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2 Download: 0

주변국가를 통해 본 고려시대 전, 중기 관복에 관한 연구

Title
주변국가를 통해 본 고려시대 전, 중기 관복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승해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나라별 복식 풍속과 품목별로 살펴본 관복을 통하여 고려 전·중기 관복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려(高麗)의 비교 대상은 당(唐)·요(遼)·송(宋)·금(金)이고, 비교 품목은 5가지로 검(劍), 장문(章紋), 면판(冕版), 천자(天子) 상·조복의 색(色), 신하(臣下) 상·공복의 색과 어대(魚袋)이다. 여기서 상복(常服)은 제복·조복·공복을 착용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 착용한 의복을 칭한다. 즉, 상복(常服)은 연회복[?服]을 포함하고, 나라에 따라서는 공복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다만 당 천자의 상복은 제복과 조복을 착용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를 모두 포함하고, 고려 중기의 경우에는 공복의 개념이 포함되지 않는다. 상복은 예복으로, 평상복[便服]과는 구분된다. 나라별 복식 풍속과, 품목을 통해 살펴본 관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요(遼)의 독자적인 문화를 나타내는 항목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국복(國服)의 존재이다. 요는 관복을 국복과 한복(漢服)으로 구분하여 거란인[契丹人]은 국복을, 한인(漢人)은 한복을 착용하였다. 둘째는 천자 제복 중 국복의 일습(一襲)으로 사용된 도(刀)이다. 당·송·금과 요(遼)의 한복에서는 검(劍)을 사용하였다. 셋째는 거란자[契丹字]의 사용이다. 이 글자는 금(金)에서도 초기 70여년간 사용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요(遼)가 자국(自國)의 문화를 전달할 수 있는 도구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그 문화가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칠 정도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금(金) 역시 요(遼)와 마찬가지로 나름의 자국(自國) 문화를 향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거란사[契丹絲]와 여진자(女眞字)의 존재, 조복(朝服)의 제작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금(金)은 주변 국가와의 교류도 활발하여 고려와 여러 가지 물건을 거래하였고, 송과는 서로의 복식을 착용하는 것을 금지시킨 사례가 발견된다. 금의 사회는 신분과 더불어 재산도 생활의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건이었다. 이는 사용 가능한 의복의 소재가 재산의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고려(高麗)는 그 모습이 당·송과 비슷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상정고금례』의 내용이 고려조 당시 시행되었다는 가능성이 희박하고, 의복(衣服)의 제도는 고유의 풍속을 따랐다는 기사를 통해 생각해보면 그 구체적인 모습에서 차이를 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성종(成宗)조에는 고려 사회에서 재산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의복의 소재를 달리 사용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금과 유사하며, 당·송과는 구분되는 모습이다. 검(劍)은 고려의 주변국에서 제복과 조복의 일습으로 사용되었다. 고려에서 검을 패용한 기록은 없지만 사여받은 기록이 있기 때문에 고려 역시 검을 패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에서 사용된 검의 장식은 옥(玉)과 금(金)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사용한 계층은 왕(王)와 품계(品階)가 높은 신하로 한정되었을 것이다. 12장문(章紋) 중 종이(宗彛)는 제기(祭器)에 호랑이[虎]와 원숭이[□]를 그려 넣은 문양이다. 송과 금은 종이 대신 호유(虎□)를 사용하여 상호간 교류가 있었음을 알려 준다. 한편, 송의 기록을 통하여 살펴보면 오대(五代)의 제도가 당(唐)의 것과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종대(光宗代) 후주(後周)를 통해 오대의 관복 제도를 받아들인 고려 전기의 모습은 당의 것과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고려 중기에는 당의 제도와 유사한 기록이 발견되나 기록과 같이 실행하였는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고려가 당의 제도를 따랐다고 단언할 수 없다. 면판(冕版)은 송·금·고려가 같은 크기의 것을 사용하였다. 영향관계의 시작이 어느 나라인지 확신할 수 없지만 서로간 영향관계에 있었음은 알 수 있다. 상복(常服)과 조복(朝服)은 당·요·송의 제도와 금·고려의 제도가 구분된다. 즉, 전자(前者)는 황색포(黃色袍)를 상복으로 착용하고, 후자(後者)는 조복으로 착용하였는데, 그 색은 대략 적황색(赤黃色)이었다. 그 중에서 송의 상복과 금·고려의 조복은 그 색명(色名)까지 자황(자황) 으로 일치한다. 이 역시 세 나라의 교류를 보여주는 근거라고 생각되며 그 중에서도 금과 고려의 제도적 유사성은 주목할만하다. 요(遼)는 자색(紫色)·비색(緋色)·녹색(綠色)의 포(袍)와 어대(魚袋)를 상복(常服)으로 착용하였다. 이러한 복장은 금·고려의 공복(公服)과 일치하는 것이다. 고려의 경우 비교 기준이 되는 품계의 구분 범위에서 약간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인 경향은 일치하고 있다. 이 결과 역시 금·고려 관복 제도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단서라고 생각된다. 위의 사실을 종합해 보면 고려(高麗)와 금(金)의 복식 풍속과 관복제도가 가장 일치함을 알 수 있고, 일부 제도상 송(宋)과도 유사한 점이 발견된다. 이상에서 본 논문은 고려의 복식을 살펴봄에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요(遼)와 금(金)의 독자적 문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각 나라의 관복 제도를 통하여 고려와 주변국과의 관계를 살펴 고려 전·중기 관복을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ing on the government official uniforms(冠服) of proceeding period of Koryo(高麗) dynasty by comparing it with the other neighborhood countries; Tang(唐), Liao(遼), Song(宋), and Jin(金). The comparing item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word(劍), symbolic patterns(章紋), Myunpan(冕版), the color of Sangbok(常服) and Jobok(朝服) of the emperor, the color and sack of fish form(魚袋) of the officers Sangbok and Gongbok(公服). Up to this point, Sangbok was worn as an ordinary clothes, except Jebok(祭服), Jobok, and Gongbok were worn. Namely, Sangbok includes banquet clothes, however, in some countries it called as Gongbok. In Tang, the emperor s Sangbok includes all kinds of clothes except the Jebok and Jobok In the middle ages of Koryo, Sangbok didn t include Gongbok. Sangbok is a kind of official uniform. In this abstract, the system is only limited to the government official uniform system. Here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official uniform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on each items and