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1 Download: 0

1차대전기 여성주의와 평화운동의 연계에 관한 연구

Title
1차대전기 여성주의와 평화운동의 연계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지항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을 평화적 집단으로 정체화하는 논의의 여성주의적 함의를 질문하기 위해 여성주의와 평화운동의 연계에 관한 구체적 사례를 살펴본다. 1차대전기 평화운동과 참정권운동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여성과 평화를 연계시키는 이데올로기가 특정한 시대적 맥락을 통해 구성되며, 평화운동의 여성주의적 함의 역시 평화 의제의 정치적 의미를 구성하는 특정한 맥락에 의존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1차대전기는 세계 전쟁이라는 국제정치의 틈바구니에서 여성들이 애국활동과 반전활동을 동시에 조직해낸 사례를 제공한다. 여성들의 도덕적 우월성을 주장한 평화운동과 여성의 이해를 정치적 발언권으로 보았던 참정권운동이 결합, 긴장하면서 여성주의 와 국가 , 국민 과 여성 이라는 개념들이 특정한 맥락에서 서로를 참조하며 상호적으로 구성되는 맥락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 여성의 성역할과 평화적 자질, 사회 개혁의 비전을 연결시켰던 여성평화이데올로기의 성장 맥락과 페미니즘 내 평화 의제가 전개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 시기의 여성평화이데올로기는 19세기의 이상적 여성성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근대국가의 형성과 더불어 강조되기 시작한 여성의 가정 내 역할과 모성은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의 독특한 자질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수반하였으며, 여성들은 이같은 여성성의 긍정을 토대로 여성의 도덕적 우월성에 입각한 사회개혁 활동의 주체로 나서기 시작하였다. 여성 개혁 이데올로기는 다시 참정권운동과 결합하면서 여성의 공적 영역 참여를 정당화하는 정치적 논리로 이용되었다. 3장에서는, 참정권운동과 여성평화운동이 공유하고 있던 여성평화이데올로기가 전쟁을 통해 균열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국가는 국가방위의 책임을 부여하면서 사적 영역의 여성들을 국민으로 편입시켰다. 페미니스트 애국주의의 구성과 여성들의 전시활동은 공사분리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여성 평화 정체성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많은 참정권주의 여성들은 국가위기에 대한 여성들의 적절한 봉사와 대응이 여성이 국가의 온전한 시민임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여성들의 전시활동은 국가의 젠더화된 여성동원 체제를 수용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2차적인 국민의 지위에서 벗어날 기회를 얻지 못했다. 4장에서는 1915년 헤이그 국제여성대회와 미국 여성평화당(Woman s Peace Party)의 사례를 통해 전쟁을 반대하는 여성들의 조직적 활동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활동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당시 여성평화운동의 이념적, 실천적 맥락을 통해 모성과 돌보는 역할을 여성 평화 정체성의 기반으로 이해했던 당시 여성들의 전쟁 반대 의지와 그 정치적 한계를 알 수 있다. 여성들은 어머니로서 국적을 초월한 여성들의 평화연대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신념은 자국 정부를 대상으로 한 협상과 설득의 전략을 넘어서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쟁이 이루어지는 국제정치의 메커니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평화정치학 논의에서 고려되어야 할 두 가지 문제를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페미니스트 평화 정치학은 여성의 보편적 평화 정체성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이론적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구체적인 시대적, 역사적 맥락을 통해 구성되는 평화 의제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 많은 여성들이 사회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전쟁에 참여해왔음을 밝힘으로써, 본 연구는 페미니즘 역시 시대적 산물로서 평화주의나 애국주의가 필연적으로 부과되는 것이 아님을 제안한다. 둘째, 여성과 평화를 연계시키는 모성과 가정 이데올로기는 여성주의 정치학에서 매우 모호한 위치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모성과 여성의 가정 내 역할을 기반으로 구성된 여성평화이데올로기는 근대국가의 공사분리 이데올로기로부터 파생되었으며, 전통적 규범에 입각한 여성들의 개혁 이데올로기로 수렴되면서 여성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요구에 긴밀하게 매개되어 있었다. 따라서 모성과 돌보는 역할은 당시 여성평화이데올로기의 핵심적 정당화 요소이면서, 동시에 여성의 전쟁지지 활동을 정당화하고 여성들을 후방의 보조적 국민으로 유지시키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도 있었다. 여성과 평화의 연계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피하기 위해 모성과 가정 영역에 대한 국가적 개입을 드러내고 여성과 국가의 상호적 관계를 맥락화하는 방식이 유용하다. ; In order to analys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which identifies women as a peaceful group,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rete example of which exist connections between feminism and peace movement. Specificall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movement and suffrage movement during World War I. Upon this analysis, we show that the ideology connecting women and peace is constituted in terms of the specific periodical context and feminist implication of peace movement depends upon concrete contexts, which constitute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peace agenda. Women organized patriotic activities and anti-war movement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colored by world war during World War I. It reveals that the pacifists belief about moral superiority and suffrage movement regarding political voice as a tool of raising women s interest combined, made conflict and finally, the concept of feminism and state, nation and women referenced and constituted each other in terms of specific context. Chapter 2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women s peace ideology connecting sexual role of women, disposition of peace and social reformative vision had grown, and agenda of peace had extended in terms of feminism. women s peace ideology reconstituted the ideal femininity of 19 century as a peaceful identity of women and justifies women s participation in public sector in terms of political context. Chapter 3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women s peace ideology shared by suffrage movement and women s peace movement had broken during the War. State incorporated women of private sector into nation by assigning duty for national defense. The composition of feminist patriotism and women s activities during war revealed the dilemma, which confronts identity of women-peace depending upon ideology of public-private separation. Chapter 4 examines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Women held at the Hague in 1915 and Woman s Peace Party of U.S. Upon this, we analysis the process in which women s organized activities opposing war. It shows the confronted political limitations of women s pacifism, regarding motherhood and role for caring as a basis of women s identity of peace. This thesis suggests that feminist-peace politics should consider below two points. First, feminist-peace politics should develop discourse of political implication of peace agenda constituted in terms of much more concrete periodical, historical contexts, out of ideological,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women s universal identity of peace. Many women have participated in war according to social and individual interests. Feminism is also outcomes of historical contexts and therefore pacifism or patriotism is not assigned automatically or inevitably to it. Second, the assertion that naturally connects women and peace through motherhood and domestic ideology is ambiguous in feminist-gender politics. The motherhood, main element of women s peace ideology, justified women pro-war activities during the war and became important reason for preserving women as second-hand nationality of rear region. We are able to avoid the essentialist approach that makes optimistic linkage among women, motherhood and peace, by means of revealing state intervention into motherhood and home and by means of contextualizing relation between women and st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