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6 Download: 0

도시 주변개체의 일상 표현

Title
도시 주변개체의 일상 표현
Authors
백은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공간은 인간의 낭만적 상상을 만족시켜 주는 기술 문명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그러나 기술이 발달할수록, 물질적으로 풍요로와질수록 인간성 상실과 소외의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는 문명화된 도시가 반드시 이상적인 공간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 의문은 이러한 진보에 무관심한 개체들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이 개체들은 오히려 이러한 진보에 자신들의 공간이나 생태에 위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들이 처한 상황을 불안 속에 내던져진 실존적 상황으로 보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들이 생존을 위한 노력을 통하여 스스로 자기 존재를 창조하고 능동적인 삶을 영위해 나감으로써 그 상황을 극복한다고 보았다. 주변 개체들은 도시화가 추구하는 것과 부합되지 않아서 주변부로 밀려난 생명체들을 말한다.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도시 주변 개체들의 일상성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화시키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실존주의와 신구상회화를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였고, 표현내용에서는 도시화의 과정에서 소외되어 주변개체의 상황을 서술하였다. 표현대상은 들고양이, 비둘기, 까치, 딱새, 달동네의 일상을 표현한 작품 7점이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주변개체들은 처음부터 도시공간에서 소외된 존재들이 아니었다. 그러나, 도시화는 그들에게 불균형한 삶을 초래했으며 이러한예상치 못한 변화 속에서 나름의 독특한 변형된 삶을 살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 애쓰면서 소외라는 실존적 상황을 어떻게 극복하고 받아들이느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의 실존은 소외된 주변공간에 생기를 넣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런 의미에서 이들의 존재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변개체가 등장하는 배경은 도시내부의 다양한 장소이다. 예를 들어 고층건물의 옥상, 재개발 지역 주택가골목, 주택의 지붕, 담장, 창문으로, 거시적인 시각에서부터 미시적 시각에 이르는 시점을 통해 도시의 다양한 얼굴을 찾았다. 그리고 이 장소들은 눈에 드러나지 않아 쉽게 지나치게 되는 곳을 찾아낸다는 일관된 방법을 통해 선택된다. 주변개체들은 작품에서 도시의 들고양이, 비둘기, 까치, 달동네로 나타난다. 이 개체들의 일상성은 밥먹기, 잠자기, 걸어가기, 꿈꾸기, 풍경, 쉬기, 만나기 들로 표현된다. 이러한 일상적 행동은 건물옥상, 골목, 건물천장, 담장 틈, 창문 등과 같은 중심의 공간이 아닌 주변의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공간들은 극도로 축소된 작은 장면으로 나타나는데, 그럼으로써 이 공간은 주변의 공간이라는 물질적인 공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느끼는 소외감을 상징하는 심리적인 공간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표현방법으로는 중심의 공간을 기둥의 반복 배열, 사각형 기둥으로 규격화된 도시공간을 상징화 시켰으며, 이와 대비되는 주변 공간의 표현은 손자국이 드러나는 테라코타, 거칠게 채색된 드로잉으로 상징화 시켰다. 이러한 공간의 대비 속에서 이들 개체의 생존을 강하게 전달된다. ; A city is the right place where high technology converges satisfying romantic human imagination. However, as the technology advances and material prosperity increases, a matter of dehumanization and alienation has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study has been initiated by doubting if the civilized city is a ideal place live in and started from beings indifferent to theses technological advances Ironically, these advances are threatening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ese beings regardless of their will. Regarding the reality these beings are faced with as unstable existence, the researcher assumes that the underprivileged create their own being through painstaking efforts for existence under extreme situation and overcome unfavorable reality by leading active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ordinary lives of city outsiders and make artistic works out of their vitalities through empathy. The contents of the study is to find how to express the vitalities against the city which belies apparent gloominess and pessimistic resignation through adducing aesthetics expressed in existentialism and new plastic arts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provide the explanation of 7 works with each expression methodologies and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Underprivileged creatures were not the outsiders in the urban environment at the beginning. Rather than being alienated by the human beings, they have been there just as they used to be in the past. However, urbanization has brought artificial and unnatural lives to them, but nonetheless they are making their own unique, though distorted a lot compared with their natural lives, lives under the unexpected environment. In the light of this reality, this study has a major focus on how the underprivileged creatures has accepted the artificial urban surroundings, fac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the assimilation and eventually overcome their existential reality, alienation Their existential cause is to bring back the vitality to the alienated surroundings. Through this fact, the researcher has found what they are for, which is parallel to the tradition of existentialism. Various places in the city were selected for the backgrounds of the works and approached in two views, macro and micro : roof top of sky scrapers in the city, small alleys of wornout residential district to be redeveloped, ceilings of the buildings, fences in the residential area, windows of the houses etc. Outsiders are defined the beings driven out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just because they are no appropriate for the urbanization. And they appear as wild cats in the city, pigeon, magpies, underprivileged residential area. Ordinary affairs are expressed in the works as eating, sleeping, walking, dreaming, landscape, resting, meeting etc. Their ordinary affairs can be seen in the surrounding spaces not in the central space of the city, which are roof top, alleys, ceilings, windows etc. Also, the ordinary affairs in these places are expressed by means of extreme minimization and small scenes. Theses methodologies turned the physical space of surrounding environment alienated from the main stream to the psychological space symbolizing the feeling of difference and closeness. The methodologies of expression are the followings. The central space are symbolized in a way of arraying the standardized columns repeatedly. On the contrary, surrounding underprivileged spaces are symbolized by means of pictures drawn roughly, terra-cotta showing the handprint of the researcher, backgrounds in awkward colors. The researcher intend to let the viewers feel the existence of underprivileged creatures through the contrast of theses two spa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