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8 Download: 0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간호수행정도

Title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간호수행정도
Authors
조귀래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중환자실의 환자는 생명유지에 위급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의식이 없는 환자인 경우도 많아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환자의 신체적 간호에 중점을 두게 된다. 그러나, 중환자에게는 신체적 간호뿐 아니라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도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 중환자실증후군을 나타내게 된다. 중환자실증후군(ICU syndrome)은 중환자실에서 급작스런 발병을 특징으로 하여 발생하는 일시적인 기질적 정신증후군으로, 인지기능의 장애, 의식수준의 저하, 주의력의 감소, 정신활동의 증가 또는 감소, 수면리듬의 장애를 나타내는데,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중환자실증후군 발생의 예방과 조기 발견, 증상의 정확한 사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의료진이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이해하고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간호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지식과 간호수행, 일반사항과 지식 및 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질적인 간호의 제공과 간호사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개의 대학병원과 1개의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현재 근무하고있는 간호사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선행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발한 지식측정 44문항과 간호수행 측정 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내용의 타당도를 위하여 전문가 6인의 의견을 구하였으며, 신뢰도는 지식문항이 Cronbach s α = .65, 간호수행문항이 Cronbach s α = .59로 나타났다.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9월 25일부터 10월 15일까지 20일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값, 표준편차, Pearson 상관계수, t-test, one-way ANOVA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은 전체 44문항중 평균 36.11문항(82.1%)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간호수행은 전체 15문항중 평균 8.53문항(56.8%)의 수행정도를 나타내어 지식과 비교할 때 낮은 수행정도를 나타내었다. 2.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환자간호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 = .20, p < .05), 예방적 간호행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사항 중 대졸이상 학력의 간호사가 전문대졸의 간호사보다 중환자실증후군과 관련된 간호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 = -2.83, p < .01). 4. 중환자실 경력이 많을수록 중환자실증후군과 관련된 지식수준이 높고(r = .30, p < .01), 간호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 = .29, p < .01). 대상자 전원은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으나, 지식문항에서 80%이상의 정답율을 보여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자에 대한 간호수행이 57%정도의 낮은 수행정도를 보이고 있으며,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예방적 간호행위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알고 있는 지식을 환자간호에 적용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환자실증후군에 대한 지식을 간호수행으로 적용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과 간호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의료기관의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중환자실증후군의 발생빈도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며, 중환자실증후군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적 요인들을 통제했을 경우의 발생빈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또한 요구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f ICU syndrome. The sample were 100 ICU nurses at two university branch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excluding neonate intensive care unit.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15, 2000.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composed of 9 item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44 items related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15 items about nursing performance for ICU syndrom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reliability of tools were Cronbach s α = . 65 for knowledge and Cronbach s α = .59 for nursing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one -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of ICU syndrome was 36.11 correct answers out of 44 questions. 2. The average score of the nursing performance regarding ICU syndrome was 8.53 out of 15 questions. 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ICU syndrome patient s care of ICU nurse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preventive nursing care. 4.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subject s education, the subject s nursing performance were higher. 5. ICU working experi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the knowledge score and nursing performance. All subjects had never been educated about ICU syndrome. Even though all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received the ICU syndrome education, they still scored high on the knowledge of it. This attests the necessity of repetitive research of the research tool s sensitivity There w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preventive nursing of ICU nurses. So, there should be a research to find the reason why there are not difference in the preventive nursing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 Moreover, the rates of the patients who suffer from ICU syndrome in ICU ward in Koera and the difference in ICU syndrome occurrence with the restriction of the ICU ward s environment should be also stud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