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2 Download: 0

비상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비상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도자조형 연구
Authors
조애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은 인간의 삶을 반영한다. 인간의 삶은 자연 속에 용해되어 있고 그 테두리 안에서 예술은 피어난다. 인간은 자신의 개성과 창조성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며 그것을 표출하려고 노력하는데 자연은 이런 예술가들에게 표현의 동기가 되어 주며 끊임없이 소재를 제공하는 존재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연을 표현하는 방식은 변화해 왔다. 현대에 이르러 인간 내면의 세계를 의식적으로 결합하여 보다 창조성과 독창성을 중요시하게 되면서 그 조형세계의 영역이 다양한 분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끊임없이 자유를 갈망하는 인간 내면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비상을 선택하였으며, 비상의 상징성을 모티브로 하여 가시적 조형대상으로 삼았다. 비상(飛翔)이 갖는 상징성을 외적 부분에서 내적 부분인 정신적인 부분으로 점차 발전시켜 나아갔다. 외적 측면으로는 정적, 상승, 생동감, 비상 후 공간감등으로 표출되는 운동성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내적 측면으로 시련과 극복, 도전, 갈망과 구도적 자세, 성취와 관조, 자유의지, 첨예와 민첩 등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비상의 내적 이미지를 외적 형태를 통해 주관적인 연구자의 감성세계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 비상의 개념을 고대로부터 발생되어진 이원론적 세계를 바탕으로 한 인간의 상승욕구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아보고 신화, 문학, 예술에서 표현된 비상의 상징성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의 작가들의 예술작품에서 다양하게 표현되는 비상의 상징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작품의 조형화 과정에서는 비상(飛翔)이 갖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름다움을 지닌 조형물을 제작하기 위해 비상이 갖는 자유 의지, 갈망, 시련극복과 같은 내적 측면에 시간적, 공간적 이미지 등의 주관적 상상력을 첨가하여 시각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창출해낸다. 작품의 제작은 역동적이고 강한 생명력을 표현하기 위해 비대칭이며 동세가 심한 조형물을 제작하기에 적합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자유로운 동세를 소화하기에 적합한 코일링(coiling) 기법을 이용하였다. 석기질 점토의 경우 유약의 흡수율이 커 초벌 전 화장토를 기물 전체에 얇게 발라주었다. 유약은 기물의 이미지에 맞는 무광택유를 음영을 주어 분무 시유 하고 부분적으로 광택유를 사용해주어 단조로움을 피하려 하였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 온도 870℃로 1차 소성한 후 마침 온도를 1250℃ 산화염으로 2차 소성 하였다. 비상이 갖는 상징성을 파악함으로 깊은 물상의 새로운 이해가 가능하였으며, 작가 나름의 내면 세계와 독창성의 표출은 조형의 가능성을 일깨워 주었고 상징성에 결합된 상상력은 다양한 작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상의 상징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은 추상적인 비상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므로 가능케 하였으며 앞으로 깊이 있는 도자 조형 작업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Art has reflected our way of life in a variety of forms. From the ancient times, human beings have looked upon nature for inspiration. This is because we are a born from it and it is our main source of information. Human beings have put great emphasis on their emotion and their will to express it in art. Nature fulfills this human desire for it provides infinite possibilities that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of art. The trend in art changes with the flow of time and nature is also interpreted differently. Today, expressing an artists individual concept and character is important. They are shown in a variety of ways and media. In this study, the incessant human desire to be liberated is expressed through the notion of flight. This has been used symbolically. Both the inner and outer human portrayal of flight has been examined in this research. The external portrayal of flight concentrates on the sense of stillness, elevation, motion, space and flying. Whilst endurance, challenge, desire, composure, achievement, meditation and emancipation have been used for the portrayal of our innermost feelings. Here, the artists individual experience has been added. For the background research, different psychological portrayal of flight has been examined. Mythical, literal and artistic interpretations have been studied. Bearing this in mind, different emotions were expressed in clay. The forms required intricate details. Therefore most of the work was coiled. For sufficient plasticity, a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Both matt and gloss glazes were used and slips were applied before the first firing. The first firing was for 8 hours in a 1.5㎥ gas kiln. It reached a temperature of 870 ºc. The second firing, oxidized at 1250 ºc, was conducted for 9 hours.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notion of flight was not easy however it was a most challenging and interesting experience. It evoked different imaginations and one had to listen to ones psyche carefully. This study has opened new paths in using this concept.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express other aspects of this no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