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애란-
dc.creator박애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10-
dc.description.abstractSince 1945 mental health policy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from the custodial, institutional care of the mentally ill patients to patients to the community based care and rehabilitation. Especially,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began active with the enactment of Mental Health Law in December 1995 and constructed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CMHC). The Day Care Program in CMHC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useful and comprehensive model for rehabilitation of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in community mental health. Although under the poor condition-few professional manpower and experience, lack of social supports and finance, social stigma, etc-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s now developing and spreading in our society. The study has researched status of the Day Care Program in CMHC and satisfaction of the Day Care Program and furthermore has surveyed troubles and solutions of actual practices of psychosocial nursing manag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chronic mental patients who were being psychosocially rehabilitated at 8 CMHC located in the Seoul and Kyunggi-do and 35 mental health specialists at 35 CMHC. Based on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contents regarding day care program at CMHC, researchers have developed research tool by themselves to let specialists check content validity and make correction and supplement them. As a result, following have been included: 75tools in total, 21 items of day care program status, 35 items satisfaction of the day care program and the data collection for the developed tool was done in about 18 days between 4 October and 21 October, 2000.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Duncan as post hoc contrast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persons are: in clients 1) 61 males 2) 75 members of 20-39 years old 3) 78 diagnosised schizophrenia 4) In educational background, number of ones, who had graduated high school, was the largest 5) Most of them believed in a religion 6) 83 members single status and lived with their parent 7) 36 member had more 5 times history of admission. In mental health specialists 1) the person in charge of the day care program consist of 22 nurses, 13 social workers 2) all women 3) major age group ranges 30 years old 4) 29 members had graduated colleges 5) 2 to 4 years of mental health related job experience was largest, while 1 years of charge of the day care program job experience was the largest. 2. The content status of the day care program in 35 CMHC is: 1) 28 CMHC had principles of the day care program 2) 30 CMHC had the day care program team of organizations mostly consists of nurses and social workers 3) most of CMHC, the day care program operated 3 times for weekly 4) program ordered social skill training(34), human relation and social adjustment training(33), mental health education(32), art therapy(31) 5) clients mostly consists of male and schizophrenia 6) 20-35 clients mostly attended the day care program 7) 10 volunteers assisted the day care program 8) client drop-out rate mostly consisted of losing fun and motivation of program 9) burnout of charge of the day care program is lack of team member.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content satisfaction of the day care program according to the client`s starting period of psychiatric problem(F=4.06, p=.00), in the area of style of attention satisfaction of the day care program according to the client`s marriage status(F=2.75, p=.05) and the education (F=2.75, p=.05) and the client`s starting period of psychiatric problem(F=2.63, p=.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operating member satisfaction of the day care program according to the client`s starting period of psychiatric problem(F=3.27, p=.02) and living person(F=3.12, p=.01), in the area of requiring of the day care program according to the client`s religion(F=2.88, p=.03) and the client`s psychiatric admission number(F=2.21, p=.05). 4. The content and style of attention and operating member satisfaction and requiring of the day care program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in the administrational support of government with 3.92 and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in the requiring day care program information with 3.38, and satisfaction of occupation program to day care program with 3.38.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and style of attention and operating member satisfaction and requiring of the day care program was: 1)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ent to style of attention(γ=.56 p=.00), to operating member(γ=.66 p=.00), to requiring(γ=.50 p=.00). 2)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perating member to style of attention(γ=.72 p=.00), to requiring(γ=.42 p=.00). 3)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yle of attention to requiring(γ=.43 p=.00). In conclusion, outcome of the study will supply basic materials for a guide of the day care program management, that are suitable to the in Korea, and furthermore will find out troubles and solutions for practices of case control to present improvement ways for practices of psychosocial nursing management.