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Title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Authors
서유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kindergarten through self evaluation,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is quality with the teacher s level of experience, teacher s level of education, children s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 self-evaluation and validator-evaluation will be studied, and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s sh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self-evaluations by the teacher pertaining to teacher -child interaction? 2. Are there differences in teacher self-evaluations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teacher? 2-1. Are there difference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teacher s level of experience? 2-2. Are there difference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teacher s level of education? 2-3. Are there difference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children s age? 2-4. Are there differences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3.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teacher self-evaluation and validator - evaluation? 4. How is the awareness of the teachers to the problems pertaining to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consensus studies of 186 teachers teaching at kindergartens in Seoul, and 14 of these teachers were also subjected to observation. The interactions sec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program」, developed by the Brain Korea 21 Projec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was used as a research tool. For analysis of the data, percentage, average, distributions, one-way ANOVA, Scheffe tests were used, and the SPSS program was execu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kindergarten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self-evaluation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t the kindergarten had an average rating of 2.50, equivalent to acknowledging the quality as somewhat well - managed . As for the categories, in the specific categories, the current quality of affection interaction was rated the highest, while the category of democratic interaction , interaction supportive of growth and development was rated as the weakest. Second, in teacher self-evaluation on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with a higher level of experience tended to rate themselves higher. Especial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the category democratic interaction . Also, teacher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ended to rate higher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as for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n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class children s age, teachers of 3-year old and 4-year old classes gave similar ratings, while teachers of 5-year old and mixed-age classes also gave similar ratings. interaction supportive of growth and development was generally rated higher by teachers of older children, and affection interaction was rated high by teachers of mixed-age classes and generally rated higher by teachers of younger children. As for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eachers of classes numbering less than 20 rated highly. Espec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ategories of respectful attitudes towards children , affection inter -action , and interaction supportive of growth and development . Fourth, comparing self-evaluations with validator - evaluation from observers, observers generally gave higher ratings than did the teachers. O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gave similar ratings to observers. Fifth, as a result of a consensus on the teacher awareness of problems pertaining to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ers acknowledged teacher -child ratio , lack of attitude, skill, and effort by teachers , busy schedule , excessive workload for teachers as problems interfering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자기 평가를 통해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교사의 경력, 학력과 유아의 연령 및 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관찰자 평가를 통해 교사의 자기 평가와 관찰자 평가의 차이를 검토하고 교사면담을 통해 그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는 어떠한가? 2.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 평가는 차이가 있는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학력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2-3. 유아의 연령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2-4. 유아의 수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자기 평가와 관찰자 평가의 차이는 있는가? 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41개의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8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을 자기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이 중 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유아교육과 핵심사업팀(2001)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인정기준」중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자기 평가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났는지 평균을 통해 전체적인 수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문항별로 교사의 경력, 학력, 유아 연령 및 수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차이가 나타난 경우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e검증을 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자기 평가와 관찰자 평가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일치한 정도를 백분율 점수로 환산하여 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차이가 나타난 원인에 대하여 교사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자기 평가 결과 유치원에서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전체적인 수준은 평균은 2.50으로서 대부분 어느 정도 잘 되고 있다 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각 문항별로 살펴보면 따뜻한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이 가장 잘 되고 있다고 평가하였으며, 민주적인 상호작용 ,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교사 자기 평가 결과 교사의 경력에 따른 유치원에서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민주적인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학력에 따른 유치원에서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자기 평가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만 3세, 만 4세반의 교사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하였고, 만 5세, 혼합연령반의 교사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은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평가하였고, 따뜻한 상호작용 은 혼합연령반의 교사가 높게 평가하였으며,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수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20명 이하 학급의 교사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높게 평가하였다. 특히 유아를 존중하는 자세와 태도로 상호작용 , 따뜻한 상호작용 ,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교사 자기 평가와 관찰자 평가를 비교해본 결과 관찰자 평가가 교사들이 평가한 것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의 학력이 높아질수록 관찰자와의 일치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 인식을 조사해 본 결과 교사 대 유아의 비율 , 교사의 태도, 자질, 노력의 부족 , 바쁜 일정 , 교사의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