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20-
dc.description.abstractThe avoidance power is the right to recover the departed property of a debtor to the assets for the general interest of creditors. The Bankruptcy Act and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Act regulate the avoidance power. Although the Article 33 of the Composition Act has the same title of avoidance power, it is not within the scope of this thesis as it has different nature from others. The types of avoidable transactions are stipulated in Article 64 of the Bankruptcy Act and in Art. 78, Para. 1 of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Act. Those two provisions are very similar in contents as well as expression. In this thesis, the author exa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maintain different provisions in both Acts, whether it is possible to unify avoidance provisions and whether the provisions cover every type of avoidable actions without any conflicts. She also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current avoidance provisions enumerate specific types of transactions instead of declaring comprehensive and abstract excerpts that are common in civil law legisl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in Chapter 1, the avoidance power is compared with creditor s right to rescind under the Civil Code in the next Chapter. She also explain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avoidance power in the Bankruptcy Act and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Act. The avoidance provisions in the Bankruptcy Act and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Act are thoroughly analyzed to find out any difference or any possibility of unification in Chapter 3. She finds no meaningful disparity between them except one resulted from different treatment of secured creditors or different approach of rehabilitation and liquidation in those acts. She proposes an unified provisions for the amendment to the current avoidance provisions. In order to probe possible defects of prevailing avoidance provisions, those of U.S. Bankruptcy Code are introduced as a checklist in Chapter 4. She examines each U.S. provision and find out whether it is irrelevant to, whether it is properly covered by, or whether it is lacked in the Korean insolvency laws. What should be complemented by legislation is the ground of avoiding some specific transfer including an obligation after bankruptcy procedure, the floating lien of the inventory and accounts receivable of the insider preferences. The interpretation of an antecedent debt also needs legislative clarification. As a conclusion in the Chapter 5, the researcher summarizes her findings as followings; the possibility and desirability of the unification of separate avoidance provisions, advantage of a typological approach over the general provision approach in regards to avoidance power, and necessity of legislative solution for some deficiencies. Additionally she lists the topics for further study such as the avoidance provisions of former German Bankruptcy Law and a subjective element in fraudulent transac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제2장 부인권 규정의 성립배경 = 4 제1절 채권자취소권과 부인권 = 4 1. 인정근거의 비교 = 4 2. 요건의 비교 = 5 (1) 객관적 요건 = 5 (2) 주관적 요건 = 6 3. 행사의 주체 및 방법의 비교 = 7 4. 시효 또는 제척기간의 비교 = 7 5. 소결 = 8 제2절 부인권의 성립과정 = 9 1. 日本 破産法상 부인권의 성립과정 = 9 2. 日本 會社更生法상 부인권의 성립과정 = 10 제3장 파산법과 회사정리법의 부인권 비교분석 = 15 제1절 부인의 요건 = 15 1. 파산법과 회사정리법상 부인의 요건 비교 = 15 (1) 서설 = 15 1) 첫째 유형 = 15 2) 둘째 유형 = 16 3) 셋째 유형 = 16 4) 넷째 유형 = 16 5) 다섯째 유형 = 16 (2) 고의부인 = 18 1) 의의 및 근거 = 18 2) 객관적 요건 = 18 ① 사해행위 = 18 ② 시기상의 요건 = 19 3) 주관적 요건 = 20 ① 사해의사 = 20 ② 수익자의 선의 = 20 (3) 위기부인 = 21 1) 의의 및 근거 = 21 2) 객관적 요건 = 21 ① 담보의 제공 또는 채무의 소멸에 관한 행위 = 21 ②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 = 22 ③ 지급의 정지 등이 있은 후의 행위 = 22 3) 주관적 요건: 수익자의 선의 = 23 (4) 의무없는 행위의 부인 = 24 1) 의의 및 근거 = 24 2) 객관적 요건 = 25 ① 의무없는 담보제공 또는 채무소멸에 관한 행위 = 25 ② 방법이나 시기가 채무자의 의무에 속하지 아니하는 것 = 25 ③ 지급정지 후 또는 그 전 60일 내에 한 행위 = 25 3) 주관적 요건: 수익자의 선의 = 26 (5) 무상부인 = 26 1) 의의 및 근거 = 26 2) 객관적 요건 = 27 ① 무상행위 및 이와 동시하여야 할 유상행위 = 27 ② 지급정지 후 또는 그 전 6월내에 한 행위일 것 = 28 3) 주관적 요건 불요 = 28 2. 파산법과 회사정리법상 부인권의 차이점 = 28 (1) 제정시기에 따른 법문 표현상의 차이 = 29 (2) 실제 사례에서 발생하는 차이 = 30 1) 담보목적물에 의한 적정가격의 대물변제 = 30 2) 차용금에 의한 기존채무의 변제 = 31 (3)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인 = 31 제2절 차이의 원인과 통합가능성 = 32 1. 차이의 원인 = 32 2. 파산법과 회사정리법상 부인권의 통합가능성 = 35 제4장 현행 부인권 규정의 합리성 = 37 제1절 서설 = 37 제2절 미국 연방파산법상 부인권의 요건 = 38 1. 부인권 규정의 구조 = 38 2. 각 호의 내용 = 40 (1) 가상적 우선채권자로서의 관리인 = 40 1) 우선담보권 = 41 2) 만족받지 못한 특정채권자 = 41 3) 선의의 부동산양수인 = 42 4) 검토 = 42 (2) 무담보채권자의 승계인으로서 관리인 = 44 1) 규정의 내용 = 44 2) 검토 = 44 (3) 법정 담보 = 45 1) 규정의 내용 = 45 2) 검토 = 46 (4) 편파행위(Preferences) = 48 1) 요건 = 48 ① 이전행위 = 48 ② 채권자에게 또는 채권자의 이익을 위한 이전행위 = 49 ③ 이전행위 전에 부담한 채무를 원인으로 하는 이전행위 = 50 ④ 채무초과상태 = 50 ⑤ 편파행위 기간 = 51 ⑥ 편파적 효과 = 51 2) 예외 = 52 ① 신가치와의 동시교환 = 52 ② 통상적 변제 = 53 ③ 이전행위에 이은 채권자의 신가치 제공 = 53 ④ 사후취득 재산에 관한 담보권 = 54 ⑤ 법정 담보, 별거수당 등의 변제 및 소액 이전행위 = 55 (5) 사해행위(Fraudulent Transfers and Obligations) = 55 1) 사해의사 행위 = 56 2) 무자력 상태에서의 행위 = 56 3) 과소자본 유보행위 = 57 4) 상환능력 초과 채무발생행위 = 57 5) 검토 = 57 제3절 현행 부인권규정의 합리성 검토 = 58 1. 현행부인권과 미국파산법의 부인권 규정의 비교 = 59 (1) 흠결된 내용 = 59 1) 파산절차 개시후의 채권양도 = 59 2) 유동 담보 = 60 3) 내부자규제에 관한 부인 = 61 (2) 현행 부인권 규정에서 부당한 내용 = 62 2. 해석상 부당하거나 흠결·중복된 규정 = 63 (1) 부당한 규정 = 63 1) 입증책임 = 63 2) 당연귀속형 양도담도와 정지조건부 대물변제예약 = 65 (2) 중복된 규정 = 65 1) 위기부인에서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의 의미 = 65 2) 채무의 본래 취지에 따른 변제 = 66 3. 일반규정과 유형별규정의 입법형식 비교 = 67 제4절 소결 = 69 제5장 결론 = 71 참고문헌 = 75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35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否認權의 類型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