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31-
dc.description.abstractToday, peop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the market of culture and of art, pursing the abundance highly developed and morally satisfied of the increase of living standar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ivilization. It has surely increased the demands of performing art, and affected to these trends, Korea also has developed the supply of art in dance performance. However, the demand of the people who comes to see the performance does not reach the sufficient level of the supply and it represents that Korean Society failed to popularize the art of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y Korean society failed to popularize, and was to try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y of popularization of dance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came up to a general conclusion. That is, to make Dance more familiar to the public, there should be more chance to gain dance experiences in daily lives. There were many problems which brought the shortage of the demand in Korean society. Concern and supports of the Korea s government were so low that the art dance couldn t hold interest of the public, and experts of dance served their works so complexively and difficultly that they failed to catch the public s interest. Moreover, unimproved marketing system for a show and education of dance which is a lot more prejudiced on fine art affected the result of broken-off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fine art. Therefore, by offering more opportunity of dance to the public, we will reduce the unfamiliarity of dance and will make changes in the cognition of the people. To meet an expectation of public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not only dance experts, but also every other fields related to dance should continue to develop their works. By then, we can expect for real popularization of dance in Korean society. ; 오늘날 세계는 과학과 문명의 발달로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은 보다 고차원적이고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추구하게 되었고 이에 수많은 문화예술시장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는 공연예술을 찾는 수요를 증가시켰고 이에 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무용공연예술의 공급면에서 상당한 발전을 보여 왔다. 그러나 그에 따른 수요는 공급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무용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무용이 대중화되지 못한 점에 의문을 가지고 무용이 대중화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서 무용이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무용을 경험해 볼 기회를 제공해야만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우리나라는 정책적으로 무용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며, 국민이 무용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가 매우 낮아 수요의 부족현상을 초래하였다. 이는 무용전공자들이 무용을 너무 어렵고 난해하게만 해석하여 대중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는 데에서도 그 이유를 들 수 있겠다. 또한 한 작품을 무대에 선보이는데 동원되어야 할 외적 요소들의 개발이 미흡하며, 무용교육이 전공자 위주로만 치우쳐 대중과 순수예술간의 단절을 가져오기도 했다. 이에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요구되며 대중이 보다 쉽게 무용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무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인식에 대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학교와 사회에서의 교육을 통해 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이외에도 공연의 질을 높이고 관객의 만족감을 위하여 무용공연과 관련된 모든 타 분야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듯 무용 문화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무용 전공자들뿐만 아니라 사회의 전반적인 무용에 대한 관심과 이에 따른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모두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야만 진정한 대중을 위한 문화로 자리잡힐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2 II. 이론적 배경 = 4 A. 문화가 대중화되기 위한 제조건 = 5 1. 문화의 개념 = 5 2. 대중문화론 = 8 B.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양상 = 10 1. 취향문화의 구분 = 11 2.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갈등 = 18 III. 한국사회의 무용 대중화를 위한 접근 = 27 A. 문화적 메커니즘 속에서의 무용의 위치 = 27 1.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의 무용 = 27 2. 무용의 사회적 역할 및 기능 = 29 3. 우리나라 무용의 형태와 전개 = 32 B. 우리나라의 사회 전반적인 성향 = 36 1. 정치성향적 측면 = 36 2. 사회 인식적 측면 = 41 3. 문화 시장의 구조적 측면 = 44 C. 교육 제도적 측면 = 47 IV. 한국사회의 무용대중화를 위한 제안 = 55 V. 결론 = 61 참고문헌 = 64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01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사회의 무용 대중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