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해금-
dc.creator이해금-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12-
dc.description.abstract김종삼(1921-1984)은 탈속적인 순수 정서와 세련되고 정제된 언어로 독특한 작품세계를 형성한 시인이다. 그는 30여 년간의 작품 활동을 통해 수준 높은 작품들을 발표하였으며, 후기로 갈수록 탈속적인 서정의 세계에서 벗어나 일상의 현실을 긍정하는 시적 인식의 심화와 확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시인을 세계와 유리된 보헤미안 , 미학주의자 로 규정하고 김종삼의 시세계를 일관된 것으로 파악한 선행 연구들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김종삼의 전기시와 후기시를 연결하는 서술기법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시의식의 변모 과정 및 이에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시적 형상화 방식에 대해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II장의 A에서는 김종삼 전기시에서 발견되는 화자의 의식 세계 및 발화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자는 타인과 세계와의 교감이 단절되었다는 소외의식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시간과 공간을 추상화시키는 미적인 대응 양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그 결과 김종삼의 전기에는 과거 - 현재 - 미래 로 이어지는 시간의 계기적 구조가 파괴되면서 주관적이고 내면화된 시간의 창조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미사>와 <주일>의 거룩한 시간 이나 시적 몽상을 통한 수직적 초월의 시간이 그것이다. 또한 화자의 소외의식은 현실 공간을 파괴하여 이미지의 파편들로 해체하거나, -가 , 주변 , 모퉁이 와 같은 고립 공간에 대한 지향으로 형상화되었다. 소외의식의 극단은 환상 공간의 창조로 연계된다. 현실의 공간 위에 축조되는 환상의 공간은 죽은 예술가들이 살아 움직이는 탈속의 공간이다. 그러나 나의 직업은 시가 되지 못한다 는 시인의 자괴심은 현실과 환상의 공간, 그 어디에도 안주할 수 없다는 한계의식으로 이어지면서 동경과 슬픔, 상실과 부재의 비극적인 정조가 환기되고 있다. II장의 B에서는 삶과 세계에 대한 비극적인 비젼이 언어의 붕괴로 연계되고 있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원정>은 풍요로운 세계로부터의 추방과 함께 언어마저 빼앗기고 마는 언어의 상실을 노래하고 있는데, 화자는 할 말이 없다 거나 말을 할 줄 모른다 , 벙어리 , 울고만 있다 등 다양한 실어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다. 시인과 세계와의 조화로운 합일과 교감의 단절은 독자의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시의 생소성, 난해성으로 표출된다. 한자의 오기나 관념적인 한자어의 잦은 사용, 생략과 도치로 인한 문맥의 파괴, 개인적 조어 등은 시인의 언어를 내용으로부터 해방된 자율적인 언어로 변화시킨다. 라산스카 는 현실과 이상 사이의 도달할 수 없는 간극을 압축시켜 놓은 개인적 암호로서, 언어의 자기 충족적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김종삼 시의 이러한 특성은 독자가 적극적으로 텍스트에 내포되어 의미를 생산하는 수용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도 있으나, 생소하고 난해한 의미는 독자의 이해를 지연시켜 시의 수용을 제한하는 역기능을 초래하기도 한다. III장에서는 화자가 자아와 세계 사이의 간극을 넘어서 일상의 세계로 귀환하는 연대의식 및 대화적인 언술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III장의 A에서는 파편화되고 추상화되었던 시·공간이 현실의 질서 속에 재창조되는 양상이 특징적이다. 죽음 은 후기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모티브로서, 가사상태 를 체험한 화자는 삶을 긍정하는 시적 인식의 전환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죽음의 모티브는 시간의 유한성을 인식하며 현재의 시간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현재의 시간은 나 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시인으로서의 나 로 집중된다. 가난하지만 인정많은 사람들 이 시인이라는 화자의 깨달음은 시인과 세계사이의 간격이 완전히 소멸되었음을 보여준다. 물리적인 시간의 질서가 회복되면서 후기의 시적 공간은 환상이 제거된 일상적 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후기의 공간은 모짜르트의 플루트 가락 , 멘델스존의 로렐라이 아베마리아 같은 아름답고 성스러운 이미지들이 현실속으로 침투하여 성/속 , 미/추 의 구분이 소멸되는 합일의 과정을 보여준다. III장의 B에서는 후기로 접어들면서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어법과 시적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타인과의 동질성을 회복한 화자는 세계에 대한 말건넴을 시도한다. 말 할 줄을 모른다 던 화자는 한 아낙의 말벗 이 되거나, 타인의 언어를 시적 문맥 속에 그대로 옮겨놓는 능동적인 대화자로 변모한다. 또한 침묵 속에 녹슬었던 화자의 언어는 세련되거나 정제되지지 못한 소박한 진술, 어린아이 같은 꾸밈없는 언어로 되살아나 텍스트 내부에는 화자와 청자의 목소리가 공존하는 대화의 장이 펼쳐지고 있다. 청자 지향의 대화적 언술은 독자가 텍스트의 청자로서 내포될 것을 자극하며, 텍스트에서 환기되는 평화로운 정서는 독자의 공감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있다. 전기시가 텍스트의 의미 실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일부 독자에게로 그 수용의 폭이 제한되어 있었다면 후기시에서는 단순하고 직접적인 의미 전달 방식으로 공감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수용의 폭 역시 확대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종삼의 시세계는 세계 상실의 고립주의를 극복하고, 일상의 현실 속에서 자아와 세계의 본질을 발견해 나가는 시적 인식의 변모 과정을 보여준다. 후기에 이르면 시인은 일상의 언어를 차용하고 타자의 언어를 직접 인용하는 언술방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시인은 이러한 언술의 변모를 통해 나와 너, 나와 세계 사이의 단절을 극복하고 세계와 화해하고자 하는 내면인식을 표출하고 있다. ; Kim jong sam(1921-1984) has made a pure and unworldly lyric poem. He made a marvelous piece of work, through his poetic diction which is very polished and refined, For the past thirty odd years, he reached the highest level of Korean poetry. And as time goes on he slough off his literary circles of the early days, he come to acknowledge the realities of life. This thesis has just been started to resolve several doubts. Preceding studies are not acknowledge that Kim jong-sam s poetic world has changed. Therefore I will analyzed the kim jong-sam s work of poem and make a clear that his recognition about living and world has changed In