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효인-
dc.creator김효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24-
dc.description.abstract분청사기는 고려왕조의 몰락을 배경으로 고려청자가 조선왕조의 건립 후 유교 및 성리학에 바탕을 두고 탄생한 조선백자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태동한 독특한 우리 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추상화되면서도 자유분방하고 활달하게 표현된 문양과 기형들에서 고려청자의 귀족적이고 장식적인 아름다움보다는 자유롭고 현대적 감각이 살아있으며, 마치 현대 추상화적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되어져 왔다. 분청사기의 자유분방하고 활달하며 회화적인 조형의식은 현대도자로 표현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청사기의 기형들에 강조, 변화를 주어 현대적 형태로 응용 표현하고 자유로운 철화기법의 문양들을 형태로 도자조형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론에서는 분청사기의 활달하고 자유분방한 조형의식세계와 분청사기의 성립과 쇠락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분청사기의 회화적 문양의 미학적인 고찰을 통해 이론적인 배경을 성립하였다. 또한, 분청사기의 이미지를 표현한 예술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제작에 참고로 하였다. 조형과정에서는 분청사기의 조형의식세계에 나타난 자유분방하고 활달한 정신세계를 바탕으로하여 틀에 얽메이지 않고 자유로워 보이는 기형을 강조, 변형하여 자유로운 느낌의 곡선을 통해 현대적 형태로 조형화하였으며 회화적인 분청사기의 문양을 입체화하여 조형작업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으로는 자유로운 곡선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코일링 기법을 사용해 성형하고 형태에 따라 가압성형 기법을 사용하였고 작품형태에 따라 분청사기의 표면장식기법 중 인화, 조화, 철화기법들을 사용하여 표면을 장식해 주었다. 소지는 주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발색을 위하여 일부는 초벌한 후 화장토를 표면에 발라 주었다. 유약은 자유로운 곡선 형태의 입체적인 표현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무광택유와 문양의 표현을 위해 투명유를 시유하였다.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850℃를 마침온도로 8시간 30분 동안 1차 소성한 후, 2차 소성은<작품 1, 4, 8>은 0.3㎥ 가스가마에서 8시간 동안 환원염소성하였고, <작품 2, 3, 5, 6, 7, 10>는 0.5㎥ 가스가마에서 8시간 동안 산화염소성하였다. <작품 9>은 1.5㎥ 가스가마에서 1250℃를 마침온도로 9시간 동안 산화염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위대한 문화 유산인 전통도자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한한 영감과 소재를 주고 지속적인 고찰과 조형화 작업의 소재라는 것을 알았으며, 그 중에서도 분청사기는 한국인의 정서를 해학적이면서도 여유롭게 나타내고 있으므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형태의 소재로 가능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앞으로 분청사기의 활달하고 자유분방한 조형의식을 바탕으로 현대도자로 표현함에 있어서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세계를 가지고 창조적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리라 본다. ; Punchong is reputed to be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e which came into light in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Koryo celadon to Choson porcelain; a type which was introduced with the uprise of Yi Dynasty,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ism. The simple, extremely abstract patterns and liberal, actively expressed forms of Koryo celadon show rather liberal and modern sensibility than royal and decorative beauty, thus has been appreciated as similar moods to modern abstract painting. The pattern decoration of Punchong shows variation of techniques that no precedent ceramics has shown. The author was motivated to express such techniques in modern ceramics.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ncludes not only emphasis and change of Punchong forms to expression of modern style and liberal and abstract iron decoration patterns, but also creating forms of not fancy but humble and familar patterns. The body of this study investigates a sprit of the Punchong s modeling, historical backgrounds of Punchong s rise and fall along with establishing theoretical background by aesthetic observation of Punchong s patterns as paintings. Also art works expressed with Punchong as materials were observed in reference during my work. The clay works were created with emphasis on bold shapes and changes to liberalistic curves. Diverse three-dimensional patterns of Punchong was used in work as well. As method of production, coiling technique was used to emphasize liberal curved line; pressed molding techniques as needed. The surface was decorated with several patterning techniques, such as stamped decoration, iron decoration, stamped and incised decoration. Stone ware clay was used mostly for clay. Various colors of non-glossy glaze was used to express three-dimensional curve shapes and non-glossy glaze to express patterns. For firing, the first firing was done at 0.5㎥ gas kiln at 850℃ for 8 hours, and the second firing at 0.5㎥ and 0.3㎥ kiln at 1250℃ for 9 hours for 9 hours by oxidized firing. Through this process I realized that the splendid ceramic heritage gives us an infinite inspiration and is a motivation of continuous observation and creation process. Among such splendid works Punchong reflects well the moods of Korean culture humorously and leisurely. Thus shows the possibility of various and dynamic forms of motiv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1.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2. 분청사기의 일반 고찰 = 3 2.1. 분청사기의 조형의식 = 3 2.2. 분청사기의 시대배경 = 5 2.3. 분청사기 문양의 회화성 = 8 3. 분청사기를 응용한 조형연구 = 13 4. 작품제작 및 해설 = 20 4.1. 조형과정 = 20 4.2. 작품제작과정 = 34 4.3. 작품해설 = 38 5. 결론 = 58 참고문헌 = 60 영문초록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488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분청사기의 조형의식을 표현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