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희-
dc.creator김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7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염상섭 비평문의 전반적인 특색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저변에 흐르는 염상섭 절충론의 성격을 규명해 내는데 목적이 있다. 염상섭은 근대 문학의 토대가 마련되지 않은 시기에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초창기 비평계의 독보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기왕의 염상섭 연구를 보면, 소설에 비해 비평은 상대적으로 덜 조망 받아 왔었다. 비평에 관한 연구가 있다고 하더라도 1920년대에 발표한 비평문에 국한되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염상섭이 비평 활동을 시작한 1910년대 후반에서 부터 1960년대에 이르는 전시기의 비평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염상섭 문학 비평의 전반적인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염상섭의 문학 비평문은 초기 비평에서 말기 비평에 이르기까지 논지가 거의 흔들림이 없었기 때문에 시기별 고찰이 아니라, 주제별 고찰을 하였다. 문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배 요소는 예술 과 사회 이다. 즉 예술미 을 중시하면서도, 당대의 치열한 현실적 상황인 사회성 을 외면할 수 없는 것이기에, 문학에 있어서 문학성 과 사회성 중 무엇을 더 우선시 해야 하는가는 간과할 수 없는 화두와도 같은 것이다. 염상섭의 절충론은 바로 이 문학 과 사회 의 절충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II장에서는 고찰한 개성론 과 생활론 은 각각 예술미 와 사회성 을 이루는 토대가 되는 요소이다. 염상섭의 개성론 은 자아의 해방, 개성의 추구에 핵심적 개념이 있으며, 예술가에게 있어서 개성 을 예술가의 창조적 직관 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예술미 추구의 토대라고 보았다. 개성 이 예술품에 드러날 때, 그 예술품은 생명력을 가지게 되어 독자들에게 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개성 은 예술미 의 절대적 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한편 염상섭의 생활론 은 사회의식 추구의 토대가 된다. 염상섭은 생활은 제 1 의 이다. 라는 명제 하에 생활 현실과 괴리된 문학은 생명력이 없다고 보았다. 이 때의 생활 현실이란 3·1 운동 및 식민지의 암울한 상황, 그리고 8·15 이후의 사회적 풍토와 4·19 등을 의미하는 바, 염상섭은 이러한 이슈들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가장 가까운 곳에서 체험하면서 사회비평문을 다수 쓰기도 하였다. 따라서 염상섭은 문학의 보편적 미의식을 강조하는 한편, 당대의 사회적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시대적 특수성을 고려한 문학비평을 전개하게 된다. III장의 각 a항인 내용과 형식 ,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 시조부흥론 은 그가 문학의 예술미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논의한 것들이고, Ⅲ장의 각 b항인 비평관 , 소설관 , 계급문학 은 그 당시 우리나라의 문단적 상황과 정치적 특성을 고려한 논의들이다. 그러나 a항에도 분명 사회의식이 드러나고, b항에도 예술미가 드러나는데, 이렇게 모든 비평문에서 사회성과 예술미를 동시에 추구한 것은 염상섭 문학비평의 특질이기도 하다. III장에서는 염상섭 문학비평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염상섭은 내용과 형식 중 무엇을 더 우선시 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에 있어서 양자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내용과 형식 논의는 문학 작품의 예술미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고심의 흔적으로서, 염상섭에게 있어서 내용과 형식은 창작 방법 이 아니라, 창작 태도 임을 알 수 있었다. 염상섭은 김동인과의 10여 차례의 논쟁을 통해서 비평가의 역할과 비평관을 제시하였다. 염상섭이 표방하는 비평가의 역할은 비평가는 선고권을 지닌 판사와 같은 권리를 지닌다는 판사적 비평가 이다. 그리고 비평가가 비평을 할 때에는 작가의 인격까지 고찰해야 한다는 외재적 비평관 을 주장하였다. 염상섭의 자연주의는 부정적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함으로써 인생의 진실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고, 사실주의는 주 를 객 에 걸러 보는 주객합일의 태도로서, 모든 사조가 취해야 할 방법적인 차원을 의미한다. 염상섭의 자연주의와 사실주의는 모두 원산지인 불란서의 개념과는 다른 것으로서, 이는 그 당시의 문단적 상황을 고려하여 문학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주체적 수용이라고 보았다. 염상섭이 제기한 소설론은 염상섭 연구 중에서 가장 소홀하게 다루어진 분야 중 하나로서, 이 또한 당대 독자의 수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제기된 논의이다. 그는 소설을 민중적 장르로 여겼기 때문에 당대를 소설의 시대라고 보았는데, 이는 소설이 시 등의 다른 장르 보다 윤리적 요소를 가장 많이 담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기인한다. 염상섭의 소설론은 결과적으로 당대의 부정적인 현실에서 삶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장르로서의 구실을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염상섭의 민족문학론은 계급문학의 대타적 개념이라는 소극적인 차원이 아니라, 동일한 전통을 소유한 민족의 문학이라는 포괄적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그가 내세우는 전통관은 현실에 맞게 개조되어야 한다는 현재성을 지닌 유연한 개념이었다. 염상섭은 시조가 가장 조선다운 형식이라며 시조부흥론에 적극 찬동하지만, 여기에 와서 몇 가지 한계를 드러내는데, 이는 염상섭이 전통문학에 대한 지식의 박약에서 말미암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가 한편으로는 민족적 개성에 대한 열망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계급문학에 대응시, 염상섭은 민족문학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계급이란 명목으로 나뉘어서는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계급문학 무위론(無爲論)을 내세운다. 민족문학이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좌파와 우파를 막론하고 합일된 목표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 규명한 염상섭 문학비평의 양상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절충론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절충론은 상황에 따라서 무주견, 무논리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가진 개념이지만, 염상섭의 절충론은 시대가 부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도 같은 것이라고 보았다. 