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1 Download: 0

산의 다양한 표정 연구

Title
산의 다양한 표정 연구
Authors
윤경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자연은 삶의 터전이며 문화적 환경이고 시지각적으로 끊임없이 자극을 주는 대상이다. 이러한 자연이 회화에 있어 창작 동기로써 혹은 주제로서 선택되어 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으며, 자연을 화면에 재현하거나 재창조할 때 이를 조형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으려는 노력 또한 계속되어 왔다. 본인은 자연을 다른 보조적인 연계물이 필요치 않은 자연 본연의 모습으로 파악하고, 자연의 표현을 통해 무엇인가 구체적인 내용이나 의미를 담으려고 한다기보다 자연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하여 일상의 정경에서 얻어지는 회화적 감성들을 화면에서 새롭게 구성하고자 하였다. 순수한 자연의 이미지와 자연 스스로가 연출하는 조형감을 중요시하여 본인이 느끼는 산수의 정취를 채색 위주로 표현하였다. 본인 작품은 자연 대상에서 얻어진 형상을 소재로 하여 이를 충실하게 묘사하면서 산, 바위, 계곡, 나무, 들판과 같은 자연 대상에서 받은 인상(印象)을 내적(內的)인 감정(感情)과 교합하여 서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주관적인 관점에서 인식한 자연의 참다움을 객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되도록 구상의 범위를 고수하면서 조형의 폭을 확대시켜 나갔으며, 구도나 색채면에서 현대적인 변이를 추구하는 것으로 종래의 전통적인 산수의 표현과는 다른 새로운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회화에서의 자연의 표현을 동ㆍ서양으로 나누어 간략히 알아보고, 색채의 변형을 통한 자연의 서정적 표현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방법적 측면에 있어서는 작품제작 의도와 그에 따른 조형상의 의미와 푸른 색의 심상표현의 효과를 서술하였다. 이를 본인이 제작한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결과적으로 본인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품을 직시하는 기회를 가지고 주관적 창작 행위에 대한 회화적 가치관을 설정, 재정립하고 앞으로의 작품 제작에 있어 내면적 기반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Nature is the ground of living, a cultural environment and an object that continuously gives stimulations to man. So it is quite natural that nature has been chosen as a main motif or theme of pictorial creation and that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find proper ways to formatively represent or recreate it on canvas. The author of this study tried to grasp nature as it is by excluding all connected subsidiaries of it and construct anew certain pictorial sentiments evoked by common scenes in it on canvas rather than to put some concrete details or meanings in the expression of it. Pure images and formative creativity of nature itself were valued highly in the author s colorful and moody representations of mountains and water. Therefore efforts were made to honestly depict natural figures as they are, lyrically combine impressions gained from such natural objects as mountain, rock, valley, tree, or field with personal inner feelings. To objectively represent the truthfulness of nature perceived subjectively, the range of formation was expanded farther within the bounds of concrete art and new expressional methods different from traditional ones were explored for the pursuit of modernistic variations of composition and color. In this study, Western and Eastern representations of nature in painting are concisely investigated, lyric expressions of it through color variation are described, and the intents of the author s expression, resulted formative meanings of works and the effects of image expressions in blue color are also mentione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The author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works of her own, reestablish her pictorial sense of value anew and lay an inner foundation for the future creation of works by producing actual works and investigating those subjects mainly around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