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하림-
dc.creator김하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82-
dc.description.abstract인간에겐 자신의 존재를 한정시키려는 것들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내면에 고착되어 있던 생각들을 넘어서려는 초월적 욕구가 있다. 그러나 각자에게 의미되는 초월 의 해석은 새로운 인식 속에서 변화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초월 에 관한 개념적 사유변화를 담고 있다. 여기서 결론적으로 본인은 초월 이란 추상적 단어를 내면적 세계관을 넘어 새로운 세계관을 받아들임으로써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인의 작품은 초월 에 관한 이러한 생각의 변화과정 속에서 설명되어진다. 본인의 내면적 세계관은 존재의 한계의식과 대립된 개념으로서의 초월 에 대한 여러 생각의 흐름으로 가득 차 있는데, 한 사람의 고유한 내면세계는 우연한 만남, 뜻하지 않게 생각나는 어느 글귀, 어디선가 들었던 누군가의 말에 의해 더 깊어질 수 있다고 본다. 본론의 첫 부분에 언급되는 초월 을 본인은 카지미르 말레비치(Kasimir Malevich) 회화관에서의 인간의 고차원적 의식과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쟝 그르니에(Jean Grenier)의 글쓰기로부터 무화(無化)될 수 있는 시간의 의식 속에서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작가에게 있어서 작품은 내면적 사유를 담는 그릇이 된다. 그릇을 빚는 것과 같은 표현의 문제는 안 과 보는 이의 내면인 밖 의 경계를 의식하게 만들어 본인의 내면세계와 관객 사이의 소통의 가능성을 생각하게 만든다. 본론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본인의 내면적 세계관이 외부와 만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새롭게 이해된 표현의 문제를 제기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표현 방법들을 모색한다. 개인의 경험과 상황의 문맥에 따라 언어의 의미가 달리 파악될 수 있는 것으로 현대의 언어 철학적 입장과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텍스트의 개념은 작가의 세계관을 담는 그릇으로 보았던 작품의 의미를 관객의 해석에 맡기는 것으로 그 의미를 열어두게 한다. 여기서 본인은 표현의 의미를 작가 내면의 의도와 정서를 표출시키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 아닌 타인을 의식하며 그에게 나름의 의미를 재생산시킬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인간에게 그 표현의 도구가 될 수 있는 기호로서의 언어와 여러 감각적 이미지들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해 보았다. 본인은 자신만의 틀을 넘어서 바라보는 이들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했는데, 이를 통해 관객에게 상상의 여지를 남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언어 및 음악(소리)과 시각적 이미지와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게 된다. 먼저 시각적 이미지와 텍스트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룬 기존작가들의 몇 점의 작품을 제시하여 여기서 빚어질 수 있는 관계양상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하여 보려 한다. 하나는 시각적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생각의 여지를 갖게 하는 경향의 작품으로서 쟝-뤽 고다르(Jean-Luc godard)와 쟝- 피에르 고랭(Jean-Pierre Gorin)이 함께 만든 영화의 스틸 장면과 존 발데사리(John Baldessari)의 개념작품을 살펴본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양자가 상호 보완적인 의미의 관계를 이루는 경향으로서 르네 마그리뜨(Rene Magritte)의 작품을 예로 들어본다. 음악과 시각적 기호의 관계에 있어서는, 먼저 악보에 있어서 새로운 기보법에 대해 설명한 후 기존 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작곡과 연주에 대한 부분을 생각하여 보았다. 새로운 현대 음악 중에는 인간의 감각과 언어의 자유스런 활동에 의해 연주자나 관객이 자연스러운 상상의 세계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작곡가가 악보에 다양한 시각적 기호를 사용하거나 연주에 있어서 개념적인 방법을 끌어들여 새로운 음향을 발견하고자 하는 특징이 보이는 작품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먼저 악보를 만드는데 있어서 전통적 악보의 형식의 틀에서 벗어난 악보와 파울 클레(Paul Klee) 및 그 외 시각적 움직임을 연구한 화가들의 드로잉을 비교해보고 악보의 시간성과 시각적 이미지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조건을 인간의 신체적 리듬감에서 찾을 수 있음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새로운 음향적 요소의 발견을 위해 악보를 제작하는 것 뿐 아니라 연주의 과정에서조차 개념예술적 요소를 음악에 다양하게 개입시킨 존 케이지(John Cage)의 작품에서, 연주자와 작곡가, 연주와 관객의 다양한 감성이 우연적 만남으로 이루어지는 소리의 세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설명한다. 본인의 작업 동기는 사소한 일상의 사건이나 자연과 음악에서부터 얻어진다. 내용적인 면에서 명확한 주제의식이 드러나진 않지만 관객에게 주제에 대한 상상의 자리를 남겨두고자 하는 표현의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하여 언어와 이미지들의 다양한 관계를 연구하는데 주목한다. 그러나 작품제작에 있어선 주로 전제를 세우는 것이 중요시되며 그 전제에 맞게 비디오나 사진, 회화, 텍스트와 음악등 여러 다양한 매체가 사용되었다. 현재 본인 내면 안에서 일어나는 많은 이야기들은 타인에게 상상의 여지를 줄 수 있는 표현을 통해 의미가 무한히 열려질 수 있는 세계로 확장되어가길 바라고 있다. 거기서 본인은 인식의 초월을 꿈꾸려는 것이다. ; Human being has a desire to run away from the limitation of their existence, framed inner view of the world, and transcend over to the new world. But what transcendence means to individual depends on new understanding. This study covers changes in conceptual thought of transcendence that the author thinks. In this study, the author regards an abstract word transcendence as a phenomenon of widening recognition scope by accepting a new view from outside. The author s works is explained in the progress of changing thought about transcendence . The author s inner view of the world is full of the stream of several thoughts on transcendence as an opposite concept which is consciousness of existence limitation. Anyway, it is feasible for a human s inner view of the world to be deepened more by a contingent meeting, some sentences coming up in mind unconsciously, and someone s comment delivered from somewhere. In the begining of the body, the author associated transcendence with human being s high-level concept from Kasimir Malevich s view of art and sense of time likely to be vanished from Martin Heidegger and Jean