당대의 치열한 역사적 사건과 문단적 상황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예술미를 구성하는 분자들에 대한 탐색을 소홀히 하지 않은 것이다. 염상섭 비평은 추상적 역사주의로 함몰된 이광수의 효용론적 비평과, 사회적 측면을 외면한 김동인의 유미론적 비평의 중간적 속성을 갖는다는 데에 독자성이 있다. 염상섭은 전문직 비평가가 등장하기 이전, 문학의 핵심적 개념들이 담겨 있는 논의를 전개하여 민족문학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에 큰 기여를 했다. 그의 절충론은 예술성과 사회성의 절충이라는 윤곽에서 출발하는 것으로서, 당대의 현실적 상황을 총체성과 전체성이라는 원리로 포괄하는 성격을 갖는다. 이상에서 고찰한 염상섭 문학비평문에서 드러나는 절충성은 그 시대에는 물론, 그것이 가지는 포용성과 유연성으로 말미암아, 시대를 초월하여 의의와 가치를 갖는다고 하겠다. ; What this thesis aims at is to study the general traits of Sang-seop Yeom s literary criticisms, which will eventually form a basis of defining Yeom s eclecticism inherent in his ideas. Yeom entered the arena of literature which was suffering from lack of modern literary foundation and secured an unequaled position in the criticism at its infantile stage. Despite this, the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his criticisms than to his novels in the tradition of the studies on Yeom s works. If there are any studies on Yeom s criticisms, they are regretably delimited to the ones published in the 1920 s. In this light, this thesis will cover Yeom s all critical literature from the late 1910 s to the 1960 s and examin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his criticisms. The study is about thematic changes, not about chronological ones since Yeom s critical attitude had been consistent from early through late years. The crucial dominant elements of literature are art and society. Therefore, the kitchen-sink situation of the contemporary society cannot be driven out of the picture while the artistic beauty is in the limelight. This chicken-and-egg question concerning artistry and sociality is a topic defiant of negligence in the literature. Yeom s eclecticism can be said to start right from the compromise made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The so-called individualitsticism and livelihoodism presented in chapter II are the bases of aestheticism and sociality respectively. Yeom s individualiticism centers around self-liberation and personality-seeking and Yeom views the notion of individuality as the creative intuition of an artist. In this sense, this idea is in pursuit of aestheticism. That is, when the individuality is represented in an work of art, that work will be vitalized and it will give readers feelings of pleasure. Thus the individuality is an absolute constituent for aestheticism. On the other hand, Yeom s livelihoodism provides a groundwork for pursuing the social ideology. Yeom notes that the literature isolated from the living reality is in want of vigor according to his motto of livelihood above everything else. The reality in his times is related to the 3.1 movement, the grim colonial state, the post-8.15-liberation climate, the 4.19 revolution, etc. Yeom had put himself through these occurrences and dealt with them many times in his socio-criticisms with intent interests. Yeom s literature lays an emphasis upon the common spirit of beauty while not ignoring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y. Hence Yeom develops his own literary criticism taking account of the peculiarity of his era. Item, a s in chapter III, i.e. content and form, naturalism and realism, and renaissance of a shijo are topics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aestheticism of literature. Meanwhile, b items, viz. outlook on criticism, viewpoint toward novels, and proletarian literature are argued in light of the contemporary Korea s situations of the literary circles and politic arena. It is, however, evident that we can observe the socialistic ideology in a s and the artistic beauty in b s. This simultaneous existence of sociality and aestheticism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Yeom s literary criticisms. In chapter III, we go into detail regarding some aspects of Yeom s criticisms. Yeom gives priority neither to content nor to form, only being directed toward the harmony of content and form. His argument in relation to content and form stems from his painstaking efforts to effectively realize the