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에서의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등록된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필요 및 개선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정신질환의 재발을 예방하고 성공적인 사회복귀에 도움이 되는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방향과 정신사회재활간호중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의 8개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등록된 만성정신질환자 106명과 35개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 담당자 35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과 정신보건센터의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가 직접 구성하고, 전문가에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총 75문항의 설문지로,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운영현황 파악을 위한 개방형 27문항과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17문항, 개선 요구도 18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5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10월 4일부터 10월 21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로 통계처리 하였다.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등록된 환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과 주간재활프로그램 담당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 파악은 빈도와 백분율, 등록된 환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개선요구도와의 차이검증은 t-test, one way ANOVA 후 사후검증으로 Duncan`s(DMR) test를 사용하였다.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개선요구도의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개선요구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총 106명의 등록된 환자 중 남자가 61명(73.2%)으로 평균연령은 32.8세였고, 학력은 고졸이상 54명(50.9%)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상태는 미혼 83명(78.3%)으로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종교는 개신교 60명(56.6%)으로 많았다. 질병과 관련된 특성은 정신분열병이 78명(73.6%)으로 최초 발병시기는 10대와 20대가 79명(74.5%)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입원한 횟수는 5회 이상이 36명(33.9%)으로 가장 많았다. 주간재활프로그램 담당자의 경우는 총 35명으로 모두 여성이었고, 연령은 30대가 19명(54.2%)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졸이상 29명(82.8%)이었다. 주간재활프로그램 담당자로는 간호사가 22명(62.8%), 사회복지사가 13명(37.2%)이었고 이중 정신보건전문요원은 23명(65.7%, 정신보건간호사 18명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 5명)이었다. 정신보건관련 근무경력은 평균 2~4년이 가장 많았으며, 주간재활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기간은 1년 이하~1년(95.6%)이 가장 많았다. 2.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현황을 보면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운영 윈칙과 지침을 가지고 있는 센터가 28개(82.3%)였고, 운영목적은 모두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회복귀와 재활 및 삶의 질 향상" 이었고, 운영팀은 30개(85.7%)센터가 정신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운영횟수는 주 5회와 주 3회 운영하는 센터가 각각 41.1%로 나타났다.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등록된 환자의 수는 20인 이상~35인 이하가 14개(40.1%)센터로, 성별은 남자가 80%, 연령은 20대 이상~40대 이하가 88%, 진단은 정신분열병이 76%였다. 등록된 환자의 주간재활프로그램 중도탈락은 30개(85.7%)센터에서 15~25%였으며, 중도탈락의 원인은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상실(98%), 동기부족의 부적응(90%), 가족의 인식부족으로 인한 비협조적 태도(88%), 이사와 교통수단에 의한 어려운 지리적 요인(45%), 재입원(15%)이었다. 자원봉사자의 참여는 직·간접으로 운영되었고, 프로그램의 운영을 담당하는 직접적인 자원봉사자는 10명 이내가 29개(87.8%)였고, 프로그램 진행보조의 간접적인 자원봉사자는 10명 이내가 54.2%였다.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사회기술훈련 34개(97.1%), 대인관계훈련 및 지역사회적응훈련 33개(94.2%), 정신건강교육 32개(91.4%), 예술요법 31개(88.5%) 센터 순으로 나타났다.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에서 어려운 점은 『과중한 업무』(94.2%)와 『전문인력부족』(91.4%),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85.7%), 『자원봉사자의 부족』(80%), 『지역 내의 자원부족』(68.5%), 『프로그램 내용의 빈약』(62.8%), 『환경의 열악함』(57.1%), 『관련기관의 비협조』(51.4%), 기타의 『예산부족』(34.2%)으로 나타났다.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의 개선점은 『업무의 간소화』(97.1%), 『전문인력의 충원』(94.2%), 『체계화·표준화된 프로그램의 개발』(88.5%),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85.7%), 『시설확장』(57.1%) 등으로 나타났다. 실시되는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서비스 만족정도는 등록된 환자들에게 "만족"57.1%, "어느 정도 만족"40%, "불만족"2.9%였다. 3. 등록된 환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내용만족도는 최초 발병시기(F=4.06, p=.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참여형태 만족도에서는 최초 발병시기(F=2.63, 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인력 만족도에서는 최초 발병시기(F=3.27, p=.02), 동거자(F=3.12, 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간재활프로그램 개선요구도에서는 입원 총 횟수(F=2.21, 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주간재활프로그램 만족도 및 개선요구도의 문항에서는 등록된 환자들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전체 평균 3.55점이었고, 영역에선 프로그램의 진행자, 자원봉사자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회복에 대한 내용은 3.70점 이상으로 만족하였고, 반면 직업재활에서의 영향, 가족부담의 경감 및 지역사회적응에 관한 내용에서는 3.38점 이하로 만족하는 것에서 대체로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된 환자들의 프로그램 개선요구도는 전체 평균 3.68점이었고, 국가의 행정적 지원과 병의 재발방지 또한 취업 및 가족의 적극적인 협조에 대한 개선이 3.82점 이상이었고, 반면 지역주민의 의식변화와 프로그램의 전문담당자의 근무개선 및 홍보에서는 3.49점 이하로 대체로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5. 주간재활프로그램 참여형태 만족도에서는 내용만족도(γ=.56)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인력 만족도에서는 내용만족도(γ=.66)와 참여형태 만족도(γ=.72)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재활프로그램 개선요구도에서는 내용만족도(γ=.50), 참여형태 만족도(γ=.44), 운영인력 만족도(γ=.42)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상 프로그램 만족 및 개선요구 문항과 관계의 결과는 주간재활프로그램에 등록된 환자들이 경제적인 사항, 질병의 재발, 지지체계, 사회복귀 및 재활 그리고 실질적인 취업에 관하여 관심도가 높고 프로그램의 만족과 개선요구에서 상호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나라 상황에 적합한 정신질환의 재발을 예방하고 성공적인 사회복귀에 도움이 되는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방향과 정신사회재활간호중재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게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4 II. 문헌 고찰 = 6 A.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 6 B. 주간재활프로그램 = 8 III. 연구 방법 = 15 A. 연구 설계 = 15 B. 연구 대상자 = 15 C. 연구 도구 = 15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17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18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18 B. 주간재활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 23 C. 주간재활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개선요구도 = 29 V. 결론 및 제언 = 39 A. 결론 = 39 B. 제언 = 43 참고 문헌 = 44 부록 = 50 영문 초록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73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만족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