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8 Download: 0

동물원을 위한 시각 상징물로서의 도자조형 연구

Title
동물원을 위한 시각 상징물로서의 도자조형 연구
Authors
김인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원시미술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모든 미술은 각각 다른 형태와 이론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그 중심에는 작가의 목소리가 담겨져 있다. 이는 비 언어(non-verbal)적 수단으로 의사가 소통되는 행위이고 그 수단이 작품이라면 작품은 작가의 패러다임(paradigm)이며 그 패러다임을 통해 사물과 작품, 작품과 사람은 의사소통(communication)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패러다임은 여러 가지로 해석 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각언어로서의 조형물을 의미하며 동시에 시각적인 표현과 담겨져 있는 내용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유형의 의도가 드러나게 함으로 작가의 의도대로 관객을 이해시키는 체계를 뜻한다. 의사소통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조형물을 일반적으로 논하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형태와 단순한 의미를 가질 필요가 있는데, 이는 비구상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는 조형물은 다양한 의도로 해석되어질 것이고 이것은 의사소통을 제한하는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동물의 행동이나 구조는 복잡하고 유기적이지만 그 하나하나는 분명한 내용을 의미하고 전달하기에 동물을 표현하는 것은 이런 조건에서 재미있는 대상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도자 조형물이 작품으로서 갖는 공간 조형물의 특수성과 의미전달 이라는 언어의 기능을 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각언어로서의 조형물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물이 갖고있는 상징적인 특성을 찾아 일반화시키는 과정을 기호화 과정으로 보고 주변에서 일반적인 시각기호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유형의 특성들과 그 예, 그리고 시각언어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조형물들을 알아보고, 동물을 소재로 한 도자조형작품을 살펴보았다. 표현 내용은 동물원이라는 공간을 설정하고 동물원 안에서 시각 상징물로서의 도자조형물을 제작하고 그 작품이 관객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동물의 형태적 특징과 상징적 특징을 찾아 단순화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자연스런 공간감과 질감표현을 위해 말아 올리기 기법을 사용하여 성형하였고, 단순하고 절제된 선을 표현하기 위한 판 성형기법, 반복을 위해 석고 틀을 이용한 압축 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주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형태와 의도를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의 무광택유약을 주로 사용하여 붓으로 발라 주거나 스펀지로 찍어 주거나 분무시유를 하였다. 재벌 후에 색상의 부분적인 변화를 주기 위해 3차 소성으로 테라 시질라타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소성은 0.5㎥ 가스가마에서 880℃를 마침 온도로 9시간 동안 1차 소성을 한 후, 2차 소성은 <작품 7, 10-1, 10-2>는 0.3㎥ 가스가마에서, <작품 2, 6, 8, 9>는 0.5㎥ 가스가마에서, <작품 1, 3, 4, 5>는 1.5㎥ 가스가마에서 1250℃를 마침 온도로 9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3차 소성은 <작품 1>을 0.3㎥ 가스가마에서 1060℃를 마침 온도로 5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각언어로서의 조형물이 관객과 작가 사이에서 공간 조형물로서의 그 고유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서로의 의도를 이해시키는 의사소통의 매개로 존재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작가의 의도대로 관객을 이해시키는 과정에서 사실적인 형태와 단순한 의미를 제시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Although all kinds of art ranging from the ancient to modern period have various forms and theories as background, the voice of the artist is conveyed at the center. This is a behavior using a non-verbal means to communicate; if such means is a work, the latter is the artist s paradigm through which things and work and work and people communicate to one another. What I refer to paradigm in this contex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refers paradigm to formative works as a visual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refers to a system enabling the audience to understand according to the artist s intention by revealing some form existing between visual expression and its contents. In order to discuss formative works as a paradigm for communication in general, conceptual form and simple meaning are a necessary part for such discussion because a formative work of non-conceptual form and various meanings can be analyzed in various terms, and this can significantly hinder communication. Although the behavior and structure of animals are complex and organic, each of them represents a clear meaning and conveys it in a clear way, a fact which makes expressing animals an intriguing subjec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specialities of spatial formative work as a paradigm of communication function as a languag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cess of generalizing the things symbolic features through symbolizing process, various types of specialities and cases as general visual symbols, formative works being used as a visual language, and ceramic formative works on animals. In terms of contents of expression, space called a zoo was constructed, within which ceramic formative work was produced as environmental formative work, which was then made to function as a conveyance-carrying channel to the audience. In order to express this, the work was produced by finding and simplifying the animals features of form and symbol. As a producing way, coiling, slab building and press-moulding techniques are used following forms. Clay used for this work is mainly stone ware clay. For glaze, non-glossy glaze of various colors is used by brushing, sponging, and spraying. In the third firing terra sigillate is used. For firing, the first firing was done at 0.5㎥ gas kiln at 880℃ for 9 hours, and second firing was done at 0.3㎥ for , 0.5㎥ for and 1.5㎥ for gas kiln at 1250℃ for 9 hours by oxidized firing. The third firing was done at 0.3㎥ for gas kiln at 1060℃ for 5 hou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