aestheticism of the literary works. By the same token, Yeom looks upon content and form not as writing method, but as writing attitude. As a result of more than ten times disputes with Dong-in Kim, Yeom proposes the role of a critic and the outlook on criticism. The role of a critic believed by Yeom is a so-called judicial critic, meaning that a critic has a sentencing right just like a judge. In addition, Yeom maintains that a critic also should take account of the writer s character when reviewing, which could be dubbed as critical externalism. Yeom s naturalism is characterized as showing the truth of life by virtue of the literal description of the negative reality. It represents a unification of subject and object, according to which subject is filtered through object. Thus it supplies a methodical dimension to be assumed by all the trends of thought. Yeom s naturalism and realism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France in that Yeom had autonomously modified original concepts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literary world of his days. The viewpoint toward novels is one of the areas drawing least attention among the studies on Yeom. This is discussed also in terms of readers receptive aspect. Yeom considers novels to be the popular genre and his times to be the age of novels. This perception is derived from the thought that a novel can contain ethical elements more than other genres such as a poem. According to Yeom, a novel plays a part in furnishing a synthetic view into the intrinsic nature of life even under the negative actual circumstances. Yeom s national literature is not employed on a passive dimension of substitutional notion for the proletarian literature, but on a comprehensive dimension of the literature of people with an identical tradition. His notion of tradition is flexible in the sense that it should be tailored to reality. When it comes to the revival of a shijo, Yeom holds that the shijo is the most Josun-like format, which turns out to be limited in some aspects. These facts are to be ascribed to Yeom s shallow knowledge about the traditional literature. However, these limitations shall be offset by Yeom s aspirations for the national identity. With regard to the proletarian literature, Yeom adopts its annihilation, arguing that the national literature should not divided under the name of classes before it takes root. To place a cornerstone, Yeom claims, any factions like nationalism or socialism, left wing or right wing, etc. should go together toward the unitary goal. With the foundation set up in chapter III, we define Yeom s eclecticism in chapter IV. Yeom s eclecticism is far from being negative, where it could be seen as lack of opinion or logic. It is rather viewed as a means for undertaking the tasks assigned by the times. Attending to the bitter historic events and literary situation, Yeom still does not ignore artistic components. Yeom s criticism is unique in that it is situated between the utility criticism by Kwang-soo Lee, which had collapsed in the abstract historicism and the art-for-art criticism by Dong-in Kim, which is secluded from the reality. Yeom s role as a critic is significant because he provided a groundwork for the national literature by way of dealing with the core literary notions before the appearance of any professional critics. Yeom s eclecticism can be summarized as the compromise of aestheticism and sociality, which, after all, includes the factual situation under the principles of synthetism and totality. Moreover, the tolerance and pliability make his theory tenable and valuable within and beyond his peri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4 II. 염상섭 문학비평의 인식론적 토대 = 8 A. 예술미 추구의 토대 - 개성론 = 9 B. 사회의식 추구의 토대 - 생활론 = 18 III. 염상섭 문학비평의 양상 = 27 A. 창작 태도와 비평관 = 27 a. 내용 / 형식의 조화 지향 = 27 b. 판사적 비평가, 외재적 비평관 = 36 B. 문학 사조와 소설문학론 = 46 a. 자연주의와 사실주의의 주체적 수용 = 46 b. 민중의 교도와 총체성 추구로서의 소설관 = 56 C. 민족문학론 = 65 a. 전통적 형식으로서의 시조부흥론 = 69 b. 계급문학 무위론(無爲論) = 81 IV. 염상섭 문학비평의 절충론의 성격과 의의 = 92 V. 결론 = 100 참고문헌 = 105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88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염상섭 문학비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