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명자-
dc.creator차명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 통일 교육 방안에 대한 기초 조사 연구로써, 유아교육기관 중 유치원을 중심으로 유아의 통일 교육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의 현황과 유아를 중심으로 어머니, 교사의 통일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아 올바른 유아 통일 교육의 방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통일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남북한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통일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 통일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 통일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교사의 학력별, 경력별에 따른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 9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을 중심으로 만 5~6세의 유아 343명, 그들의 어머니 347명, 교사 113명, 총 80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윤기영·김지영·서규선(1999)이 선정한 유치원 통일교육의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용 설문지 18문항과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과 통일 국가 및 정책에 대한 인식, 유아의 통일 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된 부모용 설문지 19문항, 통일에 대한 인식, 유아 통일 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 유아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된 교사용 설문지 24문항이다. 특히 유아용 설문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2명의 면담자에 대한 사전 신뢰도 확보와 녹음기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빈도분석과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같은 나라, 같은 언어, 공동문화유산에 동질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같은 민족, 비슷한 생활모습, 북한사람들의 직업, 북한의 기후, 가족생활은 이질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57.4%가 통일에 대해 들어본 적은 있으나 뜻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했다. 그러나 87.2%가 통일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세째. 어머니의 유아 통일 교육에 대한 인식은 66.6%가 필요하다고 했으나 부모교육의 한 형태로 통일교육 실시하는 것에는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또한 유아 통일 교육의 가장 바람직한 방향으로 남북한이 한민족 공동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었다. 넷째. 유아 통일 교육 실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39.8%가 조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있었으며, 32.7%만이 현재 유치원에서 그저그렇게 실시하고 있다고 하여 현재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 실시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명확한 지침이나 관리체계의 미흡,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 관련 자료 부족이었다. 다섯째. 교사의 통일교육 필요성에 대해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교육실시 여부에 대해 경력이 낮은 교사에게서 실시여부가 높았고, 통일교육 실시의 문제점 인식에 있어서 학력이 높고, 경력이 높을수록 관리체제 미흡으로 보고, 학력이 낮고, 경력이 낮을수록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보았다. 또한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연수의 필요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 통일 교육은 이질화된 남북한의 가치 체계를 동질화 하는데 목표를 두고,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평화교육으로서,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이며, 교사와 부모의 유아 통일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종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통일 교육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유아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통일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학습 자료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As a primary survey on educational program of unification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the correct way about unification education for children. To do so, I surveyed the state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children centering around kindergartens as organs of child education as well as cogni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unification.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 1. How about the child s understanding about unification? 1-1 How about the child s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1-2 How about the child s understanding about unification? 2. How about the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for parents? 2-1 How about the parents understanding about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2-2 How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in compliance with their job? 3. How about the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for teachers? 3-1 How about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3-2 How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in compliance with their education and carrier? In order to pursue this purpose, I surveyed total 308 persons as subjects centering kindergarten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They were 343 children who were full 5~6 years old, 347 parents and 113 teachers.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21th, Sep. 2000 to 5th, Oct. 2000. In order to explore these question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chosen for collecting data and the SPSS/PC was chose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as chosen for the frequency analysis and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ree kinds of questionnaire were used. The questionnaire for children was composed of 18 questions and the content was about curriculum of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which is chosen by Youn Ki Young and Kim Ji Young et al.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was composed of 19 questions and the content was about cognition of north Korea, unification, unified country and unification policy.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composed of 24 questions and the content was about cognition of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of un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 recognized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homogeneous in the respect of nation, language, and cultural remains. While they recognized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heterogeneous in the respect of nationality, life style, job, climate, and family. Second, in respect of child s understanding about unification, 57.4% of children don t know what an unification is while, they have heard that term. But, 87.2% of children understand about unification positively. Third, in respect of the parents understanding about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66.6% of parents responded it is necessary but they took a negative attitude to unification education as a form of parent education. And they think that the best way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children is to recognize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same community bound together by one race. Forth, in resp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in compliance with their job, parents who don t have a job recognized that an unification is necessary more than parents who have a job(P<0.5), while parents who have a job took a positive attitude toward question about unification education for children. Fifth, in respect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child education of unification, 39.8% of teachers responded that it s necessary and 32.7% of kindergartens gave unification class so I found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not extended lively. The reason is the lack of definite guide, control system, cognition about necessit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and teaching materials. Finally, in resp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in compliance with their education and carrier, teacher who have a short career took an unification class more than teacher who have a long career. In the point at issue of unification education, with the higher academic career and teaching career, they thought the main reason is the lack of control system and they commented the necessity of teacher training. While, with the lower academic career and teaching career, they thought the main reason is the lack of cognition about necessity. The purpose of unification education must lie on making the value system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ame with together. We have to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as democratic education open to the public and peac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develop the accessible unification program and teaching materi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유아를 위한 통일 교육의 필요성 = 4 1. 통일 교육의 개념 = 4 2. 유아를 위한 통일 교육의 필요성 = 5 B. 유치원 교육과정과 통일 교육과정과의 관계 = 8 C. 유아를 위한 통일 교육의 접근 형태 = 13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3 C. 연구 절차 = 25 D. 자료 분석 = 26 IV. 결과 및 해석 = 27 A. 통일에 대한 유아의 인식 및 현황 = 27 B. 어머니의 유아 통일 교육에 관한 인식과 차이 = 31 C. 교사의 유아 통일 교육에 관한 인식과 차이 = 38 V. 논의 및 결론 = 58 A. 논의 = 58 B. 결론 및 제언 = 62 < 참고문헌 > = 65 < 부록 > = 70 < ABSTRACT >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86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의 통일 교육 방안에 대한 기초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