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승희-
dc.creator정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2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작품제작에 있어서 본인의 작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기술적 방법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을 위해 쓰여졌다. 본인은 이 글을 통해 본인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보여지는 집 의 이미지를 고찰하여 우리 자신의 내면도와 나아가 인간-우주의 연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원주의 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는 현대미술은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일어난 전통적인 가치질서의 붕괴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러한 절대가치가 무너지면서 방향성의 결여로 인해 예술가들은 그 다양함 속에서 혼란함을 느끼게되었고, 따라서 더욱 더 자신의 본질을 찾으려 하고 있다. 예술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고 가장 궁극적인 것을 찾으려 하는 것은 과거로부터 계속되어온 인간의 창조충동으로 인한 필연적인 결과로써 요즈음의 복잡다단한 시대에 이르러서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중심을 찾고 주변의 세계에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작업에 임하여야 할 동시대적인 자세가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집 이라는 것은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닫혀지고 보호된 공간으로써 사람들은 집을 중심으로 삶을 시작하고 마감한다. 이러한 집의 내면성은 우리로 하여금 어머니의 품, 어머니의 태를 느끼게 하며 온화함,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집은 우주 안에 펼쳐진 열림 의 공간으로써 외적인 의미를 지닌다.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공간으로서의 집은 대지에서 하늘까지 확장되는 우주성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인간은 닫혀진 공간 속에서 보호받기를 원하지만 닫혀진 공간은 피난처인 동시에 구속의 의미로도 연결이 되기 때문에 항상 갇혀진 존재가 되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는 것 또한 인간이 희구하는 것으로써 대지에 중심을 고정하면서 확대되고 팽창하는 무한의 공간으로 열려있는 집의 이미지는 인간의 이러한 두 심리를 만족시키는 것으로써 우리 인간 모습의 변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본인은 이러한 집의 의미분석 과정을 통하여 포스트모더니즘적 징후들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 자신의 본질을 찾기 위해 본인, 나아가 우리 인간이 가지는 중심성과 수직성(우주성)을 밝혀보려 하였다. 본인은 이러한 집의 이미지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하고 조형적으로 재구성함에 있어 현대미술의 기술적인 측면들을 빌려 작업해 나갔다. 사진과 컴퓨터를 이용해 이미지를 만들고, 오브제를 첨가하거나 화면에 입체성을 부여하기도 하며, 또 여기에 다시 무언가를 그려나가는 행위를 통해 전통적 회화에서 벗어난 총체적 미술을 지향했다. 집 이라는 이미지가 작업을 통해 관람자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집 의 원형(본 고의 주제)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의 확장을 유도해냄에 있어 본인의 작업방법에 있어서 또한 열린 방법들을 통한 모색들이 시도되어 졌다. 끝으로 본인이 추구한 집의 이미지를 통해 내면세계에 대한 지형도로써 더 나아가 열린 가능성으로써의 인간의 모습을 확인하고, 본인이 지어가고 있는 예술세계의 집들이, 또 각자 자신이 지어가고 있는 나름의 집들이 더욱 견고하게 지어질 수 있기를 고대한다.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ore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echnical methods upon which the author s works had been produced. In this study, the images of house that can be seen consistently in the author s works are investigated, and additionally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and the connection between man and the universe are also looked at. Modern art that can be generalized into one term, pluralism , originated in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all over the society and culture. The collapse of absolute values and the resultant lack of definite directions, however, have made artists confused in sudden outflows of diverse values but also made them search for their essential nature by that degree. Attempting to reveal the inside of man and searching for the most ultimate is a necessary consequence of humanbeing s creative impulse sustained from the past, and artists of today are trying to find the central meaning of their existence. And now the artist s contemporaneous attitude with mind open to varied surroundings is demanded in his creation. The house, as we see, is a place for residence and protection where people start and end their day. The interiority of house gives us warmth and security like the mother s bossom or womb. Furthermore, the house has an external orientation toward the universe with its opening character. As a space with infinite possibilities, the house has a certain universal quality expanding from the earth to the cosmos. Every man wants to be protected in a closed space but he sometimes tries to get out of it because a closed space is a shelter and a prison at the same time. Man also wants to be limitlessly free. Therefore the image of house fixed on the earth while expanding and inflating itself up ward to the universe is a kind of alter-ego of man s double faced mentality. The author of this study tried to indentify the central and vertical orientations(cosmic qualities) of man to seek his true nature almost forgotten in this age of indifference and full of post-modernistic symptoms by analyzing such images of house into meaning. The author of this study went on experimenting the technical aspects of modern art to analyze such image of house geometrically and reconstruct it formatively. Desirable images were formed by photography and computer upon which some objects sometimes were added, solidity was granted, or some shapes were drawn to yield a piece of composite art freed from the world of traditional painting. In trying to reveal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house and to stimulate appreciators imagination to make them realize the archetype of house in the author s works, open methods were used. The author really hopes that the houses she constructs in her artistic world on the basis of the image of house as a map of humanbeing s inner world and as having the possibility of openness of human mind and the other artists imaginal houses are more solid than ev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본론 = 3 A. 내용적 연구 = 3 a. 원형론과 현상학적 측면에서의 집 = 4 b. shelter에서부터 소우주에 이르기까지 = 6 B. 방법적 연구 = 8 a. 기하학모양 형태의 기호 = 8 b. 회화적 공간 창출을 위한 기법들 = 10 참고도판 = 14 C. 본인 작품분석 = 16 III. 결론 = 42 참고문헌 = 43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닫힘/열림의 공간으로서의 집의 이미지 : 울타리로부터 소우주에 이르기까지-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