traditional wearing manners. The unique culture of Liao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t has Gukbok(國服, the traditional costume). Liao divided the government official uniforms into Gukbok and Hanbok (漢服, the costume of Han-race). Jobok represented the holders social status. Second, a knife(刀) was the part of the emperor s Jebok. Instead of a knife, a sword was used for Lios s Hanbok, and the other countries Gukbok. Third, the usage of the Goranja(契丹字, Kitan-character). This character was used for 70 years in early era of Jin. This fact shows that Liao had a tool to transfer its own culture to the descendant and its culture was thriving enough to influence the next dynasty. Jin also had its own culture like Liao. We can glance it through the existence of Goransa(契丹絲, Kitan-yarn), its own character(女眞字), and the manufacture of Jobok. Jin had a lot of interchange with neighbor nations. Wearing each other s custom was prohibited between Jin and Song. Jin frequently traded many items with Koryo. It is thought that in the society of Jin, one s fortune as well as social status was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determined the scope of life. We can analogize it since the range of the costume s fabric depended on one s fortune. It is prevailing idea that the features of Koryo was much likely that of Tang, and Song. There is a little possibility that the contents of 『Sangjunggokeumlie(詳定古今禮)』 was effective in the Koryo age, and by the article that states the people of Koryo dynasty follow the traditional manners when it comes to the part of costume wearing. Through these facts, we can think that the differences might be found in details. In the 『Koryosajulyo(高麗史節要)』, we can find that in the era of Sungjong(成宗), the volume of one s estate determined the materials of costume. It is much likely that of Jin, not likely that of Tang, and Song. A sword was used as the part of the complete set of Jebok and Jobok in the surrounding area of Koryo dynasty. There is no record indicates the usage of sword as a part of suit in Koryo dynasty, however, there is a strong probability of using sword since we can find a record on rewarded sword from the neighbor country, Liao. The adornment of the sword of Koryo was assumed to be jade and gold, and the users might be limited to the king and officers in high degree. Zongyi(宗彛), one of twelve symbols, is a kind of symbol in the ritual vessel with tiger and monkey drawing. Song and Jin made use of Ho(虎) and Yu(유) instead of Zongyi that could be a clue of interchange between them. Meanwhile according to the system of Song, the system of Five Dynasty(五代, Later Liang(後梁)·Later Tang(後唐)·Later Jin(後晋)·Later Han(後漢)·Later Zhou(後周)) is a different from that of Tang. So the features of early Koryo that inherited the system of Five Dynasty from Later Zhou were much unlike with that of Tang. Even though a record said that in the middle age of Koryo s system was similar to that of Tang, we can t be sure weather they followed it or not. Therefore we can t say that Koryo followed the system of Tang. Song, Jin, and Koryo used same size Myunpan. There is no clue who started to influence whom, but it is clear that they influenced one another. Sangbok and Jobok are classified into the system of Tang·Liao·Song and the system of Jin·Koryo. Former used Yellow outer coat(黃色袍) as a Sangbok, and latter used it as a Jobok, mostly the color of the outer coat was yellowish-red. The name of color was the same as Jahwang(자황) in Sangbok of Song, and Jobok of Jin·Koryo. This fact shows that there were interchange among them.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similarity between Jin and Koryo. Liao used purple(紫色), red(緋色), green(綠色) outer coat and the sack of fish form as a Sangbok. This clothes is the same as Jin and Koryo s Gongbok. In case of Koryo, it is differ from the degree range which was used as a comparison standard by the order of the color stated in the above, however the tendency is about to same. This also shows us that the systems of Jin and Koryo are quite similar. As a result, we can say that Koryo and Jin have same custom and system when we set limits to the costume. And some part of the Song s system has similarity with Koryo.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Liao and Jin s unique cultures that wasn t treated important when it comes to Koryo s costume. Also throughout each nation s system of costume, I m trying to find the relationship with Koryo and its neighbor nations. It was meaningful to figure out the government official uniforms of early and middle age of the Koryo dynasty more specifically on the base of the relationship that was found in the artic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