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선희-
dc.creator임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7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작품의 주제인 복수적인 자아 정체성(Mutiple Identity)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쓴 글이다. 작품은 디지털 미디어인 컴퓨터를 이용해 제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본인은 사이버 공간(Cyber Space)에서의 사람들의 심리에 관심을 가지고 사이버 공간의 특성 때문에 경험하게 되는 복수적인 자아 정체성이 어떻게 작품에 표현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본인은 작품을 통해 정체성이 하나가 아니라 다수라는 가설을 세우고 있으며, 정체성은 영원,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과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 가능한 것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작품은 본인에게 사이버 공간과 같은 역할을 해준다. 작업 또한 이렇게 진짜 현실 이 아닌 또 다른 현실 로서 본인에게 작용하며 작업을 하는 동안에 본인은 작품 속 주인공이나 그 상황에 스며들게 된다. 세계는 컴퓨터 속이 아니라 밖에 있다. 그런데도 컴퓨터 앞에 앉으면 사이버 공간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여 진짜 세계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결국 디지털 미디어 사회에서 사이버 공간이 제공해 주는 실제같은 가상현실과, 디지털 정보에 의한 정체성의 변형, 조작 등이 자아정체성의 개념에 변화를 일으키며, 그것은 여러 개의 자아가 동시에 존재하는 복수적인 정체성의 형성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게된다. 따라서 정체성의 성격 자체도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것이 아닌, 언제든지 대체, 변형, 가공될 수 있는 성격의 것으로 변화한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복수적 자아 정체성은 본인의 작품 속에서 복제된 자아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본인은 작품을 통해 다중 인격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이는 컴퓨터를 이용해 변형-복제 -합성이라는 과정을 거쳐 비디오 영상을 통해 보여진다.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컴퓨터라는 기계는 그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이미 생활 속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삶의 많은 것을 변화시켰다. 또한 현대인에게 있어 TV를 비롯한 영상매체는 이미 일반적인 리얼리티로 자리잡아 보편적인 사고마저도 언어적인 것에서 영상적인 것으로 바뀌도록 하고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예술작품을 보여주는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과학 기술의 발전은 예술가에게 새로운 연장, 도구 그리고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예술가는 자신의 표현영역을 넓힐 수 있게 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기법, 새로운 예술 양식의 출현을 가져온다. 최근의 비디오 아트, 컴퓨터 아트, 홀로 그래픽 아트 등 테크놀러지 아트 대부분이 그 결과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본인의 관심은 비디오로 향하게 되었고, 처음에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새로운 도구라는 호기심에서 출발했으나, 현재는 다른 매체를 통해서는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로 발전하게 되었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비디오를 제작하는 것은 본인에게 표현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된다. 본인은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비디오 작업의 특성 중에 완전 복제성과 조작 가능성에 주목하여 작품 속 이미지의 수많은 복제와 이미지 변형을 시도한다. 복제는 분신을 만들고, 이미지의 변형은 다중인격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작품에서 복수적인 자아를 표현하게 된다. 본인은 프리미어(Premiere)라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변형시키고, 작품 속에 등장하는 본인을 복제하여 설정된 공간 안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킨다. 작품은 본인에게 신과 같은 역할을 부여하며, 작품을 통해 현실에서는 할 수 없었던 일들을 가능하게 만든다. 작품을 하는 동안에도 본인은 또 다른 나 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인은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을 통해 새로운 세상과 의미와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 결과 사이버 공간의 심리에 대한 광범위하고도 깊이 있는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며, 작업을 하는데 있어 정체성이라는 문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향후 새로운 작업에 가능성을 얻게 되었다. ; The primary goal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my work which is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about the theme, Multiple Identity, and the work is produced by a computer, digital media. In my thesis, I was concerned about a psychology of people in cyber space and presented how the multiple identity which is occurred due to the attribute of cyber space is expressed to the work. I set up a hypothesis that an identity is not only one but a lot to show it is not eternal and lasting but changeable continuously by a different point of view or situation. Replacing the cyber space, my work effects on me as "virtual reality" not "for real". While working, it also made me to get into the situation or the characters of my work. The real world exists in the outside of a computer not inside. Yet we are often possessed with the illusion that the cyber space in a computer is real because of taking it too seriously. In conclusion, in a digital media society, virtual reality that seems actual, is provided by cyber space, and modification of the real form by a digital information have brought on a change to a notion of identity. And it would be presented the form of multiple identity which means more than a self can be exis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identity s character transforms itself into another character that can be changed, substituted and processed at any time, not lasting and consistent any more. I expressed the multiple identity in cyber space to the duplicated self-form in my work, and I have experienced a multiple character through the work. It should be shown through images on a video after through the process of modification-duplication- synthesis in a computer. Today, an information age, computers have already taken an important part of our life, whether we want or not, and have given lots of varieties to us. also, the media for reflection including a television, already became like general reality and they have made even universal thoughts to be changed from verbalism to visuals. With this phenomenon, there have been come out many changes in ways of artistic presentation. Artists can extend the boundaries of their expression as they accept an offer a new implement and a material that come from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Going one step forward, they can bring of a new technique and a mode. The most of technology arts, the latest video arts, computer arts, graphic arts and so on, are the result. In such a situation, I had a interest in video. At first, I began the work by curiosity about the new implement to express a movable image; however, now it has been grown to the implement that is able to turn an impossibility to express through another media into a possibility. Producing video using a computer served as a good momentum to enlarge the power of my expression. As I paid attention to perfect duplicability and manipulatability most of many characters in work of video arts, I tried lots of du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images in my work. The duplication creates one s another self and the modification makes one to experience multiple personality so that I possibly present multiple egos in my work with these characters. I modify, using a software program named Premiere, the images in my work and remove my another self that is duplicated to the every direction in the space allowed. During do the work, I became a creator as God so I made actual impossibilities into possibilities through the work, and doing so I experienced "being another myself". In other words, I was able to gain a new experience in another worl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my work, it was helpful to extensive study of psychology in cyber space and a good opportunity for me to think about the identity throughout the work. Moreover, I have gained a possibility of my future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도판목차 = ii 논문 개요 = iv I. 서론 = 1 II.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의 변화 = 5 A. 디지털 미디어 문화의 발달 = 5 B. 사이버 공간의 등장과 체험 = 8 III. 미디어를 통한 복수적 자아정체성 = 12 A. 복제된 자아 = 12 B. 다중 인격적 경험 = 16 IV. 작품의 표현 = 20 A. 조작된 이미지 = 20 B. 시공간의 재구성 = 22 V. 본인 작품 분석 = 26 VI. 결론 = 51 참고 작품 = 53 참고 문헌 = 57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78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미디어를 통한 복수적 자아정체성의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