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은희-
dc.creator양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21-
dc.description.abstractHuman beings have religious senses as well as souls. Therefore, they basically have reminiscence of and freedom. Since that transcendence lies in the inner aspect of human beings, and it appears various acts in life, though not as a religious act toward certain power. Through self-inspection that allows to listen to one s inner voice, human beings can recognize they are spiritual beings. Meditation makes realize one s transcendent existence, and it is behaviour that provides spiritual satisfaction through contacting mysterious world and the transcendent world of g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feeling of space with sculpting skills by analyzing artistic trends that searched for the spiritual existence and works of artists who expressed transcendent moo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describes artists of geometrical abstract art and mono chrome to find their spiritual contents and how they are expressed. Also, this study examines expression of virtual space through literature study of Op art, and describes functions that can express meditating moods. As the content of expression,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and the state of general meditation, and more specifically, explains individual experience of mediating on the water and sk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works that express these contents. A simple square frame and controlled expression of the inside can lead a viewer the experience of meditation by inducing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he psychological effect of the color itself through the color aspects of monochrome lead viewers to meditation and speculation, and it is used as a way of expressing the complete state of balance. The way of overlapping a net is good for expressing virtual infinite space by creating flickering effect. The mirror leads viewers to meditation by reflecting their feature, which gives the opportunity of meditating oneself. Also, the reflection of the mirror induces meditation by making feeling the inside of the frame as infinite space. Light stands for soul and sacred beings, and the setting light in the inside of the work shows the transcendent and spiritual world. The spreading light in the work expresses movement of the spirit in the world of infinity that we feel in the state of meditation by making space expanded to infinity. ; 인간은 영혼을 지닌 존재이므로 종교적 감정을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근원적으로 초월과 자유에 대한 향수를 지니고 있다. 초월과 자유에 대한 향수는 모든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감정이기 때문에 특정한 신적 존재를 향한 종교적 행위가 아니더라도 삶 속에서 여러 가지 행위로 나타난다. 자기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것은 인간에게 있는 초월적 차원의 일이다. 자기에 대한 관조를 통해 인간은 스스로가 영적이며 초월적 존재라는 것을 의식할 수 있다. 명상은 바로 자신의 존재의 이러한 면모를 깨닫게 해주는 행위이며, 초월적인 신의 세계, 신비의 세계와 접촉함으로써 영혼의 만족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행위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에서 정신적인 실재를 추구한 미술사조와 명상과 사색을 통한 초월적인 분위기를 표현한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보고, 명상으로 이끄는 깊이로서의 공간감을 표현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에서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카시미르 말레비치(Kasimir Malevich)로 대표되는 기하추상 및 모노크롬과 미니멀리즘의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이 표현하고자 한 정신적 내용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떠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는지 서술하였다. 또한 옵아트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착시에 의한 가상적인 공간표현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러한 표현방법에 의하여 명상적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서술하였다. 표현 내용에는 일반적인 명상의 과정과 명상의 상태를 서술하고, 구체적으로는 일상생활 속에서 명상을 하게 하고 초월적 실재를 생각게 하는 물과 하늘에 대한 명상의 개인적 체험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표현한 작품 7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각의 틀이라는 간결한 형태와 구체적인 내용을 표현하지 않는 방법은 감상자에게 집중과 몰입을 유도하여 명상의 체험으로 이끌 수 있다. 모노크롬의 색채 자체의 심리적 효과는 감상자를 명상과 사색으로 이끌 수 있으며, 명상의 상태에서 느끼게 되는 완전한 평형상태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망을 중첩시키는 방법은 착시에 의한 가상의 움직임과 공간감을 만들어 내어 작품을 비물질화 시키고 가상의 공간감과 깊이를 표현하는 데 적합한 방법이었다. 거울에 비친 영상은 감상자에게 스스로를 관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 명상으로 이끌 수 있다. 또한 거울의 반영하는 특성을 이용하면 실제 공간보다 더 깊은 깊이를 만들어내어 프레임의 내부를 무한한 공간으로 느껴지게 하여 명상을 유도할 수 있다.. 빛은 영혼을 나타내고 신성한 존재를 나타내는 요소로, 작품 내부에 빛을 설치하는 방법은 초월적이고 정신적인 세계를 나타낼 수 있게 해주었다. 작품에서 빛의 확산은 공간이 더욱 무한히 확장되는 효과를 만듦으로써 명상의 상태에서 느끼는 무한의 공간에서 정신의 자유를 표현할 수 있게 해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1 C. 연구의 방법 = 2 II. 이론적 배경 = 3 A. 기하추상과 정신성 = 4 B. 색면추상과 미니멀리즘에 나타난 정신성 = 9 C. 옵아트(Op Art)의 착시공간 = 17 III. 표현내용 및 방법 = 27 A. 표현내용 = 27 1. 명상과 관조 = 27 2. 물과 하늘에 대한 명상 = 28 B. 표현방법 = 31 IV. 작품분석 = 36 V. 결론 = 58 참고문헌 = 61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82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명상으로 이끄는 공간의 깊이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소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