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29-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 미국은 현대무용의 근본적인 형식과 내용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시작으로 급진적 사상을 가진 무용가들에 의해 오늘날의 포스트 모던 댄스 를 형성하였고, 많은 전위적인 안무가들은 실험적이고 다양한 안무방법을 개발시켰다. 대부분의 전위무용가들은 공통된 미학적 관심과 기대 안에서 공생관계를 유지하였는데 그들의 온상이었던 저드슨 그룹은 자신의 향상을 위한 작품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주류를 이끌어 나가고 있었다. 저드슨에서부터 그랜드 유니온, 자신의 무용단에 이르기까지 미국 현대무용사에 예술적 증인으로서 대변자의 구실을 하고 있는 트리샤 브라운은 실험적, 탐구적인 정신으로 새로운 유형의 체계를 시도한 도전적인 안무가로서 자신만의 새로운 방법과 표현을 찾으려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트리샤 브라운의 무용활동과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그녀의 안무성향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먼저 당시 예술전반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통해 포스트 모던 댄스의 생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하고, 미국 현대무용의 흐름을 파악함으로서 트리샤 브라운의 활동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트리샤 브라운의 무용활동과 작품세계를 연구하였으며 대표성을 띄는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서 안무적 성향을 연구하였다. 트리샤 브라운은 다양한 무용수업과 경력을 쌓은 후 저드슨 그룹의 초기 멤버로서 후기 현대무용이라는 명명 하에 혁명적 움직임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960년대를 기점으로 트리샤 브라운은 구조적 즉흥무와 수학적, 언어적 전개방식, 공간범위의 확대 그리고 타 장르의 예술적 협조를 통해 자신의 안무 스타일을 구축해 왔다. 그리하여 그녀의 무용은 후기 현대무용의 실험성과 도전정신을 대변해주는 다양한 기법의 사용으로 설명되어지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표현기법과 무용어휘들을 창조함으로서 그 시대의 진정한 아방가르드로 평가받고 있다. 즉,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활동에 나타나는 시대별 흐름에 따른 안무의 전개방식은 당시 후기 현대무용의 흐름이 띄고 있는 변화의 양상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리샤 브라운의 안무성향과 무용활동의 성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본 연구는 무용사적 의미와 함께 무용의 안무적 기법의 다양한 실험적 시도에 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함으로서 예술작업에 다각적인 촉매역할을 할 것이다. 아울러, 창조작업의 다양함이 요구되는 오늘날에 있어 끊임없이 변화를 꾀하는 무용예술의 무한한 기대와 새로운 발견을 위하여, 트리샤 브라운의 안무성향을 살펴보고 분석함은 안무의 방법론적인 동기부여의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In the late on the 1960 s America, choreographers who had innovative and revolutionary ideas created Post Modern Dance to break from the conventional form and matter of Modern Dance and many experimental and various choreographic methods were developed by avant-garde choreographers. Most of choreographers maintained mutual relationship in the congenial aesthetic interests and anticipation and set the new trend with performing dance for their developments in the Judson group which had been their pedestal. Trisha brown, mouthpiece and artistic witness of history of American modern dance, is defiance choreographer with mind of the implement and investigate to look for own new method and expression of dance. In this study history of Trisha brown s art was scrutinized and a special study of her unique choreographic ability and speciality was made. At first investigating the creation of Post modern Dance from Post modernism and her dance background, experience and historical situation of American Modern Dance was done and then her choreographic style that were shown on her remarkable pieces for studying characteristics. Trisha brown made a better showing of Post Modern Dance as starting member of the Judson group after she trained herself with various types of artistic skill. She tried to use of experimental materials, idiosyncratic expression and new dance vocabularies. For that reason, She could be considered as a true avant-garde artist in this period. From 1960 s Trisha brown has built her own choreographic style using structural improvised dance, mathematical and linguistic method, extension of space limits, and cooperation with other genres. Her Choreographic style has very different trend of the times showing transformation of Post modern Dance at that time. With investigating of Trisha brown s choreographic style and her contributions of dance, this study will furnish the information for basic choreographic discussion about her historical import and trial to use various types of dance method and present the new way of choreograph for infinite expectation and new discovery of creative work seeking endless chan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v 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6 A. 포스트 모던댄스의 성립 = 6 B. 미국 후기 현대무용의 흐름 = 15 III. 트리샤 브라운의 무용활동과 작품세계 = 25 A. 초기 (1960년대) = 26 B. 중기 (1970년대) = 32 C. 후기 (1980년 이후) = 38 IV.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에 나타난 안무특성 = 44 A. Accumulation = 45 1. 안무개념 = 45 2. 움직임 = 47 3. 음악 = 48 B. Line-up = 49 1. 안무개념 = 49 2. 움직임 = 51 3. 음악 = 53 C. If You Couldn t See Me. = 54 1. 안무개념 = 54 2. 움직임 = 55 3. 음악 = 56 D. M.O = 57 1. 안무개념 = 57 2. 움직임 = 59 3. 음악 = 60 V. 결론 = 61 참고문헌 = 65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60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risha Brown의 안무성향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