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희-
dc.creator이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0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072-
dc.description.abstract남북한이 분단국이 되어 이질화의 길을 걸어온지도 50년이 넘어가고 있다. 2000년에 들어서면서 남북한의 통일분위기는 가속화되고 있고 통일 준비단계로서 통일교육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시기로 전환하고 있으며 특히 통일교육의 선행연구로서 현재까지의 북한 교육에 대한 분석연구가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특히 국가, 사회적 요구(체제유지)가 어느 교과목보다 강한 세계사 교과목에 대한 연구는 북한 주민의 의식구조 및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이전까지 북한의 역사교육에 대한 분석은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세계력사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 북한의 세계력사 교과목 분석결과 교과서의 외형적 체재에서 보이는 특징은 지질(紙質)이 형편없이 낙후되어 있다는 것과 그림, 부록, 연표, 도표, 사진, 사료등 시각적 학습자료 제시가 전무하며, 단순히 목차와 본문 내용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북한의 모든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세계력사 교과서에도 긍정적 모범 으로 감화시키는 방법으로 김일성, 김정일 교시를 교과서 서술 곳곳에 고딕체로 강조해서 인용하고 있다. 서술상에서 보이는 가장 큰 특징은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계급갈등에 의한 투쟁"으로 인식하여 세계력사 교과서 서술을 계급투쟁의 관점에 입각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인식의 사상적 배경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변증법적 유물사관의 기초하에 1960년대부터 북한의 독자노선으로 확립된 주체사상에 있다. "인간개조리론"을 통한 인간개조 강화의 일환으로 교육의 이념을 성립시킨 북한은 주체사상의 확립, 유일사상의 확립, 계급혁명의 정신을 투철히 내면화하여 계급투쟁과 혁명의욕에 불타는 공산주의적 인간의 양성을 최종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북한의 세계사 교과서는 유물사관과 주체사상에 근거한 계급투쟁적 서술특징이외에 민족주의적 경향도 강하여 고구려 인민에 대하여 강조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남한과 미국에 대한 적대적 표현도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북한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 서술 분량은 고대에서 현대로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며 특히 사회주의사로 구성된 현대사는 고등중학교 6학년 교과서 전체를 이루고 있다. 실제 단원 분석에서 남북한, 중국, 일본, 미국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남북한의 교과서는 그 내용 서술에 있어 이미 많은 이질성을 띠고 있다.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이질성은 역사관에 의한 시대구분의 차이와 역사의 주체를 판단하는 기준의 차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북한교과서는 유물사관과 주체사상에 입각한 역사관에 의해 시대구분을 적용하고 있으며 역사의 주체를 피지배계층에서 찾고 있는 반면 남한교과서는 정치, 사회, 문화의 전세계사적 흐름을 기준으로 시대구분을 구분하고 있으며 역사의 주체 또한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주제중심의 서술을 하고 있다. 춘추전국시기를 다룬 단원을 중심으로 각국 교과서를 분석하면 북한교과서는 자세한 사건 서술이 되어있는 반면 삽화, 사진, 학습자료등이 전무하다. 남한의 교과서는 각종 학습자료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 반면 현재의 문제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서술되어 있지 못하다. 일본 세계사 교과서의 경우에는 남한 교과서와 가장 흡사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국교과서는 주제사적인 접근으로 문제해결력을 증대시키고 있고 중국교과서의 경우는 자국사임을 감안하여 분석할 때 專과 紅을 적절히 결합시켜 서술하고 있다. 통일교육에 있어서는 "역사적 통찰력의 신장"이라는 역사교육의 대전제하에 역사의 본질이나 성격을 반영하는 역사적 개념과 원리를 나타내는 역사적 사실로 내용이 선정 조직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인지발달능력에 맞도록 충분히 쉽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교과서는 제작되어야 한다. ; It has taken about 50 years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go in a different way as a divided country. On 2000,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has became more critical issue and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has been necessary as the preparatory preceeding for it. And it is more important to study analytically the education of North Korea until now.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understand North Korean people s consciousness and values through the study of world history textbook which has more national and social request of system maintenance than any other textbooks. The history education of North Korea has been usually analyzed through not World History but Chosun(朝鮮) History before. Thus I analyzed World History in this thesis. World History, North Korean textbook, has the poor quality of paper in shape and there is no optical materials like picture, supplement, chronological table, chart, photo, and so on. It only consists of contents and text. In addition, like all of other textbooks, it quotes the instruction of Kim, Il Seong and Kim, Jeong Il with Gothic type for influencing people as affirmative model . In narrative aspect, it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class struggle with the thought that the motive of historical development is "the trouble relation by class struggle". This historical sense results from the thought of sovereignty which North Korea has established independently based on dialectic materialism of Max and Lenin since 1960s. Consolidating human reconstruction theory , North Korea has formed the final educational idea as establishing the thought of sovereignty and training the communist with the great desire of class struggle and class revolution.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North Korea doesn t have only the narrative aspect of class struggle based on materialism and thought of sovereignty but also the tendency of nationalism. Thus it emphasizes the people of Goguryeo(高句麗) and shows the hostile attitude toward South Korea and America. And it describes much more modern history and old history. Especially, Sixth year textbook of higher middle school is consisted of the modern history of socialism. Analyzising the text of South and North Korea, China, Japan and America, I found much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textbook in narration. South and North Korean textbook are different in the period division and the subject of history. North Korea divides the historical period on the ground of materialism and thought of sovereignty and it thinks the unruling classes as the subject of history. But South Korea divides the period based o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tream of world history, and describes the history with its theme. Analyzising the textbooks of each country with the period of ChunChuJeonGuk(春秋戰國), North Korean textbook describes details and has no illustration, photograph and learning material. South Korean textbook has all kinds of material but has no motive to approach the present problems. It is most similar to Japanese textbook. And American textbook strengthens the power of solving the problem and Chinese textbook shows its own history with balance. For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the historical textbook must consist of the historical details presenting the historical concept and principle, with the premise of historical education as "strengthening the historical insight". And the textbook must be interesting and easy for students to develope their intellect. Also it must reflect the same request of unified South and North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vii I. 서론 =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2. 연구방법 = 3 3. 연구의 제한점 = 5 II. 본론 = 7 1.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 7 1) 북한의 교육과정 및 학제 = 7 2) 북한의 교과서 = 11 2. 북한의 세계사 교육목표 = 13 1) 교육의 이념과 목표 = 13 2) 고등중학교 교육과정 편제 = 19 3) 북한의 세계사 교육의 목표 = 23 3. 세계력사 교과서의 서술내용 = 25 1) 교과서의 외형적 서술특징 = 25 2) 교과서(고등중학교)의 목차 = 27 3) 교과서 시대별, 영역별 분량 분석 = 30 4) 교과서에 나타난 시대구분 -중국사를 중심으로 = 32 5) 교과서의 내용적 서술특징 - 중국사를 중심으로 = 35 6) 남북한 세계사 학습내용 선정기준 비교 = 40 4. 단원의 비교 분석 = 44 1) 『세계사』교과서의 단원 분석 - 남, 북한 및 중, 미, 일 교과서 비교 = 44 2) 단원분석의 결과 = 59 III. 결론 = 63 參考文獻 = 66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5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 고등중학교 '세계력사' 교과서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