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지혜-
dc.creator백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29-
dc.description.abstract작가는 자신의 경험이나 기억 또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서 하나의 모티브를 취해 자신만의 조형언어로 그것을 표현하고자한다. 그러한 표현과정에서 작가는 무엇을 그리느냐 와 어떻게 그리느냐 의 문제에 부딪치게된다. 현대미술의 흐름에서는 어떻게 그리느냐 의 문제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으나 본인은 두 가지 측면 모두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작품제작에 임하게 되었다. 본인이 표현하고 싶은 주제는 인간이다. 작가는 살아가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되고 그 안에서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되며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게 된다. 그렇기에 많은 인물화가 역사 속에서 존재하게되었지만 무엇보다 본인이 관심을 갖는 것은 평범한 일상의 삶속에서의 인간의 모습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물들과 그들이 속해있는 일상이라는 소재는 이미 많은 작가들에 의해 다루어져왔고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진부해질 수 있는 요소를 담고있는 것들이다. 바로 여기서 어떻게 그리느냐 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즉 지극히 평범한 소재들을 새롭고 독창적인 작가만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가가 작가가 직면하게 되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 본인은 빛이라는 하나의 조형요소를 화면에 도입하게 되었다. 빛은 화면의 구성요소로서 보는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거나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보조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대상에 실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그림자는 공간을 만드는 요소로서 하나의 대상이 평면 안에서 실재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빛과 그림자의 도입은 공간을 이루는 하나의 조형요소로서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화면에서 빛을 받은 면과 빛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의 형상은 보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정서를 일으켜 시적 분위기를 느끼게 하며, 일상의 공간을 새로운 공간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빛에 대한 본인의 시각적 체험은 일상의 인물이라는 객관적인 소재를 화면 내에서 주관적인 언어로 받아들여 새로운 조형적인 공간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회화에 있어서 중요한 조형요소로 부각되는 빛의 역할과 그 정서적 의미는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관심의 대상이 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형언어로서의 빛과 그림자, 그리고 서양회화 상에 나타난 빛의 효과를 이론적으로 연구하였으며, 한국회화에 나타난 인물화를 통해 일상의 인물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본인의 작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The artist takes a motif from his own experience, memory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tries to express it with his own formative language. In this process of expression, he comes to face such problems as What to paint and how to paint . How to paint problem has been treated as a more important issue in the discourse of modern art, however, I as the author of this study have produced works of my own, thinking the other problem of art- What to paint -can not be overlooked. Themes I want to express are centered on human beings. The artist encounters a variety of people, which forms new relationships and builds up his individual life. By this reason there have been so many of figure painting in the human history, but what I am concerned about most are the aspects of man in the ordinary daily living. Meanwhile, people and their daily living have been so much popularized as the subject matter by lots of artists that they are likely to be trite. Here the problem of how to paint raises its head. That is, whether the artist can translate these extremely common subject matters into an original and unique representation or not becomes a key problem he must face. In this respect, I have introduced light, one of formative components, on canvas. Light as a formative component catches the seer s eyes, plays a supplementary role of making the theme clear, or grants substantiality upon the object. And shade is also a spatial component and it plays a role of helping the object to acquire substantiality on the plane surface. Like this, light and shade are introduced as important components of my work. The contrast between bright sides and shaded parts on canvas can evoke the seer s emotions totally new even to him and make them experience a kind of poetic mood and perceive daily living spaces anew. My visual experiences with light has led me to transform the objective subject matters-e.g., people in the daily living-into a subjective language which is useful to the creation of a new formative space. Besides, the role and emotional significance of light as an important formative component painting. Therefore, in this study, light and shade themselves as formative languages and the effects of light shown in the Western painting a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along with the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figure painting to attain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author of this study to work 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A.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II. 본론 A. 빛의 이론적 연구 1. 빛의 의미 = 3 2. 회화에 나타난 빛의 효과 가. 빛과 공간과의 관계 = 5 나. 빛과 음영 = 6 3. 서양화에 있어서 빛의 사용 = 8 B. 인물화의 이론적 연구 1. 인물화의 소재 변화 = 11 2. 일상적 소재 선택의 의미 = 14 C. 새로운 공간의 형성 1. 일상의 리얼리티와 또 하나의 현실 = 15 2. 빛을 통한 일상의 공간 표현 = 16 III. 작품 제작 및 작품 분석 A. 제작 의도 = 18 B. 작품 분석 = 20 IV. 결론 = 37 참고 문헌 = 38 참고 도판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74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빛을 통한 일상의 공간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