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진-
dc.creator박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77-
dc.description.abstract장애유아의 일반유치원 통합이 빠르게 확산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통합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발달은 통합이 추구하는 중요한 성과이며, 특히 장애유아의 현재 및 미래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많은 연구들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온 교사-주도 및 또래-주도 중재는 유지 및 일반화의 문제, 교사의 부담 문제, 학급일과 외에 부가적, 일회적으로 실시되는 문제와 같은 고질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실환경의 변화를 통한 자연적인 중재인 환경 구조화 중재가 여러 문헌들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중재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환경 구조화 중재, 그 중에서도 많은 문헌들과 사례들에서 그 효과를 제안하고 있는 가치있는 역할 부여를 중재로 채택하여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통합된 유치원 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장애유아의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유치원에 통합된 생활연령 4세, 6세인 세 명의 장애유아였으며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장애유아들에게 순서대로 각 학급에서 선정된 학급도우미 역할을 부여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기간에는 자유놀이 10분 동안의 직접관찰을 통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율을 기록하였으며 일반화는 중재기간 중 주 1회 정도의 빈도로 학급도우미 역할이 부여되지 않는 다른 환경에서의 자유놀이 시간에 이루어졌다.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종료 4주 후에 연속 4회기의 유지 관찰이 실시되었다. 또한 각 장애유아의 중재 전후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지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를 실시한 결과,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2.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를 실시한 결과,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3.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를 통해 증가된 사회적 상호작용은 학급도우미 역할이 부여되지 않는 상황으로 일반화되었다. 4.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를 통해 증가된 사회적 상호작용은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끝난 4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5.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를 실시한 결과, 장애유아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는 교사의 교수나 촉진 없이도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유아 3명과 일반유아들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장애유아들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상호작용 중진의 효과가 유지 및 일반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효과적 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장애유아에게 부여할 수 있는 학급도우미 역할과 이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해 준다. ;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onsigning valued role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enhance their social interaction with classmat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lassroom helper role o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sociometric standing of three kindergarten boys previously diagnosed with mental retardation.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Classroom helper role was officially conferred on the three boys at the beginning of the intervention. Social interactions between the three boys and their classmates were observed in the classroom free-play setting and intermittently in non-classroom setting.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four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augmented social initi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boys and their classmates, that the increase in social interaction was generalized to non-classroom settings, that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one month beyond the intervention, and that the intervention heightened the social standing of the three boys. These results imply that conferring classroom helper role can be a useful and feasible intervention for enhanc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at additional research regarding this measure is warran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8 A. 사회적 상호작용 = 8 1. 장애유아 통합이 추구하는 성과 = 8 2.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 10 3.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의 필요성 = 11 B.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중재들 = 13 1.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중재들의 종류 = 13 2. 기존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들이 갖는 제한점 = 16 3. 기존 중재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환경 구조화 중재 = 18 C. 가치있는 역할 부여 = 19 1. 가치있는 역할 부여의 개념 및 중요성 = 19 2. 가치있는 역할을 부여한 실제 연구들 = 20 3. 가치있는 역할 부여와 사회적 상호작용 = 21 III. 연구방법 = 24 A. 연구 대상 = 24 B. 실험 기간 = 26 C. 실험 환경 = 26 D. 실험 설계 및 절차 = 28 E. 관찰 및 측정 = 35 F. 관찰자간 신뢰도 = 36 IV. 연구결과 = 38 A. 사회적 상호작용 = 38 B. 사회적 지위 = 47 V. 논의 및 제언 = 48 A. 논의 = 48 B. 제한점 = 58 C. 제언 = 59 참고문헌 = 60 부록 = 75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52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