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특성 분노, 분노 표현 양식과 비합리적 신념

Title
특성 분노, 분노 표현 양식과 비합리적 신념
Authors
고경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여자 대학생 243명과 남자 대학생 207명을 표집하여, 분노 경험과 분노 표현 양식이 비합리적 신념과 관련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높은 수준의 분노 경험을 하는 사람이 더 많은 신체적, 정서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선행연구에 의거해서, 분노 수준에 따라 상하 두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간의 비합리적 신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노 억제가 높거나 분노 표출이 높은 집단에서도 그렇지 않은 집단들에 비해 더 많은 심신의 문제를 갖고 있다는 점에 의거해, 분노 억제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또 분노 표출에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각의 상하 집단간의 상하집단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비합리적 신념검사와 분노 표현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노 표현 양식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두 개의 요인이 나타났다. 분노 표출 요인은 11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이 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그러나 분노 억제는 3개의 항목을 삭제하고 8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 비합리적 신념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좌절 반응 이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아서 9개의 요인만을 사용했다. 3. 분노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비합리적 신념 중에 과잉불안염려, 인정욕구, 정서적 무책임, 비난경향, 무력감과 높은 자기 기대감 요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4. 분노 억제 수준이 높은 집단은 그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비합리적 신념 중에 과잉불안염려, 인정욕구, 무력감 요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합리적 신념 중 완벽한 해결 요인은 오히려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5. 분노 표출 수준이 높은 집단은 그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비합리적 신념 중에 정서적 무책임, 비난경향 요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지만, 문제회피 요인은 오히려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특성분노를 통제했을 때는 분노 표출 수준에 따라서 정서적 무책임, 비난경향 요인의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분노 표출 요인과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의 중재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지가 정서와 행동과 연결되어있다는 인지행동치료 이론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또한 이 결과는 분노 조절 프로그램에서 그 내용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Using a sample of female 243 and male 207 college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styles(Anger-in and Anger-out) to irrational beliefs. Given that high level anger group had more physical and emotional problems, we split high and low groups on Trait anger and compared these groups in their irrational beliefs. And Given that high level of Anger-in and high level of Anger-out groups had more problems, we divided into higher and lower groups by their level of Anger-in and Anger-out respectively. And these groups were compared in their irrational beliefs. Before the main study, factor analysis for irrational belief inventory and anger expression inventory were used to verify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anger expression inventory, 2 factors were revealed. Anger-out factor included 11 items. this result accorded with preceding study. But Anger-in consisted of 8 items with the exception of 3 items. 2.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rrational beliefs inventory, frustration reactivity was not exhibited as a factor, so we used 9 factors. 3. Higher anger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in anxious over-concern, demand of approval, emotional irresponsibility, blame proneness, helplessness, and high self-expectation. 4. High anger-in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in over-concern, demand of approval, helplessness. But they obtained low scores in Perfectionism than lower anger-in group did. 5. High anger-out group obtained higher scores in emotional irresponsibility, blame proneness, but they obtained lower scores in problem avoidance. However, when we control the trait anger, different result revealed. Anger-out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rresponsibility, blame proneness. This result means that trait anger showed mediation effect between anger-out and irrational beliefs. Results support REBT theory that cognition is related to emotion and behavior. And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anger management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