Grenier. But to an artist, work is like a vessel that contains the artist s thought. The problems of expression such as making some space have the author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inner world of spectators and think of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world of the author and spectators. In the second part of the body, the author is to explain procedures that inner view of the world encounters outside, and question the common expression concept and search for concrete expression ways based upon newly undersood expression concept. The modern view of philosophy of language and the Roland Barthes s view of text that different meanings might be understood according to different individual experiences and the context leaves some room for an audience to interpret meaning of the work that was regarded as a space to fill with the author s view of the world. The meaning of expression in the author s view is considered not as a view to express the author s intention and emotion but as one to provide a clue to reproduce meanings others have for them with being aware of them. Here, the author creates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spectators beyond the author s own fixed world. So the author searches for the way to leave spectators some room for imagination through this. At this point, various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music(sound) and visual image are examined theoretically. First, existing artists several works are suggested, which focus on relationship between visual image and text, and the suggested work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nvolves works, which tend to make an audience present a problem or have some room for consideration on the role of text that describes visual image, and the author illustrated the still of the film co-produced by Jean-Luc godard and Jean-Pierre Gorin, and John Baldessari s conceptual works; the other group involves works, which visual image and text have complementary connection each other, and the author illustrated Rene Magritte s works. For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visual symbol, first a new musical notation of music was described, and then matters of composition and performance beyond existing frames were considered. Among recent modern musics, some are characterized by which a composer use various visual symbols in music so that a performer or audience can reorganize freely the imaginary world through human senses and free use of languages or which a new sound is attempted by introducing a conceptual means in performance. To explain it, first,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musics beyond existing musical frames in making music and Paul Klee s drawings and those of artists who studied visual movement, and a possibility that conditions to connect the properties of time and visual image of music at the same time can be found in rhythmical sense of a human being is attempted to be found. Al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ld of sound, where various sensitivities of a performer, composer, performance and audience are created by chance, in the works of John Cage, who made musics to find new sound elements and introduced conceptual elements in music in the course of performance. In the end of the body, the author s works are to be explained. The works motive orginates from trivials, nature and music. And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a variety of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languge and images, based on the theorical study, which motivate spectators imagine about the subject, even though the subject is not expressed on the work. In the process of working, however, the priority is to set up premise. A wide range of media such as video, photograph, painting, text and music are used in compliance with the premise. the author is hoping that many stories happening in the inner world can be extended to the unlimited wold that acceps any concept. The author will go over the transcendenc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 I. 서론 = 1 II. 초월 에 관한 내면적 사유의 흐름 = 5 1. 절대주의(Suprematism) 흰색 회화에서 = 5 1) 흰색 회화의 의미 = 6 2) 흰색 회화와 우주적 의식 = 10 2. 정지된 시점에서의 글쓰기 = 11 III. 표현에 있어서의 소통 의 문제 = 15 1. 언어와 이미지 = 17 2. 음악과 시각적 이미지 = 25 1) 악보와 그림/시 = 26 2) 작곡과 연주-John Cage의 개념적 음악 = 29 IV. 본인작품 설명 = 33 1. 말레비치로부터 = 33 2. 무중력의 공간 = 35 3. 지우기 = 40 4. 우연 = 43 5. 끼우기 = 49 V. 결론 = 54 참고문헌 = 5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256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월적 사유로의 표현 가능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회화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