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남성의 성역할 갈등이 주관적 삶의 질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Title
남성의 성역할 갈등이 주관적 삶의 질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서은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남성들이 개인의 본성에 따른 개성적 삶을 허용하지 않고 일정한 틀에 매여 살도록 스스로 강요하게 되는 것과 관련해, 전통적인 남성 성역할 고정관념의 내면화와 그로 인한 성역할 갈등이 정신건강의 긍정적 측면인 주관적인 삶의 질과 부정적 측면인 정신병리간에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Erikson의 인생주기, 지각된 사회경제적 지위, 결혼상태, 학력 변인이 성역할 갈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직장 성인 남성 269명이며, 이들은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단계에 근거하여 성인초기(27세-35세), 성인중기(36세-49세), 성인후기(50세-59세)의 세 가지 인생주기로 분류하였다. 측정도구는 성역할 갈등 척도 , 간이정신 진단검사 , 그리고 주관적 삶의 질 척도 였으며, 여기에 인생주기, 사회경제적 수준, 결혼상태, 학력의 배경정보를 알기 위한 인구통계학적 질문지를 포함시켰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a) 성인초기 집단보다 후기집단이 성역할 갈등 수준이 높을 것이다. (b) 주관적으로 지각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성역할 갈등이 높을 것이다. (c) 기혼집단이 미혼집단에 비해 성역할 갈등이 높을 것이다. (d) 학력이 낮을수록 성역할 갈등이 높을 것이다. (e) 성역할 갈등과 주관적 삶의 질은 부적 상관이 있을것이며, 정신병리와는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인생주기에 따른 성역할 갈등에 있어서 성인초기 집단보다 성인후기 집단이 성역할 갈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공, 힘, 경쟁 , 제한적 정서성 그리고 일과 가족관계 에 대한 갈등이 성인후기 집단의 남성들에게서 성인초기 집단에서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동성간 제한적 애정행동 에 대해 성인중기와 후기 집단의 남성들이 성인 초기집단에 비해 더 갈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b) 주관적으로 지각된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성역할 갈등은 성공·힘·경쟁 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수준을 상류층이라고 지각한 남성들 집단이 중류층이라고 지각한 남성들 집단보다 성공과 힘의 획득, 경쟁에 대한 집착이 더 높으며, 중류층 남성 집단은 하류층 집단보다 더 높은 갈등을 나타냈다. (c) 결혼상태에 따른 성역할 갈등은, 전반적 성역할 갈등과 제한적 정서성 , 동성간 제한적 애정행동 그리고 일과 가족관계 에 있어서, 미혼집단이 기혼집단에 비해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해 덜 갈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d) 학력에 따른 성역할 갈등은 제한적 정서성 에서만 저학력 집단이 고학력집단에 비해 갈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인생주기, 지각된 사회경제적 수준, 결혼상태와 학력에 따른 성역할 갈등의 유형에 있어 각 집단간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e) 성역할 갈등 하위요인 네 가지는 정신건강의 긍정적 측면을 의미하는 주관적 삶의 질과는 유의미하게 부적으로 상관되어 있으며, 부정적 측면을 의미하는 정신병리의 아홉 가지 증상척도 점수와는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역할 갈등 수준이 높은 남성들은 주관적 삶의 질이 낮아지고, 정신병리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f)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성역할 갈등 하위요인은 일과 가족관계 갈등 과 제한적 정서성 순으로 나타났다. (g) 편집증을 제외한 여덟 개 정신병리 증상차원 모두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성역할 갈등 하위요인은, 일과 가족관계 갈등 과 제한적 정서성 이었으며, 대인예민증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동성간 제한적 애정행동 이, 그리고 불안증에 대해서는 성공·힘·경쟁 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편집증에 대한 예언요인으로는 일과 가족관계 갈등 과 성공·힘·경쟁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서는 성인남성들이 직장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경험하는 성역할 갈등이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상담자가 이해하고 이들이 적응적 대처전략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상담내용을 준비해야 할 것이며, 전통적인 남성 성역할 사회화과정에서 파생된 남성의 제한적인 정서표현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지적 재구조화 작업을 수행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correlation between masculine gender role conflict and mental health that was divided into two sides, positive and negative. Mental health in a positive side means subjective well-being and in a negative side psychopathy . Besides mental health variables, the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and 4 variables, life-stage, subjective perceived SES, marriage status and education,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4 sub-factors which consisted of gender role conflict to mental healths were tried to find o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adult workers, 269 men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and they were included in three life-stage, 27-35ages, 36-49ages and 50-59ages. They were answered Gender Role Conflict Scale(GRCS), Index of Well-being, SCR 90-R,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older men were, the higher perceived SES was and the lower education was, the higher Gender Role Conflict(GRC) was. And married men experienced more GRC then unmarried men. There were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RC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C and psychopathy. GRC s sub-factors - success·power·competition , restrictive emotionality , restricted affective behavior between men , and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elation - had relative different influences toward mental healths. The two most powerful sub-factors wer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elation and restrictive emotionality . Korean counselors should understand that GRC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more influences on the mental health of korean adult men and help korean men have adaptive stratages to overcome the GRC, and besides counselors try to help emotionally restrictive men over-influenced by traditional masculine gender role socialization perform the cognitive re-orientation on adaptive masculine gender ro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