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지영-
dc.creator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공립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 실태 및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에 대한 서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224명이다. 연구도구는 수업연구에 관련된 문헌 및 관련 연구를 기초로 하고,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준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문항마다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인식에 대한 변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 유치원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과반수 이상이 경험을 하였고, 수업연구교사의 선정은 주로 교육청의 지명에 의해 이루어지며 교사 수에 비해 그 주기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가 장학사의 장학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료교사들의 협조는 대체로 협조적인 것로 나타났다. 수업연구 결과의 일반화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는 그 자체가 형식적이고, 평상시 수업과 차이가 많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연구교사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서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업연구가 필요하다는 교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교사보다 많았다. 필요한 이유로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수업의 질 개선을 들고 있었고,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수업연구가 형식적이고, 강제적이고 의무적으로 이루어지며, 교육과정에 파행을 가져오며, 일반화가 안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수업연구교사의 선정 방법이 타당하지 않으며, 그 이유로는 수업연구교사의 수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연구를 위한 연수 담당자로는 수업우수교사를 원하고 있었으며, 수업공개와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희망교사만 수업 공개를 하거나 수업 공개 횟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공개의 횟수는 현재 연 3회에서 연 1회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수업 공개가 수업연구교사 본인이나 참관 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으나 수업 공개 참관시 공연장 관람식의 참관 태도나, 수업자의 결점만 발견하려는 태도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협의회의 바람직한 방향은 수업 내용과 관련된 주제 중심의 토의를 한다로 나타났다. 장학사에게 바라는 장학 영역은 수업 지도 기술, 유형별 수업 형태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다. 수업연구교사를 위한 바람직한 지원 방법으로는 업무 경감 및 시간적 여유, 근평 상향 조정 및 승진 점수 부여 등이 요구된다. 일반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자신의 수업에 적용를 해보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고 인식하고 있어 무엇보다도 실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수업연구제의 문제점으로는 교사의 자발성 부족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의견으로 수업 공개 준비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운영에 피해를 준다는 의견이 많아, 수업개선을 통한 유아들의 발달을 돕기 위한 본래의 목적에 어긋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research teachers and cogni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suggested how to improv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1. What was the reality on the management of the research teachers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instruction. 2. How was the perceived by teachers on the cognition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instruction.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224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For a survey,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relevant references, researches and research question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χ²test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the reality on the management of the research teachers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instruction, the current way of selecting the research teachers who over a second were experienced was assigned by school district authority and the period was short comparing with the number of teachers. After the open instruction, the discussion items were consisted of average leveled supervisor s, principal s, and vice principal s advice, questions and answers, and topics of class. Most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supervisor s supervise but were satisfied with coworkers cooperation. The instruction generalization after the research instruction was not successful, because it was for form s sake and much different with the real instruction. Second, regarding the cognition of problems and improvement system for research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There were more teachers than who needed for research instruction. Because the research instruction was formal, enforced, obligatory, and also it wasn t generalized, those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didn t need any research instruction. The current way of selecting the research teachers was not reasonable, so there were too many research instruction teachers.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the superior able teachers for the research instruction and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want for teachers who want research instruction to do for releasing their stress from that and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number of research instruction, once from 3 times which have been don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open instruction was helpful for the research instruction teacher and other observing teachers, but it was the problem while their observation, their observation attitude and the attitude which tried to find the research teacher s faults. The desirable way of discussion should be focus on the subject related the contents of the class. It was shown that the supervisory criteria for supervisor should be required the class distinguished from the style. The desirable way of support is to lower teacher workload, give enough time, favorable condition for work evaluation and promotion. And the way of generalization is that teachers should have recognition for having chances to adopt their teaching and importance of their participating.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blem of the research instruction subject was the lack of teacher s spontaneity. Teachers perceived that preparing the open instruction took much time and was little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q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수업 장학의 개념 및 기능 = 5 B. 수업 장학의 방법 = 8 III. 연구방법 = 14 A. 연구대상 = 14 B. 연구도구 = 15 C. 연구절차 = 16 D. 자료분석 = 17 IV. 연구결과 = 18 A. 단위 유치원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의 현황 = 18 B. 단위 유치원 수업개선 연구교사제에 대한 인식 = 25 V. 논의 및 결론 = 37 A. 논의 = 37 B. 결론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5 부록 = 4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42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단위 수업개선 연구교사제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조사 : 서울시 공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