have a fantasy for their future without telling the truth. The malicious wolf was acting as a shepherd for the lost little lambs. This paper will look over how the power activated the girls desire in the respect of mobilization. Next, the girls were stilled and strongly believed that they could be one of Japanese by working for the great empire, Japan. On the other hand, it was not a true. The truth was that Japanese government deceived them and that they could never be the one of them. What they had were only suffer caused by strict regulations and hunger. After noticing the facts, the women felt confused on their identity. Suddenly, they were afraid of becoming nothing. In order to keep their emotional security, the women abandoned the shelter of the huge patriarchic structure, the Japanese society. Instead, they chose the private patriarchic power by being a wife and mother in a family. While the women changed their emotional supporter they lost their ego as a member of Japanese subjects. Besides, they became lost their whole identity as a Korean also at the juncture of the liberation of Korea. It was Taekukgi that made the women accept themselves as one of nations of Korea. They tried to become Koreans who dedicated themselves to build a modern society in respect of economy. Actually, the Joshikinroteishintai was concealed as the women s wish since liberation, but it was taken as an issue with rising public discussions about the comfort women. Teishintai has meant the comfort women and Joshikinroteishintai since liberation. In contrast, the women who were in Joshikinroteishintai started to define themselves in aspects of mobilized workers and nations for supporting the economic development. They wanted to prove that they were not sexual slaves like the comfort women but heroes for helping the building of modernized Korea. They wanted to draw a line between Joshikinroteishintai and the comfort women. In most history books, they have been emphasizing on the huge issues in related of politics or economy. Any voices and experiences of common people who led the time have not been heard at all. However, this paper will offer a new frame to look the Korean women history newly by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self-constructing through the women s own experiences and opinions about themsel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6 1. 연구방법 = 6 2. 연구과정 및 연구대상자의 특성 = 8 C. 이론적 배경 = 12 1. 분석틀 : 역사 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 12 2. 민족 범주에 관한 한국 여성학의 논의 = 15 II. 일제의 총력전시체제와 식민지 여성의 동원 체계 = 19 A. 일제말기 전시 동원과 식민지 국민의 정체성 = 19 1. 동원 정당화 논리로서의 내선일체 = 19 2. 식민지 여성의 구성 : 황국부인, 정신대, 위안부 = 23 B. 정신대, 식민지 여성의 구성 논리와 여성들의 대응 = 26 1. 동원과 지원의 접점 : 식민지 여성의 위치성 = 27 1.1. 내지(內地)에 대한 선망과 황국처녀로의 호명 = 27 1.2. 여학교, 근대 교육에 대한 열망 = 34 2. 일본에서의 경험 : 내선일체 이데올로기의 허구에 대한 발견 = 41 2.1. 고된 노동과 공습의 공포 = 41 2.1.1. 전시 상황의 연속, 군대식의 환경과 가부장적인 통제 = 41 2.1.2. 국가의 전쟁과 국민화 논리 = 45 2.2. 민족적 차별에의 봉착 = 49 2.2.1. 일체가 불가능한 차이의 인식 = 49 2.2.2. 민족과 국민 정체성의 경합 = 50 III. 해방 이후 가부장적 여성주체로의 귀환 = 53 A. 민족의 해방과 근로정신대 여성들의 비가시화 = 54 1. 환향 , 성별화 된 귀환 경험 = 55 1.1.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로의 귀환 = 55 1.1.1. 민족의 동일성 회복을 위해 타자화 되는 여성 : 민족혼을 잃은 여성 대 건강한 민족 의 어머니 = 57 1.1.2. 결혼 제도로의 진입과 경험을 숨기는 여성 = 62 1.2. 민족 고난의 표상으로서의 남성 징용, 징병자 = 67 2. 선택적 침묵과 무화의 과정 : 나설 수 없게 만드는 기제들 = 71 2.1. 망각하기 , 식민 경험에 대한 합의된 은폐 = 71 2.2. 어머니, 아내로서의 위치 = 74 B. 식민 경험에 대한 자기검열 기제로서의 민족 : 공식적인 화자로 채택되는 민족성원/국민 = 76 IV. 근로정신대 여성들의 자기정체성 규명 과정 = 80 A. 정신대 경험의 재인식 = 80 1. 위안부 여성의 가시화와 소환되는 경험들 = 80 2. 여성내부의 차이의 발생과 구별지음의 맥락 : 가부장제와 협상하기 = 87 2.1. 정신대, 식민 경험의 체현에 대한 의미화 = 88 2.1.1. 나라에 바쳐진 몸 과 남자에게 바쳐진 몸 = 88 2.1.2. 가족과 자식의 존재 : 재생산 가능한 몸을 통한 검증 = 92 2.2. 동원 경험의 재해석 : 환송 받은 여성과 끌려간 여성 = 95 B. 65년 한·일 협정과 뒤늦게 알게 된 국가간 보상 = 97 1. 보상 의미의 전유 = 98 1.1. 식민 경험의 피해자에서 민족 고난의 대변자로 = 98 1.2. 근대화 에 일조한 국민주체로의 의미화 = 101 2. 노무자로의 정체화 = 104 V. 결론 및 종합논의 = 106 참고문헌 = 109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4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제 시기 근로정신대 여성들의 정신대 경험 해석과 의미화 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