chapterII-A, I examined the inner world and the form of speech which are found in kim jong-sam s preceeding poetry. Persona has exposed a sense of alienation. This sense of alienation abstract the time and space in literary. As a result of the fact, the poet create subjective time. For example there are sacred time of <Mass> and <the Lord s day>, or a vertical time of transcendence by poetic dream. What is more, The sense of alienation of persona destroy the realities of space, and take a space to pieces of image. The extremity of alienatio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creation of an illusion. In the illusion, the dead artist revive and move. But The poet confess that "My accupation can not be a poet" in a work. He wander from The real place to The dreamy place , express a tragic sentiments like a yearn , grief , loss and absence In chapterII-B, I examined that tragic attitude toward life and world break down the ianguage. A breakdown of language is reflected on communication in <narrator-narratee>, <implied author-implied reader>. The poet sing a loss of language in <a gardener>, he express a various symptoms of aphasia such as there is nothing that one wants to say . I am poor at talking , a mute A sense of alienation from world expressed itself in poetic unfamiliarity and abstruseness. A misspelling of a Chinese character, frequent use of ideological Chinese character, destruction of the context, and a coined word are all autonomous language. lasanska is Kim jong-sam s personal code. Kim jong-sam compressed his sense of alienation into lasanska . This features affect on the reading process. The reader can take an active hand in a text because of the poetic abstruseness, while the reader can interrupt reading. In chapter III, I examined Kim jong-sam s way of thinking and discourse in the latter part of the work of Kim jong-sam. In chapter III-A, an abstract time and space are revived on a realistic basis. Death is an important motif. Persona who has revived from apparent death become to affirmed the life. and He understand the limitedness of life, concentrate his attention on the present time. He wonder his identity at the present time, this wondering is connected to the question of I as a poet. Finally he realize that the poor and warmhearted are the real poet . He gradually shortened the distance between himself and the world. With the revival of the public time, the usual space make an appearance in place of dream and illusion. The noble and beautiful imagery such as a tune of flute playing by Mozart , Lorelei Ave Maria by Mendelssohn have infiltrated into the actual. So far the division of the holy and the common , the beauty and the ugly became extinct, the real and the ideal are united in one body. In chapter III-B, I examined the new usage of language and the form of verse. The persona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the others, make plans to address a person. He keep a woman company, or pass the others words on to the context of the text. Narrator and narratee carried on a dialogue in the text. The diological and plain statement put the reader up to involve in the text. And the harmonious sentiment enlarge the range of the reader s sympathy. In the preceding term, Kim jong-sam s poetry is limited in the reader s reception, in the latter period, it has been enlarged in the reader s reception. As what we have considered, Kim jong-sam s poem expose the change of the poetic recognition that the poet surmount the mental forfeit of world . Comeing upon the latter period, the poet take a word from the others. This change in Kim jong-sam discourse express the recognition that he surmount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in the unsophisticated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기존논의 검토와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 11 II. <전기> : 세계 상실과 독백적 언술 = 20 A. 소외의식과 시·공간의 추상화 = 20 1. 전쟁 체험과 수직적 초월의 시간 = 22 2. 일상과 영원의 대립 공간 = 44 B. 내면침잠의 자기 충족적 언어 = 59 1. 어디메 있을 너 와 상실된 언어 = 61 2. 침묵과 언어의 경계 - 라산스카 = 75 III. <후기> : 일상세계로의 귀환과 대화적 언술 = 93 A. 평화의식과 시·공간의 재구축 = 93 1. 假死體驗과 다시 찾은 날짜 = 94 2. 聖俗合一의 일원화된 공간 구조 = 109 B. 외부지향의 대타적 진술 = 119 1. 유대감의 형성과 회복된 언어 = 120 2. 반복의 리듬과 공감의 확대 - 평화롭게 = 128 IV. 결론 = 139 참고문헌 영문초록-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1